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각국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자료를 활용한 바나나 중 농약 잔류 실태 조사 = Residual characteristics of pesticide in banana from international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32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 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

      이 연구는 농산물의 원산지에 따른 검출 농약을 조사하여 대한 민국의 수입 바나나 중 잔류농약 안전 관리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미국, 일본, EU, 영국 및 대한민국의 2007에서 2018년까지 바나나 중 잔류농약 검사 결과를 활용하여 검출 농약, 검사 건수, 농약 검출 건수 및 검출량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바나나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검출된 농약은 총 109종이었으며, 전체 검사 건수는 206,894건이었다. 이 중 9,483건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으며, 농약 검출률은 4.58%였다. 검출된 농약은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및 thiabendazole 등 이었으며, 이 농약들의 검출률은 10.62-24.62% 범위였다. Chlorpyrifos가 검출 건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다음으로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및 carbendazim 순이었다. EU, 일본, 미국, 영국 및 대한민국의 잔류농약 검사에서 각각 85, 57, 23, 18 및 8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bifenthrin 및 chlorpyrifos는 모든 국가의 모니터링에서 검출되었다. 코스타리카 및 에콰도르산 바나나에서 각각 14 및 12종 농약이 검출되었다. Imazalil 및 thiabendazole은 각각 16 및 11개 원산지에서 검출되었다. Myclobutanil 및 iprodione은 각각 4 및 2개국산에서 검출되었다. Azoxystrobin 및 bifenthrin은 코스타리카산 바나나에서 각각 11.8 및 9.8% 검출 건수를 보였고, azoxystrobin의 검출률은 콜롬비아산에서 19%였다. 벨리즈산,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chlorpyrifos는 각각 22.7, 13.3 및 10.8%의 검출률을 보였고, 콜롬비아산 및 코스타리카산 바나나 중 myclobutanil의 검출률은 각각 17.9 및 10.4%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use the safety management data for residual pesticides in imported banana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esticide residue det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different origin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USA, EU, ...

      This study was designed to use the safety management data for residual pesticides in imported banana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esticide residue dete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with different origins in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USA, EU, UK, Japan and Korea from 2007 to 2018, the results of banana residue pesticides were summarized into detected pesticides, number of inspections, number of pesticide detection cases, and the amount of detected pesticide residue. A total of 109 pesticides were detected for the pesticide residue and pesticide detection rate was 4.58% in 206,894 cases. The detection rate was ranged within 10.62-24.62% for chlorpyrifos, imazalil, methyl-bromide, azoxystrobin, carbendazim, pretilachlor and thiabendazole. Among them, chlorpyrifos was detected most often followed by imazalil, azoxystrobin, thiabendazole, bifenthrin and carbendazi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nitoring data for bananas in EU, Japan, USA, UK and Korea, the kinds of detected pesticides were 85, 57, 23, 18 and 8, respectively. Azoxystrobin, bifenthrin and chloropyrifos were found in monitoring data of all countries. Fourteen and twelve pesticides were detected in bananas from Costa Rica and Ecuador, respectively. Imazalil and thiabendazole were detected in 16 and 11 origins, respectively. Myclobutanil and iprodione were detected in four and two countries, respectively. In bananas from Costa Rica, azoxystrobin and bifenthrin were detected 11.8 and 9.8%, respectively, and the detection rate of azoxystrobin was 19% in bananas from Colombia. Chlorpyrifos was detected 22.7, 13.3 and 10.8% in bananas from Belize, Colombia and Costa Rica respectively. Myclobutanil was detected in bananas from Colombia and Costa Rica with the rate of 17.9 and 10.4%, respective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 (3): 2015

      2 황정인, "토양에 잔류된 살충제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이행 및 분포" 한국농약과학회 18 (18): 148-155, 2014

      3 노현호, "청주지역 도매 및 재래시장 유통 엽채류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한국농약과학회 14 (14): 381-393, 2010

      4 정세진, "인천지역 유통 과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11-120, 2014

      5 이재윤, "인삼 중 azoxystrobin의 재배방법별 잔류특성 및 행적" 한국농약과학회 19 (19): 14-21, 2015

      6 안재형,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이 토양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1 (21): 1-8, 2017

      7 황래홍, "수입 과일에 살포된 수확 후 처리농약(Post-harvest pesticide)의 경시적 변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245-250, 2010

      8 최근형, "수도작 작물의 토양 잔류 Endosulfan 흡수 이행성" 한국농약과학회 22 (22): 25-28, 2018

      9 최근형, "다소비 채소작물인 시금치와 당근의 토양 중 엔도설판 흡수이행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0 (60): 339-342, 2017

      10 박수진, "농약 alacholr, butachlor 및 fipronil이 제브라피쉬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약과학회 18 (18): 14-20, 2014

      1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3 (3): 2015

      2 황정인, "토양에 잔류된 살충제 Chlorpyrifos의 오이 흡수이행 및 분포" 한국농약과학회 18 (18): 148-155, 2014

      3 노현호, "청주지역 도매 및 재래시장 유통 엽채류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한국농약과학회 14 (14): 381-393, 2010

