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에 관해 탐구하였다. 구나(驅儺)는 역귀를 몰아내는 일 또는 그를 위한 의식행위를 말한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7655
서울 : 成均館大學校, 2017
학위논문(박사) -- 成均館大學校 一般大學院 , 舞踊學科 韓國舞踊專攻 , 2017
2017
한국어
685.1 판사항(6)
793.319519 판사항(23)
서울
viii, 144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전은자
참고문헌: p. 130-1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에 관해 탐구하였다. 구나(驅儺)는 역귀를 몰아내는 일 또는 그를 위한 의식행위를 말한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으...
이 논문은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에 관해 탐구하였다. 구나(驅儺)는 역귀를 몰아내는 일 또는 그를 위한 의식행위를 말한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역귀를 몰아내는 의식으로 연행된 ‘가면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봉산탈춤과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춤에 사용된 가면, 복식 그리고 춤동선 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봉산탈춤과 처용무의 기원과 변천과정에 관한 역사적 연구는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히고, 춤의 동선과 몸의 움직임에 대한 탐구는 문헌과 영상자료 등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이 요구된다.
첫째, 봉산탈춤은 전체7과장 중 1과장의 사상좌춤, 2과장의 팔목중춤, 4과장의 노장춤의 가면과 복식의 색을 통해 오행의 상징성을 부여하여 인물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사상좌는 탄생과 무(無)의 상태를 의미하며, 봉산탈춤의 시작을 알리고 사방신에게 예를 갖추고 무사를 기원한다. 4명의 상좌들은 사계절을 나타내며, 사방대형에서 상대, 상배하며 배례하는 모습은 음양오행의 순환원리를 통해 나쁜 기운을 물리치는 것을 나타낸다. 우리는 이것을 통해 사상좌춤의 구나성을 발견할 수 있다. 팔목중과 취발이의 가면은 붉은 색을 띄는데, 붉은색은 양기의 색으로 불을 상징하며 음기인 귀신을 물리친다는 음양론에 근거한다. 팔목중의 청·적·황·흑·백을 포함한 오방 정색과 간색의 배치는 만물의 조화를 표현한 것이다. 이를 통해 액을 피하고 복을 받고자하는 벽사진경의 염원이 담겨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노장의 가면과 복색은 검정색을 띄는데, 검정은 음(陰)의 색으로 수(水)에 해당하며, 겨울을 상징한다.
봉산탈춤의 춤동선에 내재된 구나성은 사상좌춤의 춤대형과 팔목중춤의 춤구조를 통해 나타난다. 사상좌춤은 한 원에서 출발하여 다시 그 원으로 돌아가는 순환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1과장에서 색과 복식을 통해 찾을 수 있는 벽사적 기능이 춤의 대형을 통해서도 드러난다는 것을 의미한다. 팔목중춤에서 구나성은 첫 목중을 시작으로 여덟 명의 목중들이 한 명씩 차례로 등·퇴장하는 춤의 구조와 팔목중들이 뭇동춤을 추며 원으로 회무(回舞)하여 퇴장하는 구조의 자연 순환성에서 드러난다. 말하자면, 팔목중춤은 첫 목중이 등장한 다음 뒤이어 차례대로 나머지 목중들이 등장하는 1:1구조를 보여주다가 마지막에 뭇동춤을 추며 회무(回舞)하며 퇴장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팔목중들의 회무는 처용무에서 발견되는 자연모방 순환을 기초로 하는 구나성을 공유하고 있음을 대변한다.
둘째, 처용무에 내재된 구나성은 가면과 복식 그리고 춤동선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처용 가면의 구나성은 붉은 색깔, 사모에 달린 복숭아와 복숭아 가지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처용무의 오방색 복식은 오행사상을 표현하고 있으며, 우리 춤에 투영된 오행사상이 벽사적 의미를 담고 있다는 점에서 구나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차용무는 황을 중심으로 청 · 적 · 황 · 흑 · 백의 다섯 처용이 원에서 시작하여 원으로 돌아가는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원형으로 시작하여 원형으로 끝나는 처용무의 이러한 구조는 끊임없이 반복되는 순환을 보여준다. 처용무는 자연에 순응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는 섭리가 내포되어있으며, 오행의 질서 속에서 상생하고 상극하는 관계를 보여준다. 처용무는 가면과 복식에서 뿐만 아니라 춤의 구성 형식까지 벽사진경의 염원이 내포되어 추어진 춤이라고 할 수 있다.
