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용자 참여디자인 방법을 통한 미술수업 방안 연구 - 학교 숲 조성 사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Art Class Plan through User Participation Design Method - focused on the case of school forest cre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136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공간 중 운동장 주변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학교 숲을 조성하는 방법으로서 초등학생이 참여하는 사용자 참여디자인으로 미술수업을 전개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

      본 연구는 학교 공간 중 운동장 주변 자투리 공간을 활용하여 학교 숲을 조성하는 방법으로서 초등학생이 참여하는 사용자 참여디자인으로 미술수업을 전개하는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아울러 초등학교의 학교 숲 조성의 필요성 및 지역의 특징에 대한 이해 수업을 시작으로 직접 디자인하는 과정까지의 미술수업을 진행하면서 초등학생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된 학교공간을 만드는 가능성을 여는데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사용자 참여디자인과 학교 숲 조성의 실제 사례들을 살펴보는 선행연구를 통해 초등학생대상 사용자 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한다. 둘째, 학교 숲 조성 사용자 참여디자인을 적용한 미술수업 과정 모델을 제시한다. 셋째, 학교 숲에 대한 이해도를 설문조사와 집단 심층 면담을 통해 초등학생 참여디자인 도입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미술수업을 적용한 참여디자인을 통해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공간 의미를 이해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한다. 전문가 중심의 설계와 사용자 중심의 설계가 도달하는 목표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결과물보다는 참여디자인 과정에 의미를 두고 있으며 지역 사회를 구성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 초등학생의 참여 가능성을 기대하며 진행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운동장에 조성되는 학교 숲의 실제 사용자인 초등학생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였다. 둘째, 참여디자인 과정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여 초등학생이 함께 작업을 진행하여 미술수업의 과정 모델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였다. 셋째, 초등학생 스스로 배움과 삶이 어우러진 계획적인 삶의 공간을 만드는 과정에서 지역사회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역할을 이해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참여 대상이 소수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참여디자인은 학년 단계별 학생 군, 확대된 참여자, 학교별 지역 특성, 예산, 사업 목적 등에 따라 진행과정과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다양한 사례를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class with a user participation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way to create a school forest by using the space around the playground. In addition, it is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crea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rt class with a user participation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way to create a school forest by using the space around the playground. In addition, it is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school space that fully reflects the opin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conducting art classes from the lessons on designing the necessity of creating a school forest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process of designing it directly. As a research method, first, we derive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preceding research that examines actual cases of user participation design and school forest creation. Second, the art class process model applying the design of participation of the user to school forest creation is suggested. Thir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ion design is verified through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school forest. Lastly, through participation design applying art class, we understand the meaning of space occupied in the community and suggest how to use it.
      This study, which is focused on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rather than the result, and expects the possi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on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assuming that the goal of professional and user-oriented design is different. It is as follows. First,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as developed to effectively reflect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actual users of the school forest on the school grounds. Seco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worked together by applying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o the actual target sites to construct a space through the process model of the art class. Third,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pared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ole of space in the community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planned life space where learning and life are combined. This study may be limited to generalizing to a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he user participation design needs to study various cases because the progress and results vary depending on the student group at each grade level, expanded participants,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budget, and business purp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남궁상운, "학교 혁신의 길, 아이들에게 묻다" 2018

      2 충청북도교육청, "학교 숲 조성 도움자료"

      3 정태영, "컴퓨터를 활용한 주민참여설계 : 서울대학교 상록사 학생참여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4 충청북도교육청, "초록학교추진협의회 초록학교 만들기"

      5 조세환, "초등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실태분석-서울시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 32 (32): 127-138, 2004

      6 한지원, "참여디자인을 적용한 학교 환경색채연구 -초등학교, 중학교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1 (21): 139-149, 2018

      7 윤정윤, "참여디자인 방식을 통한 공익캠페인 디자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허윤선,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8 (38): 1-11, 2010

      9 이경훈, "참여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다목적 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17 (17): 3-12, 2010

      10 박진규, "지역사회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그린스쿨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1 남궁상운, "학교 혁신의 길, 아이들에게 묻다" 2018

      2 충청북도교육청, "학교 숲 조성 도움자료"

      3 정태영, "컴퓨터를 활용한 주민참여설계 : 서울대학교 상록사 학생참여설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4 충청북도교육청, "초록학교추진협의회 초록학교 만들기"

      5 조세환, "초등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실태분석-서울시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 32 (32): 127-138, 2004

      6 한지원, "참여디자인을 적용한 학교 환경색채연구 -초등학교, 중학교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1 (21): 139-149, 2018

      7 윤정윤, "참여디자인 방식을 통한 공익캠페인 디자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8 허윤선,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한국조경학회 38 (38): 1-11, 2010

      9 이경훈, "참여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다목적 공간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시설학회 17 (17): 3-12, 2010

      10 박진규, "지역사회와 연계성 강화를 위한 그린스쿨 조성 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11 안현찬, "주민-전문가간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참여디자인 과정과 도구 : 서울시 마포구 성서한평공원 만들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2 김아연, "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설계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3 교육부, "미래학교를 위한 학교 공간 재구조화 매뉴얼"

      14 아시아투데이, "교육부, 학교공간혁신 합동추진회 개최"

      15 "https://schoolforest.or.kr"

      16 Sanoff, Henry,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in Design and Planning" John Wiley&Sons, Inc.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