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bate about manners(禮訟論爭) in Late Chosun(朝鮮) is the issues about the Legitimacy of king beyond external format on manners. When it comes to these days is the debate on realism and idealism. Hyojong(孝宗) is the second son on to be b...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bate about manners(禮訟論爭) in Late Chosun(朝鮮) is the issues about the Legitimacy of king beyond external format on manners. When it comes to these days is the debate on realism and idealism. Hyojong(孝宗) is the second son on to be b...
The Debate about manners(禮訟論爭) in Late Chosun(朝鮮) is the issues about the Legitimacy of king beyond external format on manners. When it comes to these days is the debate on realism and idealism. Hyojong(孝宗) is the second son on to be borned, but he is the eldest son about the Legitimacy of king. In the first the party of west had to win, in the second the party of south had to win. This argument is just the starting point polite way to adapt to reality, so different, different results. The party of west is taken by the positions of idealism than the value of Jus sanguinis in point of the ‘Tien li(天理)’. On the other hand the party of south shows realism of the Legitimacy of king in terms of the reality of power in point of the ‘Jén shih(人事)’.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 후기에 나타난 예에 관한 논쟁이 정쟁으로 화한 ‘예송(禮訟)’이라는 것은 단순한 예의 외적 형식의 문제를 넘어선 왕통(王統)과 혈통(血統)의 문제로 봐야 한다. 요즘으로 말하자면 ...
조선 후기에 나타난 예에 관한 논쟁이 정쟁으로 화한 ‘예송(禮訟)’이라는 것은 단순한 예의 외적 형식의 문제를 넘어선 왕통(王統)과 혈통(血統)의 문제로 봐야 한다. 요즘으로 말하자면 현실주의(現實主義)와 이상주의(理想主義)에 관한 논쟁이다. 효종이 혈통으로 보면 차남이지만 왕통으로 보면 대통을 이었으니까 현실적으로 장자라는 논리가 논쟁의 쟁점이다. 1차 예송은 서인의 혈통주의가 승리했고, 2차 예송은 1차 예송과 같이 대통을 이였다는 적통의 계승자라는 남인의 현실주의가 승리한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바로 예의 출발점이 서로 다르므로 현실에 즉응하는 방법이 다른 결과이다. 서인은 ‘예(禮)’의 두 가지 측면 중 ‘천리(天理)’에 보다 가치를 부여한 혈통주의인 이상주의의 입장을 취한 것이다. 반면에 남인은 ‘인사(人事)’의 측면에서 권력의 실체로서 왕통주의인 현실주의 입장을 나타낸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顯宗實錄"
3 "荀子"
4 "肅宗實錄"
5 "家禮輯覽"
6 "宋子大全"
7 "孟子"
8 "孝宗實錄"
9 "大學"
10 "周易"
1 "論語"
2 "顯宗實錄"
3 "荀子"
4 "肅宗實錄"
5 "家禮輯覽"
6 "宋子大全"
7 "孟子"
8 "孝宗實錄"
9 "大學"
10 "周易"
11 "儀禮疏"
12 "仁祖實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