봉산탈춤은 단옷날이나 중국 사신을 영접할 때 추던 춤이며, 처용무는 섣달그믐 나례 때와 잔치를 끝낼 때 주로 추던 춤이다. 벽사진경은 사귀를 쫒고 경사로움을 맞이하는 것인데, 나례는 그 축귀의례의 명칭이다. 봉산탈춤과 처용무는 구성형식 또한 순환하는 종시를 형상함으로서 벽사진경의 염원을 모방했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봉산탈춤과 처용무의 춤동선에 나타나는 자연의 순환구조가 춤의 중요한 양식으로서 구나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탈』, 심우성, 대원사, 대원사, , 1994
2. 『국악사』, 이혜구, 대한민국 예술원, , 1978
3. 『여요전』, 양주동, 을유문화사, , 1954
4. 「봉산탈춤」, 서연호, 『민속학술자료총서 봉산탈춤3』,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 2003
5. 「봉산탈춤」, 김천흥, 이두현,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12, , 1965
6. 『봉산탈춤』, 박전열, 놀이마당 터, 화산문화, , 2001
7. 『용재총화』, 홍순석, 성현, 지식을만드는지식, 지식을 만드는 지식, , 2014
8. 『처용무보』, 이종숙,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보존회, , 2007
9. 『처용연구』, 문일지, [서울市立무용단], 서울시립무용단, , 1987
10.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 1999
1. 『탈』, 심우성, 대원사, 대원사, , 1994
2. 『국악사』, 이혜구, 대한민국 예술원, , 1978
3. 『여요전』, 양주동, 을유문화사, , 1954
4. 「봉산탈춤」, 서연호, 『민속학술자료총서 봉산탈춤3』, 도서출판 우리마당 터, , 2003
5. 「봉산탈춤」, 김천흥, 이두현, 문화재관리국,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12, , 1965
6. 『봉산탈춤』, 박전열, 놀이마당 터, 화산문화, , 2001
7. 『용재총화』, 홍순석, 성현, 지식을만드는지식, 지식을 만드는 지식, , 2014
8. 『처용무보』, 이종숙, 국가무형문화재 제39호 처용무보존회, , 2007
9. 『처용연구』, 문일지, [서울市立무용단], 서울시립무용단, , 1987
10.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 1999
11. 『조선연극사』, 김재철, 동문선, 동문선, , 2003
12. 『주역사회학』, 김재범, 예문서원, 예문서원, , 2001
13. 『한국무용사』, 김매자, 삼신각, 삼신각, , 1995
14. 『한국연희사』, 이강렬, 保健新聞社, 현대미학사, , 1988
15. 「처용가 연구」, 김태환, 大田工業專門大學,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3
16. 「처용무 연구」, 박승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6
17. 「처용무 연구」, 권혜경, 무용원 이론과 연구자료집, 권2, , 2001
18. 『탈춤의 미학』, 김욱동, 현암사, 현암사, , 1994
19. 『쉽게 푼 역학』, 김봉준, 삼한출판, 삼한 출판사, , 1989
20. 역, 『동경잡기』, 장창은, 지식을 만드는 지식, , 2009
21. 『한국가면극선』, 이두현, 교문사, , 1997
22. 『한국음악연구』, 이혜구, 國民音樂硏究會, 國民音樂硏究會, , 1957
23. 『신역 악학궤범』, 이혜구, 국립국악원, , 2000
24. 『한국의 가면극』, 전경욱, 열화당, 열화당, , 2007
25. 『한국의 가면극』, 이두현, 일지사, 일지사, , 1979
26. 『한국의 전통춤』, 정병호, 집문당, , 2002
27. 『대산주역강의 1』, 김석진, 한길사, , 2001
28. 역, 『동국세시기』, 장유승, 홍석모, 아카넷, , 2000
29. 『봉산탈춤 음악본』, 김호석, 민속원, 민속원, , 2006
30. 『한국의 전통연희』, 전경욱, 학고재, 학고재, , 2004
31. 『한국 가면의 연구』, 최상수, 성문각, , 1984
32. 『중국신화와의 이해』, 전인초, 아카넷, , 2002
33. 「처용무의 미적 특성」, 오승지,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42(2), pp. 303-308, , 2003
34. 「처용탈 벽사색 연구」, 김용목, 한국무용사학회, 한국무용사학 10, pp. 163-189, , 2009
35. 「향가의 서정성 연구」, 김혜진,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5
36. 『중국의 탈과 탈놀이』, 김학주, 신아사, 신아사, , 1999
37. 『한국근대 춤 자료사』, 김종욱, 도서출판 아라, , 2014
38. 『조선민속탈놀이 연구』, 김일출, 과학원출판사, 과학원출판사, , 1958
39. 『한국여성의 의식구조』, 이규태, 신원문화사, , 1992
40. 「봉산탈춤 연행사 연구」, 양혜경,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41. 「봉산탈춤에 관한 연구」, 조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회, 이화여자대학교 무용학회 무용, 권10, pp. 79-91, , 1978
42. 「처용가면에 관한 연구」, 송묘영,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3
43. 「처용가의 무속적 고찰」, 서대석,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한국학 논총 2, pp. 265-284, , 1975
44. 「봉산 탈춤에 대한 고찰」, 이임선, 진주여자전문대학, 진주여자전문대학 논문집, 권3, pp. 73-82, , 1981
45.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3』, 이상희, 넥서스books, 넥서스BOOKS, , 2004
46. 「봉산탈춤의 노장춤 연구」, 이윤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2
