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김시습 평전 : 시대의 비판자, 귀속을 거부한 자유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640427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돌베게, 2003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810.92 판사항(3)

      • ISBN

        8971991585 03990: ₩2800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김시습 평전: 시대의 비판자, 귀속을 거부한 자유인. / 심경호 지음.

      • 형태사항

        [도판 6장], 707 p.: 도판; 24 cm.

      • 일반주기명

        권말에 "연보, 미주, 인명해설" 수록.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 : p.684-707

      • 소장기관
        •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중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금화도서관(서울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도서관(상주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고려대학교 과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고려대학교 세종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주보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국립창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민대학교 성곡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나사렛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율곡기념도서관(천안) 소장기관정보
        • 단국대학교 퇴계기념도서관(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소장기관정보
        • 대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덕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목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교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경영학도서관 Deep Link
        •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결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삼성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세종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신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연세대학교 원주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연세대학교 학술문화처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영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영산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우석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울산과학기술원 소장기관정보
        • 울산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위덕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인제대학교 백인제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인하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장로회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도서관(여수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제주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중앙대학교 서울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추계예술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교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체육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성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신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일장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남신학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홍익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책머리에 = 3
      • 예비적 고찰
      • 꿈꾸다 죽은 늙은이 : 김시습의 자서전 = 21
      • 청한자 김시습 = 38
      • 목차
      • 책머리에 = 3
      • 예비적 고찰
      • 꿈꾸다 죽은 늙은이 : 김시습의 자서전 = 21
      • 청한자 김시습 = 38
      • 귀속을 거부한 사상 편력 = 52
      • 제1부 수학 시절
      • 출생과 가문
      • 강릉의 오래된 가문 출신 = 69
      • 어머니의 집안과 내외 친척 = 74
      • 성균관 부근 마을에서 태어나다 = 76
      • 오세동자
      • 외조부의 훈육 = 79
      • 이계전과 조수에게 수학 = 85
      • 정승 허조의 내방 = 87
      • 세종의 장려 = 89
      • 유가 경전의 공부와 도가, 불교와의 인연
      • 김반과 윤상에게 수학, 성균관에서 공부 = 96
      • 모친의 별세 = 98
      • 도가, 불교와의 인연 = 101
      • 과거 공부와 결혼 = 107
      • 제2부 방랑의 길
      • 단종의 죽음
      • 과거 낙방 = 113
      • 계유정난 = 118
      • 단종의 양위 소식을 듣고 증흥사를 박차고 나서다 = 125
      • 강원도 초막동에서 겨울을 난 듯하다 = 130
      • 여섯 신하의 죽음 = 131
      • 단종의 죽음 = 135
      • 관서를 유람하다
      • 분노를 잊기 위해 호탕한 유람에 나서다 = 143
      • 개경에서 : 나나니벌에 침탈당한 고려 역사의 회고 = 146
      • 역사의 반추와 기층민에 대한 동정 : 평양에서 = 150
      • 변경의 풍물과 애국 행위에 대한 예찬 = 154
      • 부평 같은 삶 = 157
      • 『고문진보』와 『성리군서』를 구함 = 159
      • 다시 평양으로 돌아오던 중 하등극사 일행을 만나다 = 160
      • 대성산 광법사에 머물며 김영유, 박철손의 내방을 받다 = 162
      • 『도덕경』과 『주심경』을 구하다 = 164
      • 평양에서『유관서록』을 엮다 = 166
      • 관동을 유람하다
      • 송도에서 겨울을 나고 내금강으로 향하다 = 168
      • 내금강을 유람하며 쉴 곳 없는 처지를 곱씹다 = 169
      • 양주 회암사에서 『원각경』을 읽다 = 172
      • 나그네의 넋은 매달린 깃발과 같아라 = 173
      • 동해 물을 쏟아부어 일만 섬 수심을 씻어내고 싶다 = 175
      • 대관령을 넘어 다시 오대산으로 = 179
      • 「유관동록」을 엮다 = 181
      • 호남을 유람하다
      • 호서 땅에서 경생원과 조리를 만나다 = 183
      • 은진에서 노사신과 가시 돋친 말을 주고받다 = 185
      • 호남 여행 = 187
      • 시를 통한 백제 역사 논평 = 190
      • 인간의 조건 = 192
      • 백성의 소생을 반가워하다 = 194
      • 송광사에서 준화상과 재회하다 = 196
      • 운봉현을 넘어 해인사로 향하다 = 198
      • 『탕유호남록』을 엮다 = 199
      • 제3부 금오산의 은둔
      • 경주에서 원효를 추모하다
      • 경주 용장사 경실에 정착하다 = 203
      • 경주에서의 소요 = 206
      • 매화를 찾아나선 마음 = 209
      • 「무쟁비」와 원효 추모 = 212
      • 불사(佛事)에 몰두한 역대 사적 비판 = 217
      • 차나무를 심다 = 219
      • 진사 김진문과 상재생 주계정이 따르다 = 220
      • 강개한 뜻에서 『초사』를 읊다 = 221
      • 원각사 낙성회에 참여
      • 서울로 책을 사러 갔다가 효령대군을 만나다 = 224
      • 내불당의 『법화경』언해 사업에 참여 = 225
      • 『묘법연화경별찬』을 짓다 = 229
      • 금오산실의 복축 = 235
      • 원각사 낙성회에 참여하고 도첩을 받다 = 236
      • 호국불교와의 거리 = 240
      • 책을 구입하다 = 241
      • 서울 동쪽 산에 일시 머물다 = 243
      • 서거정을 찾다 = 245
      • 서울에서 예술세계를 접하다 = 250
      • 금오산으로 돌아가다 = 255
      • 금오산실의 은둔
      • 열흘을 앓고 난 뒤 문명사를 조망하다 = 257
      • 만남, 그리고 인연 = 260
      • 백률사 옥판사와의 교류 = 262
      • 소라고 부르면 소, 말이라고 부르면 말이지 = 264
      • 이시애의 난이 일어나다 = 266
      • 집구시 1백 수를 이루다 = 267
      • 『금오신화』창작 = 269
      • 소요 생활과 기층민의 삶에 대한 동정 = 276
      • 왜관에서 일본 승려 준장로와 만남 = 278
      • 『유금오록』의 정리 = 280
      • 제4부 현실 참여의 의지와 좌절
      • 변신의 시도
      • 성종의 등극 이후, 서울로 올라오다 = 287
      • 또 다른 설잠 = 290
      • 김수온을 찾아가다 = 292
      • 어유소, 고태필 등과 옛정을 잇다 = 296
