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초록
- Ⅰ. 들어가며
- 1. 용어의 정의
- Ⅱ. 교실드라마와 공간
- 1. 교실드라마에 대한 이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시 교육위원회, "학교시설 표준설계도 1집 교사・체육관 편"
2 김일두, "학교 공간에 대한 어린이의 장소감 - ‘어린이 지리학’의 관점에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39-53, 2015
3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51-67, 1999
4 박종률, "체육수업 저해요인의 진단과 대응방식 탐색" 한국체육학회 44 (44): 193-205, 2005
5 안용세, "창의적 움직임을 적용한 초등 드라마 활동 질적 사례연구 : 라반의 움직임 이론을 중심으로" 12 (12): 123-144, 2020
6 최형주, "창의성을 촉진하는 초등학교 공간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선민, "창의・인성・감성을 키우는 이야기 교실 연극" 북멘토 2018
8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9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0 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1 서울시 교육위원회, "학교시설 표준설계도 1집 교사・체육관 편"
2 김일두, "학교 공간에 대한 어린이의 장소감 - ‘어린이 지리학’의 관점에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3 (23): 39-53, 2015
3 황정현, "총체적 언어교육 방법론으로서의 교육연극의 이해" 15 : 51-67, 1999
4 박종률, "체육수업 저해요인의 진단과 대응방식 탐색" 한국체육학회 44 (44): 193-205, 2005
5 안용세, "창의적 움직임을 적용한 초등 드라마 활동 질적 사례연구 : 라반의 움직임 이론을 중심으로" 12 (12): 123-144, 2020
6 최형주, "창의성을 촉진하는 초등학교 공간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7 김선민, "창의・인성・감성을 키우는 이야기 교실 연극" 북멘토 2018
8 유기웅, "질적연구방법의 이해" 박영사 2012
9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5
10 Ponty, M., "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11 Relph, E.,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2016
12 Courtney, R., "연극은 지적 행위인가" 평민사 2007
13 Besaw, P., "연극, 놀이그리고 교육, 2" 192-215, 2007
14 주혜민, "어느 초등학교의 교육연극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한국교육연극학회 12 (12): 25-45, 2020
15 Taylor, P., "시실리 오닐의 교육연극" 연극과인간 2013
16 Taylor, P., "시민연극: 연극을 통한 공동체, 참여 그리고 변화" 청동거울 2009
17 Neelands, J., "스트럭처링 드라마" 달라에듀테인먼트 2013
18 김병주, "성찰적 커뮤니티를 위한 예술교육 전문 인력 연수 : TAT-Lab 연계 연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13 (13): 1-28, 2021
19 Yin, R. K.,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09
20 이승현, "비대면 수업은 왜 불편한가?: 원격성 개념에 대한 교육철학적 검토" 한국교육철학학회 42 (42): 109-132, 2020
21 김일석, "미디어 공간의 신체체험에 의한 동시적 감각행위 응답공간의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3 (23): 9-18, 2020
22 Anderson, J., "문화·장소·흔적: 문화지리로 세상 읽기" 한울 2013
23 Kempe, A., "무대가 된 교실: 초등 고학년 및 중학생을 위한 교육연극 수업" 연극과 인간 2007
24 김연종, "몸 움직임이 공간구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 감성공간디자인(GSD)를 중심으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8 (18): 124-132, 2009
25 오영근, "몸 움직임에 따른 감성표현과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7 (17): 170-177, 2008
26 김재리, "루돌프 라반(Rudolf Laban)‘움직임 공간’의 안무학적 특성 -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1 : 21-43, 2013
27 O’Neill, C., "드라마 세계" 연극과 인간 2019
28 김정아, "도로시 헤스콧(Dorothy Heathcote)의 교육연극 방법론 연구 :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02
29 김주연, "구조와 즉흥의 관점으로 바라본 교육 연극 실천들" 한국연극교육학회 17 : 79-105, 2010
30 김윤영, "교육적 공간으로서 교실에 대한 고찰" 19 (19): 59-79, 2013
31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2005
32 김병주, "교육연극의 복합성과 교육의 지향점" 2 : 1-17, 2007
33 배주연, "교육연극을 실행하는 ‘공간’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실 고찰"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20
34 배주연, "교육연극 실행 ‘공간’으로서의 초등학교 교실 고찰 - ‘메탁시스’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연극학회 12 (12): 79-109, 2020
35 Bolton, G. M., "교실연기란 무엇인가" 연극과 인간 2012
36 이소희, "교실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의사결정 과정 탐구" 27 (27): 81-101, 2020
37 천효정, "교실 연극의 공간 구성 방향" 청람어문교육학회 (76) : 203-231, 2020
38 안호영, "공간은 어떻게 인식되는가? : 철학과 과학에서 본 공간" 8 : 9-20, 2007
39 Tuan, Y., "공간과 장소" 대윤 2011
40 Foucault, M., "감시와 처벌" 나남 2020
41 김주연, "The Principles of Construction of Social, Pedagogical Classroom Improvisation" Korean Society for Drama null (null): 71-112, 2015
42 Heathcote, D., "Evanston" Northwestern Univ. Press 44-48, 1967
43 Byoung Joo Kim, "Education Meets Drama : A Speculation on the Installation of Drama/Theatre Unit in Elementary Korean Education Subject" Korea Association for Drama/Theatre and Education 10 (10): 95-112, 2018
44 Heathcote, D., "Drama for learning : Dorothy Heathcote's mantle of the expert approach to education" Heinemann 1995
45 Strauss, A. L.,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1990
46 Min-Chul Suk, "An Analysis abou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Classroom Space Utilization"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23 (23): 43-54, 2016
47 김주연, "A Study Of The Direction Of ‘Theatre’ In Korean Subject Of 2015 Revised Curriculum: Drama As An Art Form Based upon The Integration Of ‘Drama’ And ‘Theatre’" Elementary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28 (28): 49-66, 2017
48 김영훈,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응하는 초등학교 교실 공간계획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49 유지훈, "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 실행 활성화를 위한 소고" 한국교육연극학회 12 (12): 111-132, 2020
초등교사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온라인 교육연극 프로그램 사례 연구
비대면 교육환경에서의 온라인 TIE 프로그램 개발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