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icle ‘edaga’ can be used as an adverbial case maker and as a conjunctive particle. This study searched these two categories’ usages of ‘edaga’. Furthermore in some positions ‘edaga’, ‘eda’, ‘e’ are all can be fit in. Therefor...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61101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54(2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article ‘edaga’ can be used as an adverbial case maker and as a conjunctive particle. This study searched these two categories’ usages of ‘edaga’. Furthermore in some positions ‘edaga’, ‘eda’, ‘e’ are all can be fit in. Therefor...
Particle ‘edaga’ can be used as an adverbial case maker and as a conjunctive particle. This study searched these two categories’ usages of ‘edaga’. Furthermore in some positions ‘edaga’, ‘eda’, ‘e’ are all can be fit in. Therefore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words. The syntactic properties of an adverbial case maker ‘edaga’ were searched in accordance with th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edaga’ and the predicate. As for semantic functions of adverbial case maker ‘edaga’, they are ‘fixed position’ and ‘addition’. On the other hand, the syntactic properties of a conjunctive particle ‘edaga’ were searched in accordance with combination of ‘edaga’ with sentence constituents. As for semantic functions of conjunctive particle ‘edaga’, it is ‘add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곤, "현대나라말본" 박이정출판사 1996
2 이정화, "현대국어의 접속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 부사격 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 한국학술정보 2007
5 권재일,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6 허웅, "표준문법" 신구문화사 1967
7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이희자, "텍스트 분석적 국어 조사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8
9 이희승, "초급국어문법" 박문출판사 1949
10 이기동,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 의미" 한글학회 173 : 9-34, 1981
1 김승곤, "현대나라말본" 박이정출판사 1996
2 이정화, "현대국어의 접속조사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 박지용, "현대국어 조사 간의 결합관계 연구 : 부사격 조사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4 이규호, "한국어 복합조사" 한국학술정보 2007
5 권재일, "한국어 문법의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4
6 허웅, "표준문법" 신구문화사 1967
7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8 이희자, "텍스트 분석적 국어 조사의 연구" 한국문화사 1998
9 이희승, "초급국어문법" 박문출판사 1949
10 이기동, "조사 에와 에서의 기본 의미" 한글학회 173 : 9-34, 1981
11 이규호, "접속조사의 분류와 목록" 우리말글학회 37 : 171-195, 2006
12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문화사 1937
13 김석득, "우리말 형태론" 탑출판사 1992
14 이원근, "우리말 도움토씨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7
15 허용,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학 개론" 박이정 2005
16 이희승, "역대한국문법대계" 탑출판사 1985
17 한용운, "언어 단위 변화와 조사화" 한국문화사 2003
18 허웅, "국어학-우리말의 오늘ㆍ어제-" 샘문화사 1983
19 임홍빈, "국어재귀사연구" 신구문화사 1987
20 유동석, "국어의 격 중출 구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31 : 307-337, 1998
21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學硏社 1999
22 유동석, "국어매개변인문법" 신구문화사 1995
23 이광호, "국어격조사 ‘-을/를’의 연구" 탑출판사 1988
24 성광수, "국어 조사의 연구" 형설출판사 1979
25 김진수, "국어 접속조사와 어미 연구" 탑출판사 1987
26 임홍빈, "국어 문법론Ⅰ"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27 이태영, "국어 동사의 문법화 연구" 한신문화사 1988
28 康琪鎭, "國語 助詞 ‘에’의 意味機能" 동국대학교 13 : 23-41, 1986
29 김영희, "‘닥-아서’에서 ‘다가’까지" 연세대학교 6 : 83-108, 1975
30 이남순, "‘다가’攷, In 이기문 교수 정년퇴임 기념논총" 신구문화사 455-477, 1996
31 김문웅, "‘-다가’류의 문법적 범주" 한글학회 176 : 149-178, 1982
32 백낙천, "‘(-)다가’에 대하여" 동국대학교 8 : 213-230, 1996
33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문화사 1995
〈도화녀ㆍ비형랑〉 설화에 나타난 두두리(豆豆里)신앙의 지역화와 진지왕계 복권신화적 기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6 | 0.56 | 0.5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4 | 0.53 | 0.99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