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였던 우키요에에 표현된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실루엣을 통한 조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시대의 우키요에라는 미술양식을 통해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2768
2009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291-309(19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였던 우키요에에 표현된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실루엣을 통한 조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시대의 우키요에라는 미술양식을 통해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본 논문은 에도시대의 대표적인 문화였던 우키요에에 표현된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실루엣을 통한 조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그 시대의 우키요에라는 미술양식을 통해 고소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 고소데의 실루엣 특성을 통해 이것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이국적인 디자인 개발에 응용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실루엣 특성을 고찰한 결과, 윤곽선은 신체를 따라 흐르는 듯한 느낌의 유연한 S형의 유선적인 라인이 많이 보였고, 부피감을 강조하기 위한 착장상의 실루엣 특성은 겹쳐 입어 나타나는 두께감을 강조한 실루엣과 착장방식에 따른 실루엣의 형태로 나타났다. 또한 세부장식인 오비의 착장에 의한 실루엣 특성을 고찰한 결과, 오비를 통한 분할선의 활용은 의복을 통해서 인체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여자의복에서 나타나는 비례는 상체와 오비의 길이가 같은 비율로 나타나며 하체부분이 상체와 오비를 합한 길이와 같거나 더 길게 나타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왜소하고 작은 체구가 직선적인 의복에 의해 더 작아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오비를 활용하여 하체를 길어 보이게 하였다고 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in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wofold. Firstly, it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ways in which Kosode(小袖) was presented in Ukiyoe(浮世繪), the main stream cultural trend in the Edo(江戶) era, has changed, by closely l...
The main objectives of this thesis are twofold. Firstly, it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ways in which Kosode(小袖) was presented in Ukiyoe(浮世繪), the main stream cultural trend in the Edo(江戶) era, has changed, by closely looking into the formality of silhouettes. Secondly, it intends to examine a serie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merging between Kosode and Ukiyoe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figurative aspects found in empirical data relating to the Edo era. The outcomes having been obtained as a result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requently-employed type of the silhouette mainly constituted S-shaped elastic forms and, in particular, Obi was utilized to make up for physical disadvantages people having small frames had, by using a line dividing a whole body into the upper, Obi and lower part, centering upon its position. Given the fact that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were two key elements to the lives of working-class people, they would wear Yumaki(湯卷) under Obi with short dress length by making use of such a dividing line to let waste-lines downwards so that their bodily shapes could eventually seem to be even longer.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lucidated the features of Kosode silhouettes presented in Ukiyoe in the Edo er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재, "조선 후기 풍속화와 일본 에도시대 우키요에(浮世繪)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2003
2 이경희, "일본평안시대의 의복색채의장의 특성" (31) : 25-, 1997
3 김문길, "일본의 역사와 문화" 형설출판사 224-, 1998
4 丹野郁, "일본복식에 보이는 동서양의 문화교류에 대하여" 한국복식학회 15-, 1980
5 고바야시 다다시, "우키요에의 美" 이다미디어 2004
6 "귀중자료 데이터 베이스"
7 末久眞野子, "近世初期風俗畵におけゐ遊女の小袖裝飾意匠" 日本デザイン學會 2005
8 末久眞野子, "近世初期風俗畵におけゐ遊女の小袖意匠" 日本デザイン學會 2007
9 "菱菊文様寛文小袖"
10 中江充己, "色の名前で讀み解く日本史" 靑春出版社 2003
1 백승재, "조선 후기 풍속화와 일본 에도시대 우키요에(浮世繪) 비교 연구" 고려대학교 2003
2 이경희, "일본평안시대의 의복색채의장의 특성" (31) : 25-, 1997
3 김문길, "일본의 역사와 문화" 형설출판사 224-, 1998
4 丹野郁, "일본복식에 보이는 동서양의 문화교류에 대하여" 한국복식학회 15-, 1980
5 고바야시 다다시, "우키요에의 美" 이다미디어 2004
6 "귀중자료 데이터 베이스"
7 末久眞野子, "近世初期風俗畵におけゐ遊女の小袖裝飾意匠" 日本デザイン學會 2005
8 末久眞野子, "近世初期風俗畵におけゐ遊女の小袖意匠" 日本デザイン學會 2007
9 "菱菊文様寛文小袖"
10 中江充己, "色の名前で讀み解く日本史" 靑春出版社 2003
11 本間ひろみ, "浮世繪に見る日本女性の描かれ方について" 41 : 2000
12 村松英子, "浮世繪にみられゐ服飾表現についての一考察" 1996
13 小林 忠, "江戶文化の華-浮世繪" The 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1989
14 倉盛三知代, "江戶小袖の裾についての一考察" wakayama University 硏究紀要 183-, 2003
15 "江戶の粹"
16 "歌舞技浮世繪畵廊"
17 北村哲郞, "日本被服文化史" 光生館 118-119, 1994
18 久野健, "日本美術史" 悅話堂 283-, 1985
19 北村哲郞, "日本服飾史" 경춘사 118-, 1999
20 "文樣の歷史"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6-11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Research Institut for Humanities ->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8 | 0.58 | 0.5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9 | 0.58 | 0.86 | 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