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의 비교 분석 =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with the Physical Science Domains of the 4th Grade TIMSS 2019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966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IMSS 2019 and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welve subjects are presented i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he TIMSS 2019 4th grade evaluation framework.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a total of 12, participated to analyze in which grade thes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Korea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and Korean science curriculum are consistent, the subjects pertinent to chemistry like 'chemical changes in everyday life,' 'heat transfer,' and 'electricity and simple electrical circuits' appeared not covered at all until the 4th grade curriculum in Korea. Given that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is an international achievement standard, we are proposing to improve the Korean curriculum as follows: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science curriculum, there is a need for science curriculum organized from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connect the content and scope of chemistr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a whole including the Nuri curriculum.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suitability of learning volume and level of learning, it is possible to think of a method to readjust the grade of dealing with related concepts by lowering the difficulty or simplifying the concep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introducing essential concepts and standard terms into Korea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international trends.
      번역하기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IMSS 2019 and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welve subjects are presented i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he TIMSS 2019 4th grade evaluation framework. Resea...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IMSS 2019 and the Korean science curriculum. Twelve subjects are presented in the physical science domain of ​​the TIMSS 2019 4th grade evaluation framework. Research group consisting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and science education experts, a total of 12, participated to analyze in which grade thes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Korea 2009 revised and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a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and Korean science curriculum are consistent, the subjects pertinent to chemistry like 'chemical changes in everyday life,' 'heat transfer,' and 'electricity and simple electrical circuits' appeared not covered at all until the 4th grade curriculum in Korea. Given that the TIMSS 2019 evaluation framework is an international achievement standard, we are proposing to improve the Korean curriculum as follows: first, for the development of the next science curriculum, there is a need for science curriculum organized from the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connect the content and scope of chemistr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s a whole including the Nuri curriculum. Second, as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suitability of learning volume and level of learning, it is possible to think of a method to readjust the grade of dealing with related concepts by lowering the difficulty or simplifying the concept.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about introducing essential concepts and standard terms into Korea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international trend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물상과학 영역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TIMSS 2019 초등학교 4학년 과학 평가틀의 물상과학 영역에서는 12개의 주제가 제시되는데, 초중등학교 교사로 이루어진 현장교사와 과학교육 전문가 총 12명이 참여하여 이 주제들이 우리나라 2009 개정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어느 학년에 포함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TIMSS 2019 평가틀의 성취기준과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이 일치하는지 분석한 결과, TIMSS 2019 물상과학 평가 주제 중에서 우리나라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까지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주제로 화학과 관련 있는 ‘일상생활에서 화학 변화’, ‘열전도’, ‘전기와 간단한 전기회로’ 내용이 두드러졌다. TIMSS 2019 평가틀이 국제 성취 기준임을 고려하면 우리나라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차기 과학과 교육과정 개발에서는 누리과정까지 연계하여 초・중학교 및 고등학교 화학의 내용과 범위가 전체적으로 연결되도록 현재 초등학교 3학년부터 시작하는 과학과 교육과정을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하는 개선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량 및 학습 수준의 적합성 문제를 고려하면서 난이도를 조정하거나 개념을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접근하면서 관련 주제를 다루도록 학년군을 재조정하는 방안을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국제적인 흐름에 맞게 필수적인 개념 및 표준 용어들을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도입하거나 구성되도록 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영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TIMSS 2015 화학 영역 성취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625-633, 2018

      2 Park, S. W,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9 main survey" KICE 2019

      3 Kim, S. J,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main survey" KICE 2015

      4 Kim, S. J,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A technical report of the TIMSS 2015 field survey and the results" KICE 2014

      5 Sang, K. A,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KICE 2016

      6 김현경, "TIMSS 2019의 중학교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21-1242, 2019

      7 김현경,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16, 2019

      8 Mullis, I. V. S, "TIMSS 2019 progress report" 2018

      9 Mullis, I. V. S,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s"

      10 Mullis, I. V. S, "TIMSS 2019 Overview eTIMSS and paperTIMSS Item development activities" 2017

      1 곽영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TIMSS 2015 화학 영역 성취 특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8 (38): 625-633, 2018

      2 Park, S. W,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9 main survey" KICE 2019

      3 Kim, S. J,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main survey" KICE 2015

      4 Kim, S. J,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5): A technical report of the TIMSS 2015 field survey and the results" KICE 2014

      5 Sang, K. A, "The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Findings from TIMSS 2015 for Korea" KICE 2016

      6 김현경, "TIMSS 2019의 중학교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의 과학 교육과정 비교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221-1242, 2019

      7 김현경,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497-516, 2019

      8 Mullis, I. V. S, "TIMSS 2019 progress report" 2018

      9 Mullis, I. V. S,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s"

      10 Mullis, I. V. S, "TIMSS 2019 Overview eTIMSS and paperTIMSS Item development activities" 2017

      11 곽영순,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 37 (37): 9-16, 2017

      12 동효관, "TIMSS 2011과 NAEA 2011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 특성" 한국교육평가학회 26 (26): 1091-1114, 2013

      13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cience and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14 Sang, K. A, "Preparation of TIMSS 2019: Technical report" KICE 2017

      15 Ministry of Education, "Overview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

      16 Sang, K. A, "Computer-based test items and e-assessment system of TIMSS 2019" KICE 2018

      17 최혜윤, "2019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과정 과학교육 내용의 연계성 분석연구: 과학개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341-363,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4-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3-09 학회명변경 한글명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범대학부속과학교육연구소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영문명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N.U ->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02 1.665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