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포항시 노후 주거지의 거주자 의식과 주거환경정비방향 = A Study on Inhabitant's Ment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Old Residential Area in Poh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90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inhabitant's mental against to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was developed within the boundary of Haedo Dong in Pohang City during the 1970s and the early of 1980s and currently designat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inhabitant's mental against to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hich was developed within the boundary of Haedo Dong in Pohang City during the 1970s and the early of 1980s and currently designated as programed site for Urban Maintenance Projec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s of household occupied by lessee were greater than the numbers of household occupied by homeowner. Second, most of the lessee was living in single family household. Third, although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as not so good in general perspectiv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long term residents for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others. Fourth,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their neighborhood was the most whi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for public facilities such as parks was the least. Fifth, Urban maintenance project shall be proceeded to raise re-settlement ratio of residents, to enforce a business by steps, to lead positively participation of a resident and to enlarge role of administr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창호,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9-124, 2007

      2 이근희,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 21 (21): 121-128, 2010

      3 김희철,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 악구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4

      4 김명섭,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아주대학교 2008

      5 김윤이,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 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4

      6 최상동, "저층집합주택단지의 주거환경요소에 따른 거주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11-122, 2008

      7 김미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 주거지 정비 수요조사 연구 - 인천 만수주공 7단지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1 (21): 43-51, 2010

      8 김영호, "부산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동의대학교 2008

      9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형 기본방향(I) -주민참여 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10 윤옥경, "도시지역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대구 삼덕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466-479, 2008

      1 이창호, "현지개량사업 활성화를 위한 일본 노후주거지 정비수법 분석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2 (42): 109-124, 2007

      2 이근희,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주거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한국주거학회 21 (21): 121-128, 2010

      3 김희철,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관 악구 사례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2004

      4 김명섭, "주택재개발사업의 개선방안" 아주대학교 2008

      5 김윤이, "주민을 중시한 사회통합형 주거지 정비에 관 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2004

      6 최상동, "저층집합주택단지의 주거환경요소에 따른 거주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111-122, 2008

      7 김미희, "영구임대아파트 거주자 주거지 정비 수요조사 연구 - 인천 만수주공 7단지 거주자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21 (21): 43-51, 2010

      8 김영호, "부산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동의대학교 2008

      9 정석, "마을단위 도시계획 실형 기본방향(I) -주민참여 형 마을 만들기 사례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999

      10 윤옥경, "도시지역 마을만들기의 사례와 시사점: 대구 삼덕동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4 (14): 466-479, 2008

      11 김주현, "도시단독주택지 가로공간 계획을 위한 거주자 만족도 분석 연구" 한국주거학회 21 (21): 129-137, 2010

      12 조득환, "대구시 기반시설양호 주택지의 주민의식과 환경 개선 방향" 한국주거학회 21 (21): 111-122, 2010

      13 송빛나, "단지형 도시근교주거의 현황 및 선호 조사" 한국주거학회 18 (18): 83-91, 2007

      14 이창무, "뉴타운사업에 대한 재진단" 한국주택학회 17 (17): 283-308, 2009

      15 김철수,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주거만족도 분석" 국토연구원 53 : 277-294, 2007

      16 김항집, "거 점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339 : 3-18., 2010

      17 오주용, "개발밀도에 따른 주거만족도 변화에 관한 연 구" 경원대학교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7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