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바타이유 기념비>와 <벨머 스피노자 페스티벌>을 포함한 스위스 출신 작가 토마스 허쉬호른(Thomas Hirschhorn, 1957-)의 공공미술프로젝트를 연구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바타이유 기념비>와 <벨머 스피노자 페스티벌>을 포함한 스위스 출신 작가 토마스 허쉬호른(Thomas Hirschhorn, 1957-)의 공공미술프로젝트를 연구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민...
본 논문은 <바타이유 기념비>와 <벨머 스피노자 페스티벌>을 포함한 스위스 출신 작가 토마스 허쉬호른(Thomas Hirschhorn, 1957-)의 공공미술프로젝트를 연구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민주주의에 대한 표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허쉬호른의 작품은 예술에 소외되어 있는 이주민이 사는 저개발 지역에 합판, 플라스틱, 호일 등 저렴한 일상재료로 불안정한 3차원의 콜라주 형태로 제작된다. 허쉬호른은 이와 같은 미학적 전략을 통해 세계화, 자본주의와 같은 동시대 사회현상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하며,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본격적으로 민주주의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드러낸다.
이러한 허쉬호른의 비판적 시각에는 1989년 베를린 장벽이 붕괴하고, 소비에트 연방이 무너진 후 달라진 유럽의 상황과 이에 따른 전 세계적인 변화의 흐름이 반영된 것이었다. 강력한 자본을 앞세운 미국과 몇몇 서유럽 국가들의 권력을 공고히 하고 경제적인 이익을 보호하기 위해 민주주의를 도구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특히 9. 11 테러 사건과 이라크 전쟁의 연쇄적 발생은 민주주의를 위해서라면 이데올로기적인 폭력도 정당화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을 갖게 하였으며 이에 따라 민주주의는 많은 문제점을 노정하였다. 정치, 사회, 문화 등 모든 영역에서 민주주의는 심각한 논의의 대상이 되었고 예술계에서도 예외는 아니었다. <바타이유 기념비>가 선을 보였던 《도큐멘타 11》(2002)에서는 ‘실현되지 않은 민주주의’라는 심포지엄을 개최하여 우리가 직면한 민주주의 문제에 대해 성찰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이 심포지엄에서 논의된 민주주의의 문제 진단과 우리의 실천 방향을 바탕으로, 허쉬호른의 공공미술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평등 정신과 그가 주장하는 예술의 자율성에 주목하여 자크 랑시에르(Jacques Rancière)의 미학과 정치에 대한 논의를 접목하여 분석하고자 했다.
특정 철학자에게 헌정하는 기념비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그 인물과 상관없는 이주민 노동자들의 거주 지역에서 저렴한 일상재료로 제작되는 반反위계적인 작품은 이주민들이 철학과 예술에 관한 책을 읽고 연극과 강의에 참여하는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 같은 예술실천은 예술에 소외된 이주민들의 지적 평등을 드러내고 나아가 능동적인 주체로 거듭날 수 있는 정치성을 부여한다. 랑시에르는 정치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 조건으로 평등을 내세우며, ‘감각적인 것’에 정초하여 정치에 대해 논의한다. 즉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고 말하는 감각과 행동들은 우리 주변의 환경, 즉 지역, 정치적, 사회적, 문화적, 교육적인 시공간에 따라 달라지고, 제한받기 때문에 정치는 미학과 불가분성을 지닌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각자의 몫을 할당하는 것은 들리는 것/들리지 않는 것, 말하는 것/ 말하지 않는 것과 같은 감각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할된 선을 변화시키고 균열을 초래하는 것이 바로 감각을 다루는 예술이자 미학이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새로운 예술이 출현하는 것은 기존의 질서에 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예술은 예술 그 자체로 곧 정치적인 것이 되는 자율성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허쉬호른이 주장하는 예술의 자율성은 미학과 정치의 동일성이라는 점에서 랑시에르가 주장하는 예술의 자율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허쉬호른의 작품을 통해 미적 경험을 하는 관람자들은 새로운 감각을 확언하고 자신들의 ...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democracy in public art projects of Thomas Hirschhorn (1957~), a Swiss-born artist, including <Bataille Monument> and <Bijlmer Spinoza-Festival>. His works were manufactured by unstable...
