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4 지방선거 선거연합의 특성: 광주, 부산, 울산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연합을 사례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992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6.4지방선거에서 후보단일화 협상이 선거과정을 지배했던 광주, 부산, 울산광역자치단체장 선거를 사례로 하여 선거연합 정치의 특성, 즉 선거연합의 행위자, 형성요인, 득표율 제고를 통한 선거승리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광주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략공천에 반발하여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이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를 성사시켰다. 경쟁 후보에 비해 무소속 후보자에 대한 우세한 유권자의 지지기반은 선거연합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단일화 후보에 대한 표의 결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선거 승리로 귀결되지 못했다. 부산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정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를 성사시켰고, 경쟁정당 및 단일화에 후보 간의 경합적인 유권자 지지 기반과 시민 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은 무소속 후보가 단일화 후보로 결정되는 중요한 원동력이었다. 단일화 후보에 대한 일정한 표의 결집이 이루어졌음에도, 지역주의는 여전히 단일화 후보의 승리를 가로 막은 장애 요인이었다. 울산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이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 협상을 진행하였고, 정의당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노동 지향의 진보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실망 등 연합에 참여한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지지 기반이 부재한 상황에서 단순히 정당 간 선택에 의해서 성사된 선거연합은 선거 승리로 이어질 수 없었다.
      번역하기

      이 논문의 목적은 6.4지방선거에서 후보단일화 협상이 선거과정을 지배했던 광주, 부산, 울산광역자치단체장 선거를 사례로 하여 선거연합 정치의 특성, 즉 선거연합의 행위자, 형성요인, 득...

      이 논문의 목적은 6.4지방선거에서 후보단일화 협상이 선거과정을 지배했던 광주, 부산, 울산광역자치단체장 선거를 사례로 하여 선거연합 정치의 특성, 즉 선거연합의 행위자, 형성요인, 득표율 제고를 통한 선거승리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광주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전략공천에 반발하여 탈당한 무소속 후보들이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를 성사시켰다. 경쟁 후보에 비해 무소속 후보자에 대한 우세한 유권자의 지지기반은 선거연합 형성의 중요한 요인이었지만, 단일화 후보에 대한 표의 결집이 이루어지지 않아 선거 승리로 귀결되지 못했다. 부산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의 정당 후보와 무소속 후보가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를 성사시켰고, 경쟁정당 및 단일화에 후보 간의 경합적인 유권자 지지 기반과 시민 사회의 적극적인 역할은 무소속 후보가 단일화 후보로 결정되는 중요한 원동력이었다. 단일화 후보에 대한 일정한 표의 결집이 이루어졌음에도, 지역주의는 여전히 단일화 후보의 승리를 가로 막은 장애 요인이었다. 울산시장 선거는 새정치민주연합과 정의당이 주체가 되어 후보단일화 협상을 진행하였고, 정의당 후보가 야권단일후보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노동 지향의 진보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실망 등 연합에 참여한 정당에 대한 유권자의 지지 기반이 부재한 상황에서 단순히 정당 간 선택에 의해서 성사된 선거연합은 선거 승리로 이어질 수 없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준석, "후보 단일화 그리고‘권력나누기’의 메커니즘: 한국 대통령 선거연합 형성의 신호게임(Signaling Game) 접근" 한국정당학회 11 (11): 113-138, 2012

      2 "헤럴드 경제. 2014. 05. 29"

      3 진영재, "한국 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 결과와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129-149, 2008

      4 장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분점정부의 제도적, 사회적, 정치적기원" 35 (35): 107-128, 2001

      5 "한겨레. 2012. 02. 28"

      6 "파이낸셜 뉴스. 2014. 06. 05"

      7 "파이낸셜 뉴스. 2014. 05. 16"

      8 한상익, "제5회 동시지방선거 선거연합의 특징과 효과에 대한 시론적 연구: 선거구 경쟁 조건, 선거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55-78, 2012

      9 정병기, "제19대 총선과 정당체제 전망: 연합 정치의 효과"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65-94, 2012

      10 이정진, "정당연합과 지역주의" 극동문제연구소 19 (19): 5-138, 2003

      1 김준석, "후보 단일화 그리고‘권력나누기’의 메커니즘: 한국 대통령 선거연합 형성의 신호게임(Signaling Game) 접근" 한국정당학회 11 (11): 113-138, 2012

      2 "헤럴드 경제. 2014. 05. 29"

      3 진영재, "한국 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 결과와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129-149, 2008

      4 장훈, "한국 대통령제의 불안정성의 기원: 분점정부의 제도적, 사회적, 정치적기원" 35 (35): 107-128, 2001

      5 "한겨레. 2012. 02. 28"

      6 "파이낸셜 뉴스. 2014. 06. 05"

      7 "파이낸셜 뉴스. 2014. 05. 16"

      8 한상익, "제5회 동시지방선거 선거연합의 특징과 효과에 대한 시론적 연구: 선거구 경쟁 조건, 선거 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1 (21): 55-78, 2012

      9 정병기, "제19대 총선과 정당체제 전망: 연합 정치의 효과"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8 (18): 65-94, 2012

