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론
- 2. 이론적 논의
- 3. 연구 방법
- 4. 연구결과
- 5. 논의 및 결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56885
2016
Korean
07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95-126(32쪽)
1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윤남, "트위터 공간에서의 허위합의지각 : 네트워크 동질성과 이념강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271-296, 2013
2 오택섭, "텔레비전 후보자 토론회와 적대적 매체 지각 -제17대 대통령 후보 토론회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127-164, 2008
3 이은주,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회 55 (55): 179-198, 2011
4 오미영,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여론 지각에 있어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스 미디어 그리고 인터넷의 역할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가설(Pluralistic Ignorance)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195-230, 2005
5 오택섭, "적대적 매체지각: 메시지인가 메신저인가" 한국언론학회 49 (49): 135-166, 2005
6 강재원,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효과 연구 : 이슈의 관여도와 의견의 일치성 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회 56 (56): 143-166, 2012
7 이은주,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3 (53): 50-71, 2009
8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9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0 김경년,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난장으로서의 공론장’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회 19 (19): 7-41, 2005
1 장윤남, "트위터 공간에서의 허위합의지각 : 네트워크 동질성과 이념강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271-296, 2013
2 오택섭, "텔레비전 후보자 토론회와 적대적 매체 지각 -제17대 대통령 후보 토론회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2 (22): 127-164, 2008
3 이은주, "지각된 편향인가 편향된 지각인가? 댓글의 내용, 여론에 대한 인식과 이슈 관여도에 따른기사의 논조 지각" 한국언론학회 55 (55): 179-198, 2011
4 오미영, "정치적 이슈에 대한 여론 지각에 있어서 대인커뮤니케이션, 매스 미디어 그리고 인터넷의 역할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가설(Pluralistic Ignorance)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5 (5): 195-230, 2005
5 오택섭, "적대적 매체지각: 메시지인가 메신저인가" 한국언론학회 49 (49): 135-166, 2005
6 강재원, "인터넷 뉴스기사에 달린 댓글의 효과 연구 : 이슈의 관여도와 의견의 일치성 여부를 고려해서" 한국언론학회 56 (56): 143-166, 2012
7 이은주, "인터넷 뉴스 댓글이 여론 및 기사의 사회적 영향력에 대한 지각과 수용자의 의견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3 (53): 50-71, 2009
8 양혜승, "인터넷 뉴스 댓글의 견해와 품질이 독자들의 이슈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회 52 (52): 254-281, 2008
9 정일권,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302-327, 2006
10 김경년, "오마이뉴스 독자의견 분석:‘난장으로서의 공론장’가능성 탐색" 한국방송학회 19 (19): 7-41, 2005
11 김영석, "여론과 현대사회" 나남출판 1996
12 한혜경, "여론 지각매체로서 인터넷에 관한 연구: 디지털조선과 오마이뉴스 독자 집단의 의사합의(false consensus) 지각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7 (47): 1-33, 2003
13 유홍식, "악성 댓글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회 24 (24): 238-278, 2010
14 김영석, "설득 커뮤니케이션" 나남출판 2008
15 Bonchek, M. S., "브로드캐스트에서 넷캐스트로: 인터넷과 정치정보의 흐름" 커뮤니케이션북스 1997
16 김경모, "메시지 품질과 토론 연결망의 구조적 위치, 그리고 여론지도력: 서울시 ‘무상급식 논란’의 온라인 정치토론 사례 분석" 한국언론정보학회 56 (56): 194-218, 2011
17 이미나, "댓글의 논조, 숫자, 사전 태도가 이슈의 합의추정에 미치는 영향"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7 (27): 47-87, 2010
18 김은미, "댓글에 대한 노출이 뉴스 수용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회 50 (50): 33-64, 2006
19 박종민, "다원적 무지, 침묵의 나선, 제 3자 효과, 그리고 상호지향성모델의 개념적 비교" 1-21, 2004
20 권대열, "국정원 국내파트 폐지, 정권초 반짝했다 흐지부지"
21 김인원, "국정원 개혁 특위, ‘국내 파트 폐지’ 여야 전쟁 스타트"
22 정일권, "개인의견, 정보원 의존, 심리적 속성이 여론지각의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다원적 무지 논의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15 (15): 175-208, 2007
23 Wojcieszak, M., "‘Don’t talk to me’ : Effects of ideologically homogeneous online groups and politically dissimilar offline ties on extremism" 12 (12): 637-655, 2010
24 Schmitt, K. M., "Why partisans see mass media as biased" 31 : 623-641, 2004
25 Ross, J., "The false consensus effect : An egocentric bias in social perception and attribution process" 13 (13): 279-301, 1977
26 Marks, G., "Ten years of research on the false-consensus effect" 102 (102): 72-90, 1987
27 Fields, J. M., "Public beliefs about beliefs of the public" 40 : 431-445, 1976
28 O’Gormann, H. J., "Pluralistic ignorance and white estimates of white support for racial segregation" 39 : 313-330, 1975
29 Prentice, D. A., "Pluralistic ignorance and alcohol use on campus : Some consequences of misperceiving the social norm" 64 (64): 243-256, 1993
30 Tichenor, P., "Mass media and community public opinion" 16 : 593-606, 1973
31 Gunther, A. C., "Mapping the boundaries of the hostile media effect" 54 : 55-70, 2004
32 Mutz, D. C., "Facilitating communication across lines of political difference : The role of mass media" 95 (95): 97-114, 2001
33 Gunther, A. C., "Broad reach or biased source? : Decomposing the hostile media effect" 56 : 449-466, 2006
34 Cappella, J. N., "Argument repertoire as a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opinion quality : Electronic dialogue during campaign 2000" 19 (19): 73-93, 2002
35 Reid S. A., "A self-categorization explanation for the hostile media effect" 62 : 381-399, 2012
시청자의 가구형태는 음식프로그램 시청효과 발생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의미연결망분석을 이용한 2005~2014년 자살보도 분석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이용자의 몰입이 이용저하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75 | 1.75 | 1.9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07 | 2.11 | 2.773 | 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