      • 옛 산이 그립다 = 298
      • 글쓰기를 통한 정치사상의 개진 = 300
      • 생태사상과 절용(節用)의 중시 = 308
      • 성동에서의 생활
      • 수락산 폭천정사에 거처하다 = 314
      • 정업원에서 불경을 가르치고 사간원의 지탄을 받다 = 318
      • 박계손의 부음을 받고 오열하다 = 319
      • 흰 구름과 동무하다 = 321
      • 승려 조우를 골려주다 = 324
      • 친척 손순효 = 325
      • 문도 선행(善行) = 328
      • 의식세계의 심화
      • 도연명에게 공감하다 = 331
      • 굴원을 추모하여 = 338
      • 광기를 발하다 = 342
      • 노동의 중시 = 345
      • 시인 김시습 = 349
      • 역사란 무엇인가 = 355
      • 절의의 인물과 현인들을 추앙하다 = 365
      • 불교의 권력 예속에 대한 비판 = 373
      • 일연의『중편조동오위』를 전하다 = 379
      • 『십현담요해』를 저술하다 = 382
      • 『화엄석제』를 짓다 = 387
      • 『대화엄일승법계도주병서』를 저술하다 = 389
      • 명승의 강론에 참여하고 젊은 승려들을 가르치다 = 392
      • 방외인들과의 교유와 도가 양생설을 수용
      • 남효온, 이정은 등과의 교유 = 402
      • 이파에게 시를 보내다 = 408
      • 남효온의 소릉 복위 상소 = 411
      • 『황정경』의 연찬 = 417
      • 몸의 중시와 양생술의 참조 = 423
      • 「계인설」을 지어주다 = 427
      • 환속과 성리설의 연찬
      • 환속과 재혼 = 436
      • 일민의 삶 = 438
      • 술에 대한 사색 = 443
      • 남효온과의 우정 = 449
      • 시승 계인과 헤어짐 = 453
      • 종실 사람들과의 교유 = 454
      • 서거정과 결별하다 = 456
      • 죽림칠현과의 거리 = 459
      • 철학 논쟁에 간접적으로 참여하다 = 461
      • 자연의 탐구 = 466
      • 귀신에 관한 사색 = 469
      • 「양보음」에 차운한 뜻 = 475
      • 제5부 관동에서의 만년
      • 다시 관동
      • 관동으로 두타행을 떠나다 = 483
      • 공부의 참 의미를 생각해보다 = 488
      • 망념을 다스릴 수 있을 것인가 = 490
      • 한때 곡운에 운둔하다 = 491
      • 춘천에서 = 494
      • 춘천에서 인제로 = 500
      • 관동의 산과 바다
      • 독산원을 거쳐 동해로 = 511
      • 동해 가에 한 점이 되어 = 512
      • 우리나라 고인들의 풍모에 대한 예찬 = 514
      • 강릉의 옥에 갇히다 = 515
      • 양양에서
      • 현산의 꽃떨기 = 517
      • 양양 부근 낙진촌에 머물다 = 521
      • 관휴의 시에 화운하다 = 523
      • 이 밤은 언제 다하려나 = 528
      • 태평세월이소서 = 532
      • 설악에 정착하다 = 537
      • 양양부사 유자한과 교유하다 = 539
      • 유자한의 출사 권유를 뿌리치다 = 545
      • 선행도 떠나고, 서울 친구들이 그립다 = 551
      • 다시 갑갑해진 산중 생활 = 553
      • 지팡이와 오건으로 떠도는 삶의 반추 = 555
      • 중흥사의 밀담
      • 1491년 중흥사에 나타나다 = 560
      • 김일손이 소릉 복위 상소를 올리다 = 562
      • 남효온의 죽음 = 566
      • 제6부 죽음과 추모
      • 죽음
      • 무량사에서의 마지막 글 : 『묘법연화경』발문 = 571
      • 무량사에서 죽음 = 575
      • 홍유손의 고난과 남효온의 부관참시 = 577
      • 추모
      • 윤춘년 등의 추모와 시문 수습 = 579
      • 후대 지식인들의 추모 = 583
      • 민중의 사랑을 받아온 김시습 = 593
      • 들리는가, 그의 웃음소리 = 596
      • 연보 = 599
      • 미주 = 608
      • 인명 해설 = 670
      • 참고문헌 = 684
      • 찾아보기 = 696
      더보기

      온라인 도서 정보

      온라인 서점 구매

      온라인 서점 구매 정보
      서점명 서명 판매현황 종이책 전자책 구매링크
      정가 판매가(할인율) 포인트(포인트몰)
      예스24.com

      김시습 평전

      품절 28,000원 25,200원 (10%)

      종이책 구매

      280포인트 (1%)
      • 포인트 적립은 해당 온라인 서점 회원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 상기 할인율 및 적립포인트는 온라인 서점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RISS 서비스에서는 해당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한 상품에 대하여 보증하거나 별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저자소개

      자료제공 : YES24.COM

      more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