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이 계획행동 및 건강증진행동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Deaf People Health Beliefs on Planning Behavior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이 계획행동 및 건강증진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의 5개 권역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206명을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은 계획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은 계획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은 건강증진 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 행동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파생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이 계획행동 및 건강증진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의 5개 권역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2...

      이 연구는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이 계획행동 및 건강증진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강원, 충청, 전라의 5개 권역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을 206명을 대상으로 유목적 표집법을 통해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은 계획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각장애인의 건강신념은 계획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각장애인의 계획행동은 건강증진 행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청각장애인의 건강증진 행동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를 파생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af health beliefs on planning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o this end, 206 deaf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Gangwon, Chungcheong, and Jeolla were sampled through a nomadic sampling method. The survey tool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as the survey too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beliefs of the deaf had a partial effect on the planning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beliefs of the Deaf People partially affected the planning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lanned behaviors of the hearing impaired partially affecte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of the deaf will be deriv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af health beliefs on planning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o this end, 206 deaf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Gangwon, Chungcheong, and Jeolla were sampled through a n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af health beliefs on planning behavio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s. To this end, 206 deaf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Gangwon, Chungcheong, and Jeolla were sampled through a nomadic sampling method. The survey tool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used as the survey tool,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ing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beliefs of the deaf had a partial effect on the planning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beliefs of the Deaf People partially affected the planning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lanned behaviors of the hearing impaired partially affected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 Through these research results, it was expected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of the deaf will be deriv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호, "통제소제와 건강신념이 손씻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2 원영인, "청각장애인의 운동만족과 건강신념의 구조적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33-143, 2020

      3 이계승, "지체장애인의 음주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장애 및 건강특성" 생명문화연구소 60 : 107-132, 2021

      4 원영인,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 효과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1-11, 2019

      5 김수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보건의료 및 건강수준 격차와 시사점" 294 : 49-61, 2021

      6 윤현숙, "일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예방태도와 건강행동"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229-244, 2005

      7 박지현, "우리나라 일부 여대생의 골다공증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의 비교 연구" 37 (37): 56-92, 2003

      8 박정우, "여성 수영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동기조절 및 건강증진행동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오은택,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사회적지지,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179-188, 2012

      10 김연주, "식품안전·영양지식이 가공식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8

      1 이철호, "통제소제와 건강신념이 손씻기 의도에 미치는 영향 :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2 원영인, "청각장애인의 운동만족과 건강신념의 구조적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28 (28): 133-143, 2020

      3 이계승, "지체장애인의 음주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장애 및 건강특성" 생명문화연구소 60 : 107-132, 2021

      4 원영인, "지체장애인의 라이프스타일과 건강증진행동의 관계에서 스포츠 태도의 매개 효과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 27 (27): 1-11, 2019

      5 김수진,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보건의료 및 건강수준 격차와 시사점" 294 : 49-61, 2021

      6 윤현숙, "일부 대학생들의 생활습관병에 대한예방태도와 건강행동"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2 (22): 229-244, 2005

      7 박지현, "우리나라 일부 여대생의 골다공증 건강신념 및 건강증진행위의 비교 연구" 37 (37): 56-92, 2003

      8 박정우, "여성 수영 참여자의 사회적 지지와 동기조절 및 건강증진행동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오은택, "여가스포츠 활동 참여자의 사회적지지, 생활만족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51 (51): 179-188, 2012

      10 김연주, "식품안전·영양지식이 가공식품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8

      11 Richard P., "소비자 행동의 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주) 2004

      12 김지태, "생활체육 참여 장애인의 건강상태지각과 건강증진행동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 19 (19): 43-55, 2011

      13 이원일, "생활체육 참여 노인의 건강신념이 스포츠태도 및 수면장애에 미치는 영향" 학교체육연구소 8 (8): 147-157, 2020

      14 정희정, "무용이 발달장애인의 체력 및 운동기술 변인에 미치는 효과" 한국무용학회 21 (21): 1-12, 2021

      15 남미희, "리듬운동 참여노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지각된 가치 및 건강증진행위의 관계" 대한무용학회 72 (72): 62-78, 2014

      16 길계숙, "당뇨병 환자의 만성합병증에 대한 지식, 인지된 심각성, 예방행위 실천도"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5 (5): 78-89, 2005

      17 김원표, "다시 쓰는 통계분석 기본통계분석" 와이즈컴퍼니 2017

      18 김보람, "계획행동이론(TPB)에 기초한 여가교육이 중년여성의 건강인식, 생성감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19 이윤재, "건강신념이 건강정보처리과정과 건강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0 김광희, "건강신념모델과 범이론적 모형을적용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두피, 모발 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17

      21 전재희, "간호대학생의 손씻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손씻기 태도를 중심으로"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7 (27): 132-141, 2020

      22 Martin, L. G., "Trends in disability and related chronic among the forty-and-over population : 1997-2010" 7 : 4-14, 2014

      23 Ajzen, I.,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50 (50): 179-211, 1991

      24 Jina Han, "The effects of age identity and attitude toward aging on the use of health promotion in late life"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32 (32): 33-42, 2015

      25 Hayslip, B., "The development of new scales for assessing health belief model constructs in adulthood" 4 (4): 307-323, 1996

      26 Joon-Bae Kim, "Relationship among the Lifestyle,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The Korean Society of Sports Science 28 (28): 125-138, 2019

      27 Ajzen, I., "Prediction and Change of Health Behavior; Applying the Reasoned Action Approa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7

      28 Moore, P. V., "Health promotion : evolution of a concept" 19 : 195-206, 1984

      29 Glanz, K.,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 Theory, research and practices" Jossey-Bass 2008

      30 Sarallah, S., "Effects of the Health Belief Model(HBM)-Based Educational Program on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Behaviors of CABG Patients" 11 (11): 181-186, 2016

      31 Su Jeong Song, "Comparison of practice of dietary guidelines and health beliefs according to stage of weight loss behavior change among male worker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46 (46): 276-, 2013

      32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SPSS 아카데미 2004

      33 한국장애인개발원, "2017장애인백서"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34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Society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2-02-0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 Korean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 1.2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8 1.31 1.18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