      10 이정진, "정당연합과 지역주의" 극동문제연구소 19 (19): 5-138, 2003

      11 정병기, "이탈리아‘제2공화국’선거연합 정치의 주요 요인과 특징" 한국정치학회 46 (46): 73-99, 2012

      12 진영재, "유효정당수’(Effective Number of Parties) 계산법의 문제점: 정당연합이론을 중심으로" 33 (33): 327-341, 1999

      13 고원, "유권자 주권과 2012년 총선 공천제도 개혁의 방향" (여름) : 117-130, 2011

      14 "울산매일. 2014. 05. 29"

      15 "울산매일. 2014. 05. 22"

      16 이남주, "연합정치의 필요성과 실현방도" (봄) : 48-59, 2011

      17 조성대, "연합정치의 비교정치적 맥락과 한국적 적용" 역사문제연구소 (98) : 24-56, 2012

      18 김범수, "연합정치의 경험과 전망: 고양무지개연대 사례 연구"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0) : 77-105, 2010

      19 "연합뉴스. 2014. 06. 01"

      20 "연합뉴스. 2014. 04. 15"

      21 신기현, "연립이론과 연립형성에 관한 연구" 11 : 143-165, 1984

      22 김대호, "야권통합과 2012년 시대과제" (여름) : 103-116, 2011

      23 "아시아투데이. 2014. 06. 09"

      24 "시사인. 2014. 06. 13"

      25 홍재우, "선거제도와 연합정치: 이론. 원칙 그리고 쟁점" 2 (2): 87-126, 2012

      26 정병기, "선거연합 연구의 한계 검토와 재분류 및 일반 이론 구성을 위한 메타 이론적 시론(試論)"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3 (23): 51-74, 2014

      27 "서울신문. 2014. 06. 05"

      28 "브레이크 뉴스. 2014. 05. 16"

      29 "부산일보. 2014. 06. 05"

      30 조성대,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선거에서 제3후보 현상과 선거연합에 관한 연구" 3 (3): 73-107, 2013

      31 현재호, "민주화 이후 정당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147-178, 2004

      32 "무등일보. 2014. 06. 04"

      33 "무등일보. 2014. 05. 27"

      34 김기석, "대통령제와 내각책임제 하에서의 연립정권 비교연구: 1990년대의 한국과 일본"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51-174, 2003

      35 "뉴스 1. 2014. 05. 22"

      36 "노컷뉴스. 2014. 05. 16"

      37 도묘연, "기초의회 정당구도와 선거연합의 관계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제5회 시·군·구 선거연합을 사례로" 21세기정치학회 22 (22): 239-265, 2012

      38 "국제신문. 2014. 05. 15"

      39 "국제신문. 2014. 05. 14"

      40 "광주일보. 2014. 05. 28"

      41 "광주드림. 2014. 05. 28"

      42 Kellam, Marisa., "Why Preelection Coalitions in Presidential System?" 2011

      43 Riker, William., "The Theory of Political Coalition" Yale University Press 1962

      44 Golder, Sona N., "The Logic of Pre-Electoral Coalition Formation" Ohio State University Press 2006

      45 Carroll, Royce, "The Logic of Gamson’s Law: Pre-election Coalitions and Portfolio Allocations" 51 (51): 300-313, 2007

      46 Ware, Alan., "The Dynamic of Two-Party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47 Gschwend, Thomas,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An Experimental Study on Voter Responses to Pre-electoral Coalitions" 47 : 556-577, 2008

      48 Golder, Sona N, "Pre-electoral coalitions in comparative perspective: A test of Existing Hypotheses" 24 (24): 643-664, 2005

      49 Golder, Sona N, "Pre-electoral Coalition Formation in Parliamentary Democracies" 36 (36): 193-212, 2006

      50 Debus, Marc., "Pre-electoral Alliances, Coalition Rejections and Multiparty Governments" Nomos 2007

      51 Tillman, Erik R., "Pre-Electoral Coalitions and Voter Turnout" 2009

      52 Cheibub, Josè A, "Minority Governments, Deadlock Situation and the Survival of Presidential Democracy" 51 (51): 284-312, 2002

      53 Blais, André, "Making Candidates Count: The Logic of Electoral Alliance in Two-Round Legislative Elections" 69 (69): 193-205, 2007

      54 Cheibub, Josè A., "Democratic Institutions and Regime Survival: Parliamentary and Presidential Democracies Reconsidered" 5 : 151-179, 2002

      55 Axelrod, Robert., "Conflict of Interest" Markham Publishing Company 1970

      56 박인규, "6․2 지방선거와 2010년 인천시민연대" (가을) : 261-273, 2010

      57 배성인, "6·2지방선거와 선거연합: 쟁점에 대한 이해와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7 (7): 170-200, 2010

      58 김형준, "4․11 총선 평가와 유권자 재편성 고찰" 세종연구소 18 (18): 29-57, 2012

      59 고원, "2010년 한국의 지방선거와 연합정치의 쟁점"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0) : 45-76, 2010

      60 김태완, "19대 총선 집합자료를 이용한 당선 가능성 예측과 투표율의 상관관계 분석" 21세기정치학회 22 (22): 153-181, 2012

      61 도묘연, "19대 총선 선거연합의 효과"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의정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94 1.256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