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국내 어린이 프로그램의 편성현황 및 발달단계별 내용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2467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케이블·위성방송의 13개 어린이 방송채널, 5개 지상파 방송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전체적인 편성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편성분석은 2007년 7월 9일∼15일(1주일)까지 18개 방송채널들의 어린이 프로그램 전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내용분석은 폭력적 내용에 대한 분석이 아닌 어린이의 발달단계상 어떠한 부분들에 맞혀진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대상은 3∼7세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으로 한정하였다. 편성현황 분석결과, 분석된 18개 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량은 1주일에 1,743시간, 1일 평균 249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들 케이블·위성방송 채널들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비율은 약 85%, 지상파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비율은 4.15%(EBS 포함시, 11.37%)로 나타났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장르분석 결과는 애니메이션의 지나친 편중을 보여주었다.
      18개 채널의 애니메이션 편성비중은 85.36%(지상파채널: 52.6%, 케이블·위성채널: 87.44%)로 분석되었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국내제작, 해외수입 비중은 3∶7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수입국은 미국(전체 어린이 프로그램의 31.6%), 일본(전체 어린이 프로그램의 26.3%)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결과, <사회적 스킬>을 다루는 내용이 가장 많고, <청각스킬>, <자기감각>, <신체적 활동> 등을 다루는 내용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청각스킬>, <신체적 활동>, <학교 입학준비 관련> 요인에서 애니메이션과 놀이·체험 프로그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놀이·체험 프로그램이 이들 요인들 모두에서 많이 다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케이블·위성방송의 13개 어린이 방송채널, 5개 지상파 방송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전체적인 편성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분석�...

      본 연구는 케이블·위성방송의 13개 어린이 방송채널, 5개 지상파 방송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전체적인 편성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편성분석은 2007년 7월 9일∼15일(1주일)까지 18개 방송채널들의 어린이 프로그램 전수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내용분석은 폭력적 내용에 대한 분석이 아닌 어린이의 발달단계상 어떠한 부분들에 맞혀진 내용으로 구성되어져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분석대상은 3∼7세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으로 한정하였다. 편성현황 분석결과, 분석된 18개 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량은 1주일에 1,743시간, 1일 평균 249시간으로 나타났다. 이들 케이블·위성방송 채널들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비율은 약 85%, 지상파채널의 어린이 프로그램 편성비율은 4.15%(EBS 포함시, 11.37%)로 나타났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장르분석 결과는 애니메이션의 지나친 편중을 보여주었다.
      18개 채널의 애니메이션 편성비중은 85.36%(지상파채널: 52.6%, 케이블·위성채널: 87.44%)로 분석되었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국내제작, 해외수입 비중은 3∶7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어린이 프로그램의 수입국은 미국(전체 어린이 프로그램의 31.6%), 일본(전체 어린이 프로그램의 26.3%)으로 편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결과, <사회적 스킬>을 다루는 내용이 가장 많고, <청각스킬>, <자기감각>, <신체적 활동> 등을 다루는 내용이 그 다음으로 많았다. <청각스킬>, <신체적 활동>, <학교 입학준비 관련> 요인에서 애니메이션과 놀이·체험 프로그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놀이·체험 프로그램이 이들 요인들 모두에서 많이 다루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ren’s channels and their programings of the Korean cable television and the terrestrial networks. The total programming of 18 children’s channel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whole programs of the one week between June 9, 2007and June
      15, 2007 were obtained from the web sites of the channels. The contents of the 28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s programs were also analyzed.
      The target audiences of the selected children’s programs were three to seven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s of children’s programming for the one week were 1,743 hours, representing 249 hours per day on the average. The ratio of the children’s programming to the whole programming on the cable television channels was 85%, while the ratio on the network televisions was only 11.37%. When the EBS network television was excluded, the ratio sharply dropped to 4.15%. The foreign children’s programs were mainly imported from America, explaining 31.6% of the total children’s programs. Japan was the next, explaining 26.3%.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s of dealing with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most salient in the programs for targeting the ages from 3 to 7. The followings were the contents that dealt with auditory skills, sense of selfhood, and physical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ren’s channels and their programings of the Korean cable television and the terrestrial networks. The total programming of 18 children’s channel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whole programs of the one week betw...

