골격근의 과축적 당원의 운동 중 이용 양상과 골격근의 구성 섬유 특성에 따른 당원의 이용 양상을 규명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군의 당원 농도는 가자미근에서 4.57�...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93695
1997
Korean
510.5
학술저널
137-154(1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골격근의 과축적 당원의 운동 중 이용 양상과 골격근의 구성 섬유 특성에 따른 당원의 이용 양상을 규명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군의 당원 농도는 가자미근에서 4.57�...
골격근의 과축적 당원의 운동 중 이용 양상과 골격근의 구성 섬유 특성에 따른 당원의 이용 양상을 규명한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정상 군의 당원 농도는 가자미근에서 4.57±0.34 mg/gm wet wt.(이하 동일 단위)였으며 적색 비복근은 5.11±0.24, 족척근은 6.55±0.20으로서 족척근이 가장 높았다.
가자미근의 당원 농도는 운동 부하 후 당투여 1시간 군에서 정상 군에 비해서 약 1.9배 높았으며 적색 비복근은 1.8배 높았다. 족척근의 당원 농도는 운동 후 당 투여 군에서 정상 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간 당원 농도는 정상군에서 41.0±1.47이였으며 대조 군에서는 정상 군의 2.9%에 불과했으나 당투여 1시간, 2시간 및 운동 부하 후 당투여 1시간 군등 모든 군의 당원 농도는 정상 군의 19-32%의 범위 내에 있었다.
혈당 및 인슐린은 운동 부하 후 당 투여 군에서 가장 높았으며 유리 지방산은 대조군 및 당투여 2시간군에서 높았다.
운동 부하 중 가자미근 및 적색 비복근의 당원 감소는 초 과축적 당원군, 과축적군 및 정상 군에서 다같이 운동 부하 첫 30분에 급격하였으나 초 과축적군에서 더 급격하였다. 운동 부하 30분엣 60분 사이에는 초 과축적군 및 정상 군에서 다같이 당원 감소는 거의 없었으나 과축적군에서는 지속적인 감소 상을 보였다. 간 당원은 정상 군에서 가장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골격근과는 달리 운동부하 60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초 과축적당원군의 간 당원 농도는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운동 부하 중 혈당은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였으며 인슐린은 운동 부하 후 당투여 군에서 감소하였다. 혈중 유리 지방산 농도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으며 운동 부하 후 당투여 군에서 가장 낮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has been to evaluate depletion pattern of the supercompensated stores is based in the fact that a glycogen-depleted muscle by exercise with have an increased avidity for glycogen when exposed to a high carbothdrate...
The aim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has been to evaluate depletion pattern of the supercompensated stores is based in the fact that a glycogen-depleted muscle by exercise with have an increased avidity for glycogen when exposed to a high carbothdrate diet. The glycongen concentration of soleus, red gastrocenemius and plantaris muscle, and liver was measured at 0,30 and 60 minutes during treadmill exercise.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divided into 5 group - Normal(N), Control(C), 1Hour(1HR:after 1hour of glucose ingestion), 2Hour(2HR:after 2hour of glucose ingestion )and Exercies- 1Hour(EX-1HR:glucose ingestion after 1 hour of preloading treadmill exercise)group - for glycogen storage study. The glycogen concentration of soleus, red gastrocnemius and plantaris muscles in N group was 4.57±0.34,5.11±0.24 and 6.55±0.20 mg/gm wet wt., respectively.
The glycogen concentration of soleus and red gastrocnemius on EX-1HR group were about 1.9 and 1.8 times than that of N group, respectively, but the concentration of plantaris was not higher than that of N group. The glycogen concentration of liver in N group was 41.0±1.47mg/gm wet wt.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overnight fasted C group was only 2.9% of the value of N group. The level of glycogen concentration of liver in the other glucose ingested groups(1HR,2HR, including EX-1HR) was within 19-32% of that of N group.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of EX-1H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 group, the plasma free fatty acid concentration of C and 2H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 group and the plasma insulin concentration of EX-1H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 group.
The concentrations os supercompensated glycogen of soleus and red gastrocnemius were rapidly decreased during 30 minutes of exercise but there was almost no changes of the concentration during the other 30 minutes of continuing exercise. The concentration of N group during 30 minutes of exercise was decreased but more slowly than those of EX-1HR group. The remaining level of glycogen after 60 minutes of exercise in EX-1HR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 group.
Taken together, the mobilization of endogenous muscle glycogen at the first stage of exercise was proportioned to the initial level of glycogen concnetration, and later on, when exercise continued, the muscle glycogen level was stabilized. And the remaining level of supercompensated muscle glycogen after 60 minutes of exercise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ly stored glycogen level. The mobilization of the glycogen stroed in show and fast oxidative muscle fibers in faster than in the fast glycolytic muscle fibers during strenous exerci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의 급성 호흡기 감염에 대한 Clarithromycin의 임상 효과
Epstenin-Barr virus와 두경부 악성종양과의 관계
만성 B형 간질환에서 간염 B virus 표식자 발현에 따른 DNA의 검출
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Beginner Creator를 위한 LED/LCD 디스플레이와 센서 활용[LED/LCD Display and Sensor Utilization for Beginner Creator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조도현바다의 이용
국립부경대학교 이인철영상기기의 활용
경운대학교 송호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