      4 정세진, "인천지역 유통 과일 중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위해성 평가" 한국환경농학회 33 (33): 111-120, 2014

      5 이재윤, "인삼 중 azoxystrobin의 재배방법별 잔류특성 및 행적" 한국농약과학회 19 (19): 14-21, 2015

      6 안재형, "유기염소계 살충제 엔도설판이 토양세균 군집에 미치는 영향 평가" 한국농약과학회 21 (21): 1-8, 2017

      7 황래홍, "수입 과일에 살포된 수확 후 처리농약(Post-harvest pesticide)의 경시적 변화"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245-250, 2010

      8 최근형, "수도작 작물의 토양 잔류 Endosulfan 흡수 이행성" 한국농약과학회 22 (22): 25-28, 2018

      9 최근형, "다소비 채소작물인 시금치와 당근의 토양 중 엔도설판 흡수이행능" 한국응용생명화학회 60 (60): 339-342, 2017

      10 박수진, "농약 alacholr, butachlor 및 fipronil이 제브라피쉬 배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약과학회 18 (18): 14-20, 2014

      11 조윤식, "경기도내 유통 수입과실류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한국농약과학회 16 (16): 195-201, 2012

      12 유경신, "경기도내 유통 생즙 원료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위해성 평가"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33 (33): 339-346, 2018

      13 FAOSTAT, "banana"

      14 MFDS,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56-, 2018

      15 MFDS,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06-, 2017

      16 MFDS,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52-, 2016

      17 MFDS,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134-, 2015

      18 MFDS, "Yearbook of Imported Food Inspection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42-243, 2014

      19 Korea Customs Service, "Trade statistics"

      20 Turner JA, "The Pesticide Manual A World Compendium Seventeenth Edition" BCPC 2015

      21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The European Union report on pesticide residues in food" 2015

      22 EFSA, "The 2012 European Union report on pesticide residues in food"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2014

      23 MHLW a (Ministi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Test Results such as Pesticide Residues in Food for 2007-2015"

      24 PRiF b (Pesticide Residues in Food), "School Fruit and Vegetable Scheme report on pesticide residues monitoring for 2015, 2016, 2017"

      25 서은경, "QuEChERS 전처리와 LC-MS/MS를 이용한 고추 중 침투성농약Imidacloprid 및 대사물질 동시분석법" 한국농약과학회 17 (17): 264-270, 2013

      26 Lee JH, "Post-harvest Safety: Residue Patterns of Boscalid on Cucumber during Storage or by Washing" 2008 : 141-, 2008

      27 Codex Alimentarius, "Pesticides MRLs"

      28 PRiF a (Pesticide Residues in Food), "Pesticide Residues Monitoring Programme for 2012, 2015, 2018"

      29 U.S. FDA, "Pesticide Residue Monitoring Program Fiscal Year 2010-2016 Pesticide Report" 2019

      30 Llorent-Martinez EJ, "Multicommuted fluorescence based optosensor for the screening of bitertanol residues in banana samples" 102 (102): 676-682, 2007

      31 MFDS,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Agricultural Product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6

      32 Ji YJ,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for Agricultural Commodities in Korean and Foreign country" Daegu University 2017

      33 Aquino A, "MSPD Procedure for Determination of Carbofuran, Pyrimethanil and Tetraconazole Residues in Banana by GCMS" 2009

      34 MFDS, "MRLs for Pesticides in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5

      35 MFDS, "MRLs for Pesticides in Foods"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9

      36 PRiF c (Pesticide Residues in Food), "Industry data report for 2012, 2015"

      37 MHLW b (Ministi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Imported Foods Inspection Services Home Page"

      38 Korean Crop Protection Association, "Guidance Document of Crop Protection Products(Pesticide)" 2017

      39 Weber J, "Endosulfan, a global pesticide: A review of its fate in the environment and occurrence in the Arctic" 408 : 2966-2984, 2010

      40 Li R, "Enantioseparation of Imazalil and Monitoring of Its Enantioselective Degradation in Apples and Soils Using Ultra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65 (65): 3259-3267, 2017

      41 "EU RASFF (the Rapid Alert System for Food and Feed) (2014, 2016, 2017)"

      42 "EU Pesticide database"

      43 김서홍, "Difenoconazole과 Pymetrozine의 미나리 중 잔류특성 및 가공계수"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44 Veneziano A, "Determination of carbendazim, thiabendazole and thiophanate-methyl in banana (Musa acuminata) samples imported to Italy" 87 (87): 383-386, 2004

      45 Yoo J, "Cross Resistance of Cypermethrin-and Methomyl-Resistance and Linkage Group Analysis on Cypermethrin Resistance in House Fly (Musca domestica L.)" 40 (40): 337-344, 2001

      46 Dan K, "BANANA: The Fate of the Fruit That Changed the World" IMAGO 2010

      47 Hernandez-Borges J, "Analysis of pesticide residues in bananas harvested in the Canary Islands (Spain)" 113 (113): 313-319, 2009

      48 aT Korea Agro Fisheries & Food Trade Corporation, "2016 Distribution Status 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919-,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Agricultrual Chemistry and Biotechnology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44 0.741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