This paper explores the representation and meaning of democracy in public art projects of Thomas Hirschhorn (1957~), a Swiss-born artist, including <Bataille Monument> and <Bijlmer Spinoza-Festival>. His works were manufactured by unstable three-dimensional collage form with cheap daily materials such as plywood, plastic, foil, etc. in underdeveloped area where immigrants neglected from art reside. Hirschhorn strongly criticized contemporary social phenomena such as globalization and capitalism, through the aesthetic strategy and showed critical attitude for democracy earnestly in the 2000s.
The critical eye of Hirschhorn was reflected by changed European situation after the Berlin Wall and Soviet Union were collapsed in 1989 and the changing stream of the whole world. The power of America and several countries of Western Europe with lots of capitals started to use democracy as a tool so as to strengthen their power and protect their economic benefits. Particularly, sequential occurrence of 9. 11 terrorism and Iraq War gave a critical mind that ideological violence can be justified for democracy. Therefore, democracy shows lots of problems. In all of sectors such as politics, society, culture, etc. democracy was a subject of serious discussion and it was not excluded in the art world. In 《Documenta 11》(2002) that <Bataille Monument> was shown, the symposium of ‘unrealized democracy’ was held so as to introspect democratic problems we face with. This research intended to focus on spirit of equality in Hirschhorn's public art projects and autonomy of art insisted by him based on the diagnosis of discussed democratic problems and our direction of practice and analyze them by grafting onto the discussion of aesthetics and politics of Jacques Rancière.
Although it's a form of monument dedicated to particular philosopher, the anti-hierarchical works manufactured by cheap daily materials in dwelling area of immigrant workers who are not related to the character is the space where immigrants read books related to philosophy and art and participate in dramas and lectures. The artistic practice shows intellectual equality of immigrants excluded from art and furthermore, gives political nature for becoming an active subject. Rancière emphasizes equality as a precondition for politics and discusses politics based on ‘le sensible’. He states that politics is inseparable from aesthetic, because our senses and actions of seeing, hearing, feeling, and speaking depend on our surrounding circumstances, such as local, political,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time and space, and simultaneously, the senses and actions are limited by them. A share of each person can be allocated by senses like what to be heard/unheard and what to be spoken/unspoken. Thus, it can be said that arts or aesthetic to deal with senses result in changes or cracks upon the line of distribution those opposing matters related to senses. In this regard, it can be also said that emergence of new art changes existing order, and then, art itself becomes political. Therefore, regarding the aspect that aesthetic and politics are the same,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utonomy of art Hirschhorn insists is nothing but the autonomy of art that Rancière suggests.
Marginalized immigrants can practically and actively conduct artistic performance through Hirschhorn’s works. By affirming their new senses and re-distributing senses as drawing a new line to separate existing system into parts, the immigrants come to be reborn as political subject. In this regard, this paper analyzes that public art projects of Hirschhorn criticize democracy used as a tool of advanced countries and furthermore, aim for the theory of democracy including conflicts and dissensus while requesting their stakes and redividing their sense. This paper is a trial to read democracy criticism and the alternative finding in Hirschhorn's works in depth through the discussion of Rancière abo...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영일,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 난장 2010
2 최갑수, "서양의 민주주의―이념과 변용―" 한국역사연구회 (87) : 35-69, 2013