47. 「역학사상의 철학적 탐구」, 최영진,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89
48. 「처용전승의 계승과 변천」, 최진형, 반교어문학회, 반교어문연구 24권 , pp. 151-182, , 2008
49. 「처용무 복식에 관한 연구」, 윤일선,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50. 「한국 부적의 역사와 기능」, 김영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6
51. 『한국 연희의 원리와 방법』, 김현철, 서연호, 연극과인간, 연극과 인간, , 2006
52. 「봉산탈춤의 유래와 양면성」, 박진태, 대구대학교 국어교육과, 나랏말쌈 권11, , pp.65-75, , 1996
53. 「처용무의 시대별 변천과정」, 손혜정, 상명대학교,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54. 「처용무의 시대적 변천과정」, 이명희,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9
55. 「五行으로 본 處容無의 해석」, 이종숙, 先史와 古代10, pp. 179-208, , 1998
56. 「고려 처용무의 형성과 전개」, 임청화,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3
57. 「한국 쪽물 염색에 대한 고찰」, 박복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78
58. 『한.중 두나라의 가무와 잡희』, 김학주, 한국중국희곡학회,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4
59. 『한국 가면극 그 역사와 원리』, 전경욱, 열화당, 홍성사, , 1998
60. 『 주역 의 사생관에 관한 연구』, 이시우,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61. 「고려 처용가의 전승과정 연구」, 김수경,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5
62. 「전통춤의 한국적 미의식 연구」, 김미경,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0
63. 「한국 전통춤의 미적 형식 연구」, 송성아,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1
64. 「한국 탈춤의 생성 미학적 해석」, 최찬열,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65. 「처용무의 전승양식에 관한연구」, 송은희,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66. 「처용무의 변형과 전승의 문제점」, 이종숙,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 기타간행물, 8권, , pp. 1259-1265, , 1999
67. 「민속 무용의 춤사위에 관한 연구」, 정병호, 민속학회, 한국 민속학 10, pp. 73-109, , 1977
68. 「高麗俗謠에 나타난 時間現像硏究」, 이계양, 조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1
69. 「처용무에 내재된 벽사진경의 연구」, 권효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논문, , 2011
70. 「처용무의 무용서사와 상상계 연구」, 최미연,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0
71. 「처용전승의 전개양상과 의미 연구」, 김유미,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88
72. 「한국의 고대벽사의례와 나례 연구」, 황경숙,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73. 「봉산탈춤의 현대적 전승 방안 연구」, 김종해, 용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74. 「조선 후기 전통춤의 교섭양상 연구」, 김윤지,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75. 「탈놀이의 형성에 끼친 나례의 영향」, 전경욱,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민족문화연구 28, pp. 195-249, , 1995
76. 「학연화대처용무합설 전승과정 연구」, 김정연,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7
77. 「무용작품에 나타나는 설화수용 연구」, 이소정,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3
78. 「악학궤범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고찰」, 박양경, 김용서,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생활과학연구, pp. 81-89, , 1999
79. 『宜民李杜鉉著作集- 02 韓國의 假面劇』, 이두현, 민속원, , 2013
80. 「음양오행을 통한 한국적 색채미 연구」, 조영실,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81. 「탈이 지닌 종교적 의미와 주술적기능」, 임재해,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민속연구 4, pp. 35-49, , 1994
82. 「탈(假面) - 감춤을 통한 드러남의 미학」, 남기성,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83. 「문화복합체로서의 아시아 전통 사자춤」, 허영일,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년 4월 21일 제4회 전통문 화 재연과 문화콘텐츠 학술심포지엄, , 2017
84. 「봉산탈춤의 유래와 춤사위에 관한 고찰」, 한윤희, 용인대학교, 용인대학교 논문집 8, pp. 495-516, , 1992
85. 「처용무에 나타난 오방색의 상징성 연구」, 김하나, 강원대학교 대학원,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1