      This study examined the children’s channels and their programings of the Korean cable television and the terrestrial networks. The total programming of 18 children’s channels were analyzed. For the analysis, the whole programs of the one week between June 9, 2007and June
      15, 2007 were obtained from the web sites of the channels. The contents of the 28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s programs were also analyzed.
      The target audiences of the selected children’s programs were three to seven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mounts of children’s programming for the one week were 1,743 hours, representing 249 hours per day on the average. The ratio of the children’s programming to the whole programming on the cable television channels was 85%, while the ratio on the network televisions was only 11.37%. When the EBS network television was excluded, the ratio sharply dropped to 4.15%. The foreign children’s programs were mainly imported from America, explaining 31.6% of the total children’s programs. Japan was the next, explaining 26.3%.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s of dealing with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most salient in the programs for targeting the ages from 3 to 7. The followings were the contents that dealt with auditory skills, sense of selfhood, and physical activ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문제제기
      • 2. 텔레비전과 어린이
      • 1) 국내 어린이 텔레비전 이용환경
      • 2) 어린이의 텔레비전 시청에 대한 연구
      • 요약
      • 1. 문제제기
      • 2. 텔레비전과 어린이
      • 1) 국내 어린이 텔레비전 이용환경
      • 2) 어린이의 텔레비전 시청에 대한 연구
      • 3) 어린이의 인지적 발달단계와 텔레비전 내용에 대한 이해
      • 3. 연구방법
      • 1) 자료수집
      • 2) 분석틀
      • 3) 코더 간 신뢰도
      • 4. 분석결과
      • 1) <연구문제 1>에 대한 분석결과
      • 2) <연구문제 2>에 대한 분석결과
      • 3) <연구문제 3>에 대한 분석결과
      • 5. 결론 및 한계점
      • 1) 연구의 요약 및 함의점
      • 2) 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재, "학습심리학 입문" 박영사 1985

      2 한균태, "지상파 텔레비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21 (21): 311-351, 2007

      3 배 영, "어린이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관계" 19 (19): 307-350, 2005

      4 김정기, "어린이 시청자의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경험연구" 16 (16): 168-206, 2002

      5 박혜원, "아동의 TV시청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심리학적 연구를 위한 한국 문헌 고찰" 2 (2): 125-142, 1989

      6 안정임, "방송위원회 KI지수 연계 유아·어린이 프로그램의 품질평가모델 개발연구" 방송위원회 2007

      7 방송위원회, "방송3사 2006년 가을철 정기개편 프로그램 편성현황 분석보고서" 2007

      8 Howard, S., "unbalanced minds? Children thinking about television in Wired-up Young people and the electronic media" UCL Press 57-76, 1998

      9 Lemish, D., "Viewers in diapers: The early development of television viewing in Natural audiences: Qualitative research of media uses and effects" Ablex 33-57, 1987

      10 Gerbner, G.,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30 (30): 10-29, 1980

      1 김영재, "학습심리학 입문" 박영사 1985

      2 한균태, "지상파 텔레비전의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타난 폭력성 연구: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21 (21): 311-351, 2007

      3 배 영, "어린이 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관계" 19 (19): 307-350, 2005

      4 김정기, "어린이 시청자의 도구적 시청과 관습적 시청경험연구" 16 (16): 168-206, 2002

      5 박혜원, "아동의 TV시청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심리학적 연구를 위한 한국 문헌 고찰" 2 (2): 125-142, 1989

      6 안정임, "방송위원회 KI지수 연계 유아·어린이 프로그램의 품질평가모델 개발연구" 방송위원회 2007

      7 방송위원회, "방송3사 2006년 가을철 정기개편 프로그램 편성현황 분석보고서" 2007

      8 Howard, S., "unbalanced minds? Children thinking about television in Wired-up Young people and the electronic media" UCL Press 57-76, 1998

      9 Lemish, D., "Viewers in diapers: The early development of television viewing in Natural audiences: Qualitative research of media uses and effects" Ablex 33-57, 1987

