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제화, 정보화시대 이문화 현상을 음식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국가 간 식문화의 유사, 차별성과 그 원인들을 천착하고, 상호 교류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국가 간 음식문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76993
2011
Korean
학술저널
67-89(23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화, 정보화시대 이문화 현상을 음식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국가 간 식문화의 유사, 차별성과 그 원인들을 천착하고, 상호 교류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국가 간 음식문화 ...
본 연구는 국제화, 정보화시대 이문화 현상을 음식문화적 접근을 토대로 국가 간 식문화의 유사, 차별성과 그 원인들을 천착하고, 상호 교류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국가 간 음식문화 비교연구이다. 분석의 내용은 우리나라와 베트남의 음식문화는 어떠한 특성을 띠고 있으며, 그 특성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비교의 변수로는 국가별 생태, 기후 등이 국가별 식재료, 조리법, 식사예절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음식문화의 특성, 유사점과 상이점, 양국의 음식 문화 교류방향 및 국제음식 경쟁력 확보과제로 음식스토리텔링을 개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과 베트남 양국을 대상으로 음식문화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는 이유는 문화비교 분석을 통하여 양국의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문화의 차이에 따른 상호 대응방안과 시사점을 찾고자 함에 있다. 특히 국제화, 문화의 세기, 감성사회의 이문화의 특성과 국가별로 문화적 특성이 상이한 음식문화 비교를 통해 음식문화의 유사, 상이점 등을 비교 분석하여 양 국가의 음식문화 상호 협력과 발전방안에 대한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food cultural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 Vietnam.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food cultural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 Vietnam.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ood culture comparison. The comparative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are international regional ecology, climate, so forth. This paper analysed effects among food material, recipe and food manners. The third presents comparative analysis about food culture of the Korean & Vietnam. The forth suggests interchange direction for fostering food culture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 Vietnam. The last concluded the study. The findings give us suggestions that it is useful to exchange the food culture because each countries have its own unique culinary tradition culture, so forth.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대훈, "한국음식과 세계 음식문화" 진영사 2008
2 윤서석, "한국식생활문화의 역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 : 1997
3 오무근, "지방문화행정과 스토리텔링 거버넌스" 명지전문대학 2009
4 원융희, "지구촌 음식문화기행" 신광출판사 2001
5 김윤태, "지구촌 음식문화" 대왕사 7-, 2006
6 박금순, "지구촌 음식과 식생활문화" 효일 8-, 2007
7 김재민, "인사이드 베트남" 엘 까미노 2004
8 원융희, "음식으로 찾아가는 문화여행" 자작나무 2007
9 이종수, "우리나라와 이집트의 음식문화: 쌀과 밀을 중심으로" FAO 한국협회 52 (52): 2010
10 이종수, "우리나라와 몽골의 음식문화: 제주(탐라)와 몽골음식을 중심으로" FAO 한국협회 52 (52): 48-57, 2010
1 강대훈, "한국음식과 세계 음식문화" 진영사 2008
2 윤서석, "한국식생활문화의 역사"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 : 1997
3 오무근, "지방문화행정과 스토리텔링 거버넌스" 명지전문대학 2009
4 원융희, "지구촌 음식문화기행" 신광출판사 2001
5 김윤태, "지구촌 음식문화" 대왕사 7-, 2006
6 박금순, "지구촌 음식과 식생활문화" 효일 8-, 2007
7 김재민, "인사이드 베트남" 엘 까미노 2004
8 원융희, "음식으로 찾아가는 문화여행" 자작나무 2007
9 이종수, "우리나라와 이집트의 음식문화: 쌀과 밀을 중심으로" FAO 한국협회 52 (52): 2010
10 이종수, "우리나라와 몽골의 음식문화: 제주(탐라)와 몽골음식을 중심으로" FAO 한국협회 52 (52): 48-57, 2010
11 구성자, "세계의 음식문화" 교문사 2005
12 김숙희, "세계의 식생활과 음식문화" 대왕사 7-, 2007
13 양향자, "세계음식문화여행: 아시아 편" 엘 까미노 2006
14 김의근, "세계음식문화" 백산출판사 2009
15 유한나, "세계식문화" 백산출판사 2009
16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세계문화 읽기"
17 박진영, "서울지역 직장인의 베트남 레스토랑 이용실태조사"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2009
18 김기태, "베트남의 음식문화 고찰" 한국외대 동남아연구소 5 : 12-, 1996
19 이요한, "베트남의 음식 문화와 한국 속의 베트남 음식" 한국동남아학회 21 (21): 49-91, 2011
20 이정규, "문화에 대한 비교연구에 관하여 : 중국에서의 문화비교 연구 실태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현대사상연구소 10 : 1997
21 이종수, "무형문화유산 스토리텔링 마케팅" 국립문화재연구소 44 (44): 2011
22 마귈론 투생-사마, "먹거리의 역사(상,하)" 까치 글방 2002
23 소준섭, "놀랍도록 유사한 한국과 베트남의 역사" 국회도서관 45 (45): 4-, 2008
24 이종수, "남산장소자산 스토리텔링마케팅 거버넌스" 대한관광경영학회 2009
25 Kluckhohn, F., "Variations in Value Orientation, Evanston, Ill, Row" Peterson 1971
26 Adler, N., "International Dimension of Organizational Behavior"
27 이용규, "Geert Hofstede의 조직문화 비교방법의 비판적 고찰. 새 천년의 행정학 패러다임(Ⅰ)" 7-21, 2000
28 Kroeber, A. L., "Culture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s" Harvard Uni. Press 1952
29 Malinowski, B., "A Scientific Theory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948
동독주민과 북한주민의 인권침해 기록보존소에 대한 정치적 갈등사례 비교와 시사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2 | 0.82 | 0.8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2 | 0.66 | 1.173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