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81927
2021
-
692.379
KCI등재
학술저널
131-144(1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
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유목적표지법을 이용하여 총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87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칭행동 인식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운동지속의사의 하위요인인 강화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가능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행동 인식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훈련과 지시행동), 경기만족(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자신감(권위적 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지속의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가능성), 경기만족(가능성), 자신감(강화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aching behavior of disabled bowl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00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l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aching behavior of disabled bowl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00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lony sampling method of wheelchair bowling players registered in the 2021 Korean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and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is,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Thus, a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perception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re reinforcing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reward behavior), possibility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but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tend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recognition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effects on performance influenc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game satisfaction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confidence (authoritative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appeared to a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competition influence (possibility), competition satisfaction (possibility), and confidence (reinforcement).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이 계획행동 및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혁신저항모델을 적용한 가상현실 스포츠 참여에 대한 지체장애인의 수용의도
2021 World Para Ice Hockey Championships의 승패요인 분석: 데이터마이닝 기반 의사결정나무 분석의 적용
Rasch 모형을 적용한 프리젠티즘(Presenteeism) 척도의 타당도 증거: 장애인스포츠지도사와 생활스포츠지도사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