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중 양손사용 스마트폰 자판 입력과 손 기능과의 관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 and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were evaluated for 40 university students Provi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ion using both han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used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han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or. As a result,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dominant hand in the Purdue Pegboard Test (r=-.313, p<.05). In addition, the input speed of the smartphone keyboard is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and Form Constancy (r=-.341, p<.05) in the item of K-DTVP-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will be proven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al studies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ordination ...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hand functional training programs using a keyboard to see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the Dexterity of the hand and the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Purdue Pegboard, Grooved Pegboard Test, and Korean-Developmental-Test of Visual Perception-Adolescent were evaluated for 40 university students Province.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ion using both hand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Pearson correlation was also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used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hand dexterity, eye-hand coordination ability and visual-motor. As a result, the smartphone keyboard input speed using both hands showed a correlation with the dominant hand in the Purdue Pegboard Test (r=-.313, p<.05). In addition, the input speed of the smartphone keyboard is Copying(r=-.333, p<.05), Visual Motor Search(r=.455, p<.01), Visual Motor speed(r=-.453, p<.01) and Form Constancy (r=-.341, p<.05) in the item of K-DTVP-A.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effectiveness of a treatment program using a smartphone will be proven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al studies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소영,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59-67, 2005

      2 조용태, "한국판 청소년용 시지각 발달검사(K-DTVP-A)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151-173, 2013

      3 강현진,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3 (3): 13-21, 2005

      4 김시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및 이용 동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2016

      5 한국장애인개발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손기능평가도구편)"

      6 김상환, "이동전화 한글입력시스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28 (28): 8-200, 2002

      7 김윤태, "연령에따른 장악력과 손의 기민성 평가" 18 (18): 780-788, 1994

      8 이은희, "안구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기능과 눈-손협응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39-52, 2015

      9 이아름, "안구와 손의 협응과제에서 방해물의Global Effect" 37 (37): 49-54, 2006

      10 김정환, "숙련도 차이에따른 문자 입력 작업 형태 분석" 2007

      1 홍소영, "휴대전화기 문자 쓰는 속도와 손의 민첩성과의 상관관계" 대한작업치료학회 13 (13): 59-67, 2005

      2 조용태, "한국판 청소년용 시지각 발달검사(K-DTVP-A)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151-173, 2013

      3 강현진, "취학 전 아동의 손 기민성과 시각-운동 기술과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 3 (3): 13-21, 2005

      4 김시연, "청소년의 스마트폰 사용시간및 이용 동기와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2016

      5 한국장애인개발원, "직업평가도구 사용매뉴얼(손기능평가도구편)"

      6 김상환, "이동전화 한글입력시스템의 물리적 인터페이스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공학회 28 (28): 8-200, 2002

      7 김윤태, "연령에따른 장악력과 손의 기민성 평가" 18 (18): 780-788, 1994

      8 이은희, "안구훈련이 뇌졸중환자의 시지각기능과 눈-손협응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 23 (23): 39-52, 2015

      9 이아름, "안구와 손의 협응과제에서 방해물의Global Effect" 37 (37): 49-54, 2006

      10 김정환, "숙련도 차이에따른 문자 입력 작업 형태 분석" 2007

      11 양영필, "동작관찰이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대한물리의학회 7 (7): 111-118, 2012

      12 이문영,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경도인지장애와의 연관성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9 (9): 361-368, 2015

      13 유진호, "대학생의 스마트폰 게임사용이 보행패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1 (11): 243-248, 2017

      14 이택영,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 기능이 건측 손의기민성에 미치는 영향" 7 (7): 56-67, 1999

      15 장정숙,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민성 평가시 10초 검사의 유용성 연구 : 퍼듀 페그보드 및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와 비교"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0

      16 이택영, "Grooved pegboard 검사의 정상성인의 표준치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 8 (8): 87-94, 2001

      17 한국갤럽조사연구소, "2012-2018 스마트폰 사용률, 현재 사용&향후 구입 예정 브랜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7 0.78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