86. 「한국무용의 미적 범주로서 숭고미 탐색」, 고경희, 한국체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7
87. 『옛얼이 꿈틀대는 절기와 습속 들춰보기』, 한판암, 해드림, 해드림, , 2013
88. 「색동에 나타난 色의 象徵性에 관한 연구」, 나승미,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5
89. 「처용탈의 변모 양상에 관한 통시적 고찰」, 김수경, 민속학회, 한국민속학 34(1), pp. 5-32, , 2001
90. 「봉산탈춤과 양주별산대놀이 춤사위 비교」, 김명숙,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1985
91. 「악학궤범 처용무 작대(作隊)의 의미 조명」, 이종숙, 한국사상사학회 36, pp. 179-216, , 2010
92. 「처용 설화의 서술구조와 <처용가>의 성격」, 김학성, 한글학회, 문학한글 4, pp. 5-30, , 1990
93. 「한국 동물가장가면희의 역사와 연희양상」, 하을란,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94. 용재총화 권1 處容之戱. 국역대동야승 1권, 성현, 민족문화추진위원회, , 1971
95. 「동아시아 사자탈춤의 형성과 전파 및 변용」, 박진태,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년 4월 21일 제4회 전 통문화 재연과 문화콘텐츠 학술심포지엄, , 2017
96. 「시대변화에 따른 처용무의 기능 변화 고찰」, 최현주, 김보람, 한국체육과학회지, 권25, , pp.1063-1075, , 1999
97. 「조선 나례무에 끼친 『주례』의 영향 연구」, 백정희, 한국사상과 문화 41, pp. 287-331, , 2008
98. 「처용무에 나타난 가면의 역할에 관한 연구」, 박연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1999
99. 「처용무의 소재로 본 한국창작춤 현상 연구」, 이영림,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100. 『민간속식여과학문화(民間俗信與科學文化)』, 류덕룡, 산동교육출판사, , 2001
101. 「조선후기 민화(民畵)에 나타난 미의식 연구」, 안호숙,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 2011
102. 『한국전통의연희의 이해와 실제Ⅲ 봉산탈춤』, 최창주,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 원, , 2000
103. 「악학궤범 당악정재의 규칙성과 사상성 연구」, 김미영,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 2009
104. 「오방처용무 구조에 관한 음양오행학적 연구」, 최현실,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1988
105.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왕의 위락 활동」, 강현민, 우석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 2016
106. 「악학궤범에 나타난 처용무 복식에 관한 연구」, 김태은,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2
107. 「처용굿과 처용무의 성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이예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16
108. 「처용무의 동양사상적 분석을 통한 무의 연구」, 정은혜,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 1995
109. 「Gestalt적 관점으로 본 처용무의 공간구도 연구」, 김혜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1996
110. 「강령탈춤과 동래야유 말뚝이 춤사위 비교연구」, 이은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0
111. 「봉산탈춤 팔목중과장의 순환구조로 본 구나성」, 전은자, 김연진,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39. pp. 97-116, , 2015
112. 「Laban의 effort 분석을 통한 처용무의 움직임 연구」, 송성아, 부산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1999
113. 「조선후기 탈춤의 생성배경과 예눙적 특성 연구」, 박문용,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2
114. 「처용무의 사적고찰과 그 전승문제에 관한 연구」, 이애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1970
115. 「정재 춤사위 표현기법 연구: 처용무를 중심으로」, 김영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 2008
116.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사상적배경에 관한 연구」, 김수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 1995
117. 「처용무의 낙화유수 동작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 이금용, 충남대학교 대학원,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 2013
118. 『신화와 역사: 엘리아데의 ‘역의 합일’에 대하여』, 황필호, 서울대학교출판부, , 2003
119. 「봉산탈춤과 강령탈춤의 목중춤 독무유형 비교연구」, 최미자,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과학회지 14, pp. 757-766, , 2005
120. 「처용무의 성립과 각 지방의 관련 민속연희 및 민속」, 전경욱, 한국민속학회, 한국민속학 44, pp. 437-461, , 2006
