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coaching behavior perception of disabled bowlers with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9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유목적표지법을 이용하여 총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87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칭행동 인식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운동지속의사의 하위요인인 강화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가능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행동 인식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훈련과 지시행동), 경기만족(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자신감(권위적 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지속의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가능성), 경기만족(가능성), 자신감(강화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

      본 연구는 장애인 볼링선수의 코칭행동 인식과 운동지속의사 및 인지된 경기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2021년 대한장애인체육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휠체어볼링선수들을 모집단으로 유목적표지법을 이용하여 총 2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187명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칭행동 인식이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운동지속의사의 하위요인인 강화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가능성(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경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칭행동 인식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훈련과 지시행동), 경기만족(민주적 행동, 권위적 행동), 자신감(권위적 행동)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지속의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요인인 경기 영향력(가능성), 경기만족(가능성), 자신감(강화성)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aching behavior of disabled bowl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00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lony sampling method of wheelchair bowling players registered in the 2021 Korean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and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is,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Thus, a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perception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re reinforcing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reward behavior), possibility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but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tend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recognition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effects on performance influenc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game satisfaction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confidence (authoritative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appeared to a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competition influence (possibility), competition satisfaction (possibility), and confidence (reinforcement).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aching behavior of disabled bowl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00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l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coaching behavior of disabled bowlers and their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and perceived performance. To this end, a total of 200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colony sampling method of wheelchair bowling players registered in the 2021 Korean Sports Association for the Disabled, and 187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this,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Thus, a conclusion was drawn.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perception on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the sub-factors of exercise continuation intention are reinforcing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reward behavior), possibility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positive reward behavior), but did not appear to have an effect on all sub-factors of tendency.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oaching behavior recognition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effects on performance influence (training and directive behavior), game satisfaction (democratic behavior, authoritative behavior), and confidence (authoritative behavior), which ar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appeared to a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e on perceived performance, i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erceived performance: competition influence (possibility), competition satisfaction (possibility), and confidence (reinforce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