3 김상현, "상탈 무페(Chantal Mouffe)의 탈근대성과 민주주의: ‘정치적인 것’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31-52, 2008
4 조르조 아감벤, "민주주의는 죽었는가?: 새로운 논쟁을 위하여" 난장 2010
5 자크 랑시에르, "민주주의는 왜 증오의 대상인가" 인간사랑 2011
6 자크 랑시에르, "미학적 전복 La subversion esthéthique" 홍익대학교 2008
7 자크 랑시에르, "미학 혁명과 그 결과: 자율성과 타율성의 서사 만들기, In 뉴 레프트 리뷰" 도서출판 길 2009
8 자크 랑시에르,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08
9 김기수, "랑시에르의 ‘정치적 예술’에 관하여 - 윤리적 전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8 : 27-68, 2013
10 박기순, "랑시에르에서 미학과 정치" 한국미학회 (61) : 59-100, 2010
1 조영일, "현대 정치철학의 모험" 난장 2010
2 최갑수, "서양의 민주주의―이념과 변용―" 한국역사연구회 (87) : 35-69, 2013
3 김상현, "상탈 무페(Chantal Mouffe)의 탈근대성과 민주주의: ‘정치적인 것’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정보학회 11 (11): 31-52, 2008
4 조르조 아감벤, "민주주의는 죽었는가?: 새로운 논쟁을 위하여" 난장 2010
5 자크 랑시에르, "민주주의는 왜 증오의 대상인가" 인간사랑 2011
6 자크 랑시에르, "미학적 전복 La subversion esthéthique" 홍익대학교 2008
7 자크 랑시에르, "미학 혁명과 그 결과: 자율성과 타율성의 서사 만들기, In 뉴 레프트 리뷰" 도서출판 길 2009
8 자크 랑시에르, "미학 안의 불편함" 인간사랑 2008
9 김기수, "랑시에르의 ‘정치적 예술’에 관하여 - 윤리적 전환의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38 : 27-68, 2013
10 박기순, "랑시에르에서 미학과 정치" 한국미학회 (61) : 59-100, 2010
11 자크 랑시에르, "동시대 세계의 정치적 주체화 형태들(Monde contemporain et formes de subjectivation politique)" 중앙대학교 2008
12 정남영, "다중" 세종서적 2008
13 자크 랑시에르, "감성의 분할: 미학과 정치" 도서출판 b 2008
14 McKee, Francis, "“Spinoza and Precarity in Contemporary Art" 3 (3): 1-7, 2009
15 Enwezor, Okwui, "Utopias: Documents of Contemporary Art" Whitechapel Gallery 82-88, 2009
16 Foster, Hal, "Towards a Grammar of Emergency" 68 : 105-118, 2011
17 Gingeras, Alson M., "Thomas Hirschhorn: Striving to be Stupid" Art Press 19-25, 1998
18 Gingeras, Alison, "Thomas Hirschhorn: London-Catalogue" Chisenhale Gallery 1998
19 Bishop, Claire, "Thomas Hirschhorn: Establishing a Critical Corpus" JRP|Ringier 2011
20 Uzel, Jean-Philippe, "Thomas Hirschhorn and Radical Democracy" (111) : 58-71, 2003
21 Braun, Ariane Kristina, "Thomas Hirschhorn Bataille Monument: Ein ephemeres Denkmal auf der Documenta 11" Verlag Dr. Müller 2010
22 Rondeau, James, "Thomas Hirschhorn : jumbo spoons and big cake, the Art Institute of Chicago : Flugplatz Welt/World airport, the Renaissance Society at the University of Chicago" Art Institute of Chicago 2000
23 Bishop, Claire, "The Social Turn: Collaboration and its Discontents" 44 (44): 178-183, 2006
24 Shorto, Russel, "The Integrationist"
25 Birrell, Ross, "The Headless Artist: An Interview with Thomas Hirschhorn on the Friendship" 3 (3): 1-10, 2009
26 Rancière, Jacques, "The Emancipated Spectator" Verso 2009
27 Bowman, Paul, "Reading Rancière" Continuum 2011
28 Gardner, Anthony, "Politically Unbecoming: Critiques of ‘Democracy’and Postsocialist Art from Europ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2008
29 Kremer, Mark, "Now what? Artists write" Basis voor actuele Kunst 2004
30 Hirschhorn, Thomas, "New Relations in Art and Socitey" JRP|Ringier 2011
31 Deranty, Jean-Philippe, "Jacques Rancière: Key Concepts" Acumen Press 2010
32 Bishop, Claire, "Installation Art: A Critical History" Routledge 2005
33 Hirschhorn, Thomas, "Eternal Flame" 45 (45): 268-, 2007
34 Riding, Alan, "Dissecting Democracy, Swiss Artist Stirs Debate"
35 Rancière, Jacques, "Democracy, Dissensus and the Aesthetics of Class Struggle: An Exchange with Jacques Rancière" 13 (13): 285-301, 2005
36 Gardner, Anthony, "De-Idealizing Democracy: on Thomas Hirschhorn's Postsocialist Projects" 1 (1): 29-61, 2012
37 Hinderliter, Beth, "Communities of Sense: Rethinking Aesthetics and Politics" Duke University Press 2009
38 Bishop, Claire, "Artfical Hells" Verso 2012
39 Bishop, Claire, "Antagonism and Relational Aesthetics" 110 : 51-79, 2004
40 Buchloh, Benjamin H. D., "An Interview with Thomas Hirschhorn" 113 (113): 77-100, 2005
41 Foster, Hal, "An Archival Impulse" 110 (110): 3-22, 2004
여행하는 작가 주체와 ‘장소성’ - 경계넘기 작업의 한국작가들을 위한 이론적 모색
세계화 지형도에서 바라본 2000년대 한국현대미술전시: 글로벌 이동, 사회적 관계, 그리고 현실주의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12-3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5 | 0.35 | 0.4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2 | 1.04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