121. 「민속춤에 내재된 미의식 고찰: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이지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6
122. 「음양오행으로 본 처용무의 구성 원리 움직임의 철학」, 배성한, 황경숙, 한국체육 철학 17(3), pp. 199-211, , 2009
123. 「고려말 조선초 궁정나례의 변천양상과 공연사적 의의」, 윤아영, 서울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 2009
124. 「설화에 나타난 ‘버들잎화소’의 서사적 기능과 의의」, 이수자, 한국구비문학회, 구비문학연구 2, , p.22, , 1995
125. 「처용무 복식(服飾), 천의(天衣)의 신성성(神聖性) 고찰」, 이종숙, 백산학회 83, pp. 297-322, , 2009
126. 「처용설화를 통해본 處容歌舞의 역사적 변천과정 연구」, 김지연,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04
127. 「학연화대처용무합설 연구 : 무도연출도형을 중심으로」, 정금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5
128. 「조선후기 봉산탈춤에 나타난 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이지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129. 『色色가지 세상: 28인 색채전문가의 色色가지 색 이야기』, 권영걸, 국제, , 2001
130. 「봉산탈춤의 춤사위에 관한 연구 : 팔목중춤을 중심으로」, 정영자, 중앙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1982
131. 「처용무와 봉산탈춤에 나타난 한국의 사상과 미의식 연구」, 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이화여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 2008
132. 「탈춤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 연구: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김은균,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133. 「봉산탈춤 취발이 춤사위의 연희적 특징 분석 및 무도연구」, 김은주, 숙명여자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134. 「처용무의 무릎디피무와 낙화유수무 동작의 운동학적 분석」, 박혜진,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6
135. 「가면극 연행 체험 교육 연구: 인물에 대한 공감을 중심으로」, 오판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12
136. 「역사적 관점으로 본 궁중학무의 변형적 효용성에 관한 연구」, 김영미,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 교 박사학위논문, , 2009
137. 『처용설화의 일고찰- 당대 이슬람상인과 신라, 한만 교류사 연구』, 이용범, 동화 출판사, , 1989
138. 「강령탈춤과 봉산탈춤의 미얄할미과장 장단 및 춤사위 비교 고찰」, 장인아, 중앙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139. 「조선시대 궁중무용에 나타난 복숭아와 연꽃의 의미에 대한 연구」, 윤연희, 명지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140. 「영조의(迎詔儀)시 도상 나례(途上儺禮) 첨입과정 및 성격에 관한 연구」, 윤아영, 한국음악연구 50, pp. 173-198, , 2011
142. 「음양오행으로 본 궁중춤과 민속춤 비교 연구(1) -처용무와 봉산탈춤을 중 심으로」, 김지희,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논문집 39, pp. 1-20, , 2004
143. 「궁중무용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에 관한 연구 : 정대업 무고 처용무를 중 심으로」, 이현정,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3
144. 「처용무 무용서사의 유교사상적 측면에 대한 해석 -“수기치인(修己治人)” 을 중심으로-」, 최미연,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논문집, 권71 3호, pp. 137-168, , 2013
145. 「탈춤의 춤사위 비교연구 : 동래야류. 양주별산대놀이. 봉산탈춤의 말뚝이 춤을 중심으로」, 김연화, 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0
146. 「처용무 무용서사의 불교사상적 측면에 대한 연구 : 고집멸도(苦 集 滅 道) 의 깨달음을 중심으로」, 최미연, 한국무용예술학회 무용예술학연구, 50, pp. 201-221, , 2014
147. 「경기도지방의 산대놀이와 해서지방의 탈춤의 비교연구 : 양주별산대 놀이 와 봉산 탈춤을 중심으로」, 김진이,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3
148. 「한 중 궁중무용에 표현된 음양오행사상의 의미연구: 한국의 오방 처용무 와 중국의 오방 사자무를 중심으로」, 황선자,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149. 「각 지방별 탈춤의 말뚝이마당 춤사위 특성 비교에 관한 연구 :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 동래야류를 중심으로」, 이미정, 용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150. 「14-16세기 이태리 프랑스와 조선전기 궁정무용 양식 비교연구 : 『왕비의 코믹발레(Le ballet comique de la reine)』와 『학연화대처용무합설』작품을 중심으로」, 이미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