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주택재개발 아파트단지의 경계부 구성 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464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불량주택 재개발에 의하여 조성되는 아파트 단지의 경계부에 대하여 세대규모 및 시계열 별 구성 특성을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 구역 중준...

      본 연구는 불량주택 재개발에 의하여 조성되는 아파트 단지의 경계부에 대하여 세대규모 및 시계열 별 구성 특성을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 구역 중준공된 100세대 이상 1,000세대 이하의 단지 156개 구역을 대상으로 경계부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파트단지의 경계부는 63.03%가 도로에 면하고, 주거지역에 23.16%, 공원ㆍ녹지에 7.15%, 비 주거지역에 6.64% 면하여, 결국 도로 외 나머지 36.94%는 인접필지와 바로 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아파트 단지의 규모가 작을수록 일반 저층 단독주택과 바로 면하는 비율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세대수가 증가하면서 도로에 의하여 구획되는 비율이 증가하며, 주변 주거용도와 필지로 면하는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기ㆍ규모에 따라서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그 유형은 용적률 정책과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시기적으로는 1997년도를 기준으로 이전의 소ㆍ대규모 아파트는 아파트 경계부에 기반시설이 면하는 비율이 낮고, 주거용도의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반면 1997년 이후의 소ㆍ대규모 아파트는 반대의 양상을 보였다. 이는 기반시설 부족에 대한 문제점 해결의 노력, 용적률 정책의 강화에 따른 효율적 건축물의 배치, 기반시설 확충 또는 일조피해 등의 민원을 해결하려는 노력 등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orderl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Renewal Projects in Seoul according to household size and construction period. 156 housing renewal projects (100~1,000 household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borderland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Renewal Projects in Seoul according to household size and construction period. 156 housing renewal projects (100~1,000 households) were analys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orderlands are faced to the roads (63.03%), the residential area (23.16%), green area (7.15%), and nonresidential area (6.64%). Second, small housing projects usually are faced to low-rise detached houses, while larger housing projects usually are faced to road. Third, 6 typ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household size and construction period: Old Small type (Ⅰ), Old Midium type (Ⅱ), Midium Large type (Ⅲ, Ⅲ’), Recent Midium type (Ⅱ’), and Recent Small type (Ⅰ’). In the case of old projects before 1997, the ratio of borderland faced to public facilities was low, while projects after 1997 were in the opposite directions, which shows the increasing concern about public facilities, building allocation design, and sunlight conditions in the recent Housing Renewal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기존 연구 동향 및 경계부 정의
      • 3. 분석의 틀
      • 국문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기존 연구 동향 및 경계부 정의
      • 3. 분석의 틀
      • 4. 아파트단지 경계부 특성 사례연구
      • 5. 결론 및 한계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신, "한권으로 보는 한국 최초 101장면, 1판" 가람기획 1999

      2 최현정, "주택재건축에 따른 주변지역의 전세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3 신현철, "재건축아파트 입지가 주변지역 아파트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4 서울특별시, "서울시통계연보 2008, 1판" 서울특별시 2008

      5 남진,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변화과정과 운용실태 분석" 30 : 103-, 2004

      6 이동훈,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구역에 인접지에 미치는 영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동구 주택재개발사업구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7 조민선, "서울시 주택재개발 사업에 의한 아파트단지 경계부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8 강세진, "서울시 주거지유형별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립대 2007

      9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주택재개발사업 부문/주거환경개선사업 부문, 1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10 조정대, "도시 맥락적 측면에서 본 아파트단지 경계부 분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 김은신, "한권으로 보는 한국 최초 101장면, 1판" 가람기획 1999

      2 최현정, "주택재건축에 따른 주변지역의 전세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4

      3 신현철, "재건축아파트 입지가 주변지역 아파트시장 가격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004

      4 서울특별시, "서울시통계연보 2008, 1판" 서울특별시 2008

      5 남진,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의 변화과정과 운용실태 분석" 30 : 103-, 2004

      6 이동훈, "서울시 주택재개발사업구역에 인접지에 미치는 영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성동구 주택재개발사업구역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8

      7 조민선, "서울시 주택재개발 사업에 의한 아파트단지 경계부 환경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8 강세진, "서울시 주거지유형별 주택재개발사업의 추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서울시립대 2007

      9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주택재개발사업 부문/주거환경개선사업 부문, 1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10 조정대, "도시 맥락적 측면에서 본 아파트단지 경계부 분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11 한상국, "대규모 집합주택 단지의 소규모 블록화 가능성 검토와블록형 집합주택 모델 제안" 한국도시설계학회 8 (8): 5-20, 2007

      12 유정숙, "대규모 아파트 단지의 연계를 고려한 계획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3 권영덕, "기성시가지내 정비사업의 공공시설 확보방안 연구, 1판"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3

      14 김성희, "공공규제 및 인센티브제도가 주택재개발사업의 경제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 2008

      15 김남훈, "가로에 대응한 주거단지의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대학원 2005

      16 "http://www.geopis.co.kr"

      17 "http://housing.seoul.go.kr"

      18 "http://earth.google.co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91 1.333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