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 한국 유학사상 대계 교육사상 분야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 Suggestions for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Project, and for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opics particularly in the Domain of Educational Though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발표자는 우선 한국국학진흥원의 ‘한국 유학사상 대계’ 사업 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지적하였다. 이 ‘대계’의 기획은 유학을 바퀴 통으로 삼으면서 유학과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현대적 관심사들을 바퀴 살처럼 망라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성과 통일성을 아울러 갖추고 있어서, 기왕의 어떤 출판물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획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집필자가 해야 하는 일의 성격이 다소 불명확하다는 것, 각 분야별 연구책임자가 없다는 점 등이 중요한 기획 목표인 ’일관된 관점의 유지’를 어렵게 만들 수 있음을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사상」편과 관련해서는, 전근대시기의 교육과 유학이 맺고 있는 불가분리의 관계 때문에 이 편의 집필이 거의 우리 교육의 역사와 전통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줄기를 세우는 일에 맞먹는 의의를 갖고 있음을 의식하고 사명감을 가져 줄 것을 당부하였다. 체제와 구성에 관해서는, 먼저 지배적인 학풍에 따라 훈고/사장학 시기와 성리학 시기, 근대적 상황 속에서의 유학 등으로 구분한 바탕 위에서 왕조별로 고찰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유학의 교육사상을 현대적 관심에 맞추어 ① ‘대상에 따른’ 교육목적론敎育目的論, ②교육단계敎育段階 및 교육과정론敎育課程論, ③교육방법敎育方法 및 수양론修養論, ④ 교육제도론敎育制度論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되, 이 네 가지 세목들을 모두 상당한 분량으로 충실히 다룰 수 있는 시기는 유학의 전성기인 조선시대뿐이므로, 그 이외의 시대에 대해서는 네 세목을 참고 사항 정도로만 활용하도록 하고 시대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 융통성 있는 서술의 여지를 충분히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발표자는 우선 한국국학진흥원의 ‘한국 유학사상 대계’ 사업 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지적하였다. 이 ‘대계’의 기획은 유학을 바퀴 통으로 삼으면서 유학과 연결시킬 수...

      발표자는 우선 한국국학진흥원의 ‘한국 유학사상 대계’ 사업 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지적하였다. 이 ‘대계’의 기획은 유학을 바퀴 통으로 삼으면서 유학과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현대적 관심사들을 바퀴 살처럼 망라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양성과 통일성을 아울러 갖추고 있어서, 기왕의 어떤 출판물들보다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획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집필자가 해야 하는 일의 성격이 다소 불명확하다는 것, 각 분야별 연구책임자가 없다는 점 등이 중요한 기획 목표인 ’일관된 관점의 유지’를 어렵게 만들 수 있음을 지적하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교육사상」편과 관련해서는, 전근대시기의 교육과 유학이 맺고 있는 불가분리의 관계 때문에 이 편의 집필이 거의 우리 교육의 역사와 전통을 학문적으로 정리하여 줄기를 세우는 일에 맞먹는 의의를 갖고 있음을 의식하고 사명감을 가져 줄 것을 당부하였다. 체제와 구성에 관해서는, 먼저 지배적인 학풍에 따라 훈고/사장학 시기와 성리학 시기, 근대적 상황 속에서의 유학 등으로 구분한 바탕 위에서 왕조별로 고찰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 유학의 교육사상을 현대적 관심에 맞추어 ① ‘대상에 따른’ 교육목적론敎育目的論, ②교육단계敎育段階 및 교육과정론敎育課程論, ③교육방법敎育方法 및 수양론修養論, ④ 교육제도론敎育制度論 등으로 나누어 고찰하되, 이 네 가지 세목들을 모두 상당한 분량으로 충실히 다룰 수 있는 시기는 유학의 전성기인 조선시대뿐이므로, 그 이외의 시대에 대해서는 네 세목을 참고 사항 정도로만 활용하도록 하고 시대별 특성을 중심으로 한 융통성 있는 서술의 여지를 충분히 허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irst of all, this paper pointed out some difficulties and their solutions for the entire project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design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e paper highly estimated the project as being able to produce better outcomes than any other previous attempts, because it secures diversities and unity in that various modem domains of concern center around one single unifying theme id est Korean Confucianism However it also pointed out that there is some obscurity about the character of the writer's job, and there is no coordinator of domain, and these two flaws could render the maintenance of consistent point of view very difficult, which is an important objectives of this project, and then suggested it's solution.
      Concerning particularly the domain of 'educational thoughts', the author of paper stressed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is part as a groundwork for revealing mainstream of Korean history of education. Abou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opics, it suggested the double dimension periodization according to dominant academic trend, that is first exegetical and literary age, second neo-Confucian age, third Confucianism in the modem situation, and then division of period according to dynasty. It also suggested to classify Korean Confucian educational thoughts as four headings, namely ① thoughts on educational aims 'along to estates', ② thoughts' on educational stages and curricula, ③ thoughts on educational method and cultivation of one's mind, ④ thoughts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which reflects modem interests respectively as far as possible. But since sufficient historical materials and studies for writing could be available only in Choson dynasty as a matter of fact, so in other dynasties and periods these four headings would not be insisted upon rigidly, and enough flexibility for writing should be allowed.
      번역하기

      First of all, this paper pointed out some difficulties and their solutions for the entire project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design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e paper highly estimated the project as being able to produ...

      First of all, this paper pointed out some difficulties and their solutions for the entire project of the "Series of Korean Confucian Thoughts" design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e paper highly estimated the project as being able to produce better outcomes than any other previous attempts, because it secures diversities and unity in that various modem domains of concern center around one single unifying theme id est Korean Confucianism However it also pointed out that there is some obscurity about the character of the writer's job, and there is no coordinator of domain, and these two flaws could render the maintenance of consistent point of view very difficult, which is an important objectives of this project, and then suggested it's solution.
      Concerning particularly the domain of 'educational thoughts', the author of paper stressed the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is part as a groundwork for revealing mainstream of Korean history of education. About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opics, it suggested the double dimension periodization according to dominant academic trend, that is first exegetical and literary age, second neo-Confucian age, third Confucianism in the modem situation, and then division of period according to dynasty. It also suggested to classify Korean Confucian educational thoughts as four headings, namely ① thoughts on educational aims 'along to estates', ② thoughts' on educational stages and curricula, ③ thoughts on educational method and cultivation of one's mind, ④ thoughts on institutional arrangements, which reflects modem interests respectively as far as possible. But since sufficient historical materials and studies for writing could be available only in Choson dynasty as a matter of fact, so in other dynasties and periods these four headings would not be insisted upon rigidly, and enough flexibility for writing should be allow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문
      • 1. '대계'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 2. 특히 『교육사상』 편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 국하 연구 중장기 마스터플랜상의 목차
      • 지배적인 학풍에 따른 시기구분과 현대교육학의 관심사를 반영한 목차
      • 요약문
      • 1. '대계'전체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 2. 특히 『교육사상』 편에 해당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
      • 국하 연구 중장기 마스터플랜상의 목차
      • 지배적인 학풍에 따른 시기구분과 현대교육학의 관심사를 반영한 목차
      • Abstrac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