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이용 행태 및 인식 연구:성남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age Behavior and Perception for the Activation of Small Libraries in Seongnam-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683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rive an operational plan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mall libraries by conduc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sers, operators, and experts of small libraries.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and small-library users of Seongnam-si,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nother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mall library operators and experts to study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operational strateg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all libraries must secure finances and expand their operational workforces. Second, small libraries must strengthen their functions as spaces for promoting literacy and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providing information. Third, local governments must form consultative bodies where stakeholders can exchange opinions concerning small library policies and plans.
      번역하기

      This study aimed to derive an operational plan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mall libraries by conduc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sers, operators, and experts of small libraries. To analyze the usag...

      This study aimed to derive an operational plan for establishing and revitalizing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small libraries by conducting survey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users, operators, and experts of small libraries. To analyze the usage behavio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idents and small-library users of Seongnam-si,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ublic small libraries in Gyeonggi-do. Another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mall library operators and experts to study their perception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operational strategi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mall libraries must secure finances and expand their operational workforces. Second, small libraries must strengthen their functions as spaces for promoting literacy and lifelong education, along with providing information. Third, local governments must form consultative bodies where stakeholders can exchange opinions concerning small library policies and pl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행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작은도서관 이용자 및 운영자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지자체 중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공립작은도서관의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의 거주 주민 및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설문조사와 표적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인식을 연구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은 재정 확보와 운영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은 정보 제공과 함께 독서문화 및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해관계자들이 작은도서관 정책, 계획 등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행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작은도서관 이용자 및 운영자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이용자의 이용 행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작은도서관 이용자 및 운영자의 인식을 연구함으로써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지자체 중 작은도서관이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공립작은도서관의 수가 가장 많은 성남시의 거주 주민 및 이용자와 운영자에게 설문조사와 표적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이용 행태를 분석하고 인식을 연구하여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도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은 재정 확보와 운영 인력 확충이 필요하다. 둘째, 작은도서관은 정보 제공과 함께 독서문화 및 평생교육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해관계자들이 작은도서관 정책, 계획 등 의견을 교류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보라,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을 위한 인식 연구. 작은도서관을 들여다보다: 2017 작은도서관 정책연구 보고서" 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469-492, 2018

      2 김보일 ; 김홍렬 ; 이보라,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7 (37): 157-175, 2020

      3 안인자 ; 윤소영 ; 차성종, "작은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375-393, 2011

      4 문화체육관광부, "작은도서관 정책 연구 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9

      5 김보일,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5-34, 2018

      6 조미아 ; 변현주 ; 김보일,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93-314, 2013

      7 최만호 ; 노영희 ; 장로사 ; 김윤정, "경기도 작은도서관 조례 분석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1 (51): 187-212, 2020

      8 Swan, D. W., "The state of small and rural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5 : 1-13, 2013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on the results of a small library policy stud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on operation status and evaluation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in 202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1

      1 이보라,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을 위한 인식 연구. 작은도서관을 들여다보다: 2017 작은도서관 정책연구 보고서" 어린이와 작은도서관협회 469-492, 2018

      2 김보일 ; 김홍렬 ; 이보라, "작은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37 (37): 157-175, 2020

      3 안인자 ; 윤소영 ; 차성종, "작은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2 (42): 375-393, 2011

      4 문화체육관광부, "작은도서관 정책 연구 결과 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19

      5 김보일,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52 (52): 5-34, 2018

      6 조미아 ; 변현주 ; 김보일,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 47 (47): 293-314, 2013

      7 최만호 ; 노영희 ; 장로사 ; 김윤정, "경기도 작은도서관 조례 분석 및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51 (51): 187-212, 2020

      8 Swan, D. W., "The state of small and rural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5 : 1-13, 2013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on the results of a small library policy study"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Report on operation status and evaluation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in 202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1

      11 Lee, B. R., "A study on recognition for developing a cooperation model for small and public libraries. 2017 Small Library Policy Research Report, Look into a Small Library" 469-492, 2018

      12 문화체육관광부, "2020년도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02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