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한문이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이 분명하나 우리에게는 이들을 우리 것으로 사용하려는 전통이 있다. 국어 속의 한자어는 한자와 한문을 토착화하려는 선인들의 이러한 노력 속에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한자와 한문이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이 분명하나 우리에게는 이들을 우리 것으로 사용하려는 전통이 있다. 국어 속의 한자어는 한자와 한문을 토착화하려는 선인들의 이러한 노력 속에서 ...
한자와 한문이 중국에서 들어온 것임이 분명하나 우리에게는 이들을 우리 것으로 사용하려는 전통이 있다. 국어 속의 한자어는 한자와 한문을 토착화하려는 선인들의 이러한 노력 속에서 생성된 것들이다. 따라서 한자어를 우리 국어에서 몰아내려는 짓을 계속한다면 우리 스스로 문화의 무덤을 파는 것이라 아니할 수 없다.
한글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헌신했던 선각자의 본의가 어디에 있었는가를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그분들은 ‘자동’이나 ‘기계’란 말 대신에 ‘오토’나 ‘머신’이 버젓이 자리 잡고 있는 이런 현실을 기대했던 것은 아닐 것이다. 국어에서 나름대로 문화 관련 명칭으로 생명을 얻어가는 ‘회관’을 몰아내고 센터로 바꾸기를 바랐던 바는 더더욱 아니었을 것이다. 그분들이 한글 사용에 보인 열정은 한문이나 한자 뒤에 가려진 지나친 형식주의를 경계하고 새로운 문화를 받아들어야 할 시대적 당위성을 직시했던 결과라고 생각한다. 한자와 한문을 배우기 위해 보내야 하는 그 오랜 시간과 정열이 새로운 학문 체계와 기술의 습득으로 승화되어야 하는 시대적 요구를 선각했던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