      10 Gerbner, G., "The “mainstreaming” of America: Violence profile no. 11" 30 (30): 10-29, 1980

      11 Calvert, S. L., "The selective use of sound effects and visual inserts for children’s story comprehension" 8 : 363-374, 1987

      12 Jaglom, L. M., "The preschool viewer as anthropologist in Viewing children through television: New directions in child development" Jossey Bass 9-29, 1981

      13 Paik, H., "The effects of television violence on antisocial behavior: Meta-analysis" 21 (21): 516-546, 1994

      14 Linz, D., "The effects of multiple exposures to filmed violence against women" 34 (34): 130-147, 1984

      15 Gerbner, G., "The demonstration of power: Violence profile no.10" 29 (29): 177-196, 1979

      16 Fisch, S., "The children’s television workshop: The experiment continues in A communications cornucopia: The Markle Foundation essays on information policy" Brookings Institute Press 1998

      17 Huston, A. C., "The Development of television viewing patterns in early childhood: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26 : 409-420, 1990

      18 통계청, "TV시청시간(주제별 통계: 보건사회복지의 문화와 여가)"

      19 Bandura, A., "Social learning and personality development" Holt Rinehart & Winston 1963

      20 Huston, A. C., "Sesame Street viewers as adolescents: The recontact study in “G” is for “growing”: thirty years of research on Sesame Street" Erlbaum 2001

      21 Wakshlag, J. J., "Selective exposure to and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as a function of appeal and tempo of background music" 74 : 666-677, 1982

      22 Myers, D. G., "Psychology" Worth Publishers 1998

      23 Stanger, J., "Playing by the rules: Impact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s educational television regulations among local broadcasters" 4 : 483-511, 1999

      24 Miron, D., "PBS final report: Ready to learn evaluation. Report to PBS" Institute for Communication Research 2000

      25 Grobel, J., "Media access and media use among 12-year-olds in the world in Children and media: Image, education, participation" UNESCO International Clearinghouse on Children and Violence on the Screen 61-68, 1999

      26 Huston, A. C., "Mass media and children’s development in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4: Child psychology in practice" Wildey 999-1058, 1997

      27 Roberts, D. F., "Kids and media at the new millenium: A Kaiser Family Foundation Report" Henry J. Kaiser Family Foundation 1999

      28 Collins, W. A., "Interpretation and inference in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elevision: Research on attention and comprehension" Academic Press 125-150, 1983

      29 Bandura, A., "Influence of model’s reinforcement contingencies on the acquisition of imitative responses" 1 : 585-595, 1965

      30 Bandura, A., "Imitation of film-mediated aggressive models" 1 : 575-582, 1963

      31 Rydin, I., "How children understand television and learn form it: A Swedish perspective in Children and the formal features of television" K. G. Saur 166-187, 1983

      32 Gerbner, G., "Growing up with television: The cultivation perspective in Media effects: Advances in theory and researc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41, 1994

      33 Schmitt, K. L., "Form and content: Looking at visual features of television" 35 : 1156-1167, 1999

      34 Wood, W., "Effects of media violence on viewers’ aggression in unconstrained social interaction" 109 (109): 371-283, 1991

      35 Drabman, R. S., "Does media violence increase children’s toleration of real-life aggression?" 10 (10): 418-421, 1974

      36 Thomas, M. H., "Desensitization to portrayals of real-life aggression as a function of exposure to television violence" 35 (35): 450-458, 1977

      37 Valkenberg, P. M., "De ontwikkeling van kind tot consument [The development of a child into a consumer]" 27 : 30-46, 1999

      38 Collins, W. A., "Children’s social responses following modeled reactions to provocation: Prosocial effects of a television drama" 44 : 488-500, 1976

      39 Huston, A. C., "Big world, small screen: The role of television in American society"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1992

      40 YMCA 어린이 영상문화연구회, "2007 상반기 애니메이션 및 어린이, 교육 채널 모니터보고서" 2007

      41 은혜정, "2004년도 TV프로그램 시청률백서" 한국방송영상산업진흥원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8-3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 한국소통학보
      외국어명 : Speech & Communication ->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피치커뮤니케이션학회 -> 한국소통학회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511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