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의 질을 높이...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매개하는지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보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으로서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가치를 확인하며, 코로나19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장기화되는 코로나 상황에서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교사의 코로나19 스트레스 관리의 의미를 탐구하여 예기치 못한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보육현장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긍정심리자본과 코로나19 스트레스, 직무만족도는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과 코로나19 스트레스,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코로나19 스트레스에 의해 매개되는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코로나19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3가지 연구도구를 사용하였다. 긍정심리자본은 Luthans , Youssef & Avolio(2007)이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측정 도구를 한혜영(2013)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조성연, 백은주, 김혜금, 권연희, 정지나, 신혜영(2011)이 개발하고 표준화 및 타당화한 ‘한국형 보육교사 직무만족 척도(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 K-CTJSS)’를 사용하였다. 코로나와 관련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The COVID-19 Stress Scale (Taylor, S., Landry, C., Paluszek, M., Fergus, T. A., McKay, D., Gordon J.G., & Asmundson, G. J.G., 2020)을 연구자가 번안하고 내용타당도의 검증과 예비조사를 마친 후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근무 중인 보육교사 212명에게 연구자가 직접 구글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회수한 설문지 212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별로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빈도와 백분율 산출, Scheffe의 사후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회귀분석 및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모두 보육교사의 연령, 교직경력, 근무기관유형, 학력, 담당영유아, 직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상태에 따라 긍정심리자본과 코로나19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긍정심리자본, 직무만족도, 코로나19 스트레스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에 정적 상관이 있으며, 코로나19 스트레스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무만족도는 코로나19 스트레스에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코로나19 스트레스의 매개를 통해서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도 관계를 부분매개하였다. 즉,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높아지고, 또한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코로나19 스트레스는 낮아지며 이러한 코로나19 스트레스의 감소를 통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보육의 질 향상을 위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장기화되는 코로나19 상황 및 미래의 신종감염병 팬더믹 상황에 대비하여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심리지원방안으로써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지원, 관리될 필요성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