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 도덕과 평가를 위한 수행과제 개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Performance Tasks for Evaluation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Focu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811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해 초등 도덕과 평가를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지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이해의 증거로서 평가 중요성과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정리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역별 수행과제의 실제를 구상하였다. 이때 수행과제는 이해의 측면으로 설명, 해석, 적용, 관점 채택, 공감, 자기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며, 일상생활과 유사한 상황을 담아 GRASPS의 요소를 사용하여 설계해야 한다. 이처럼 평가로서 수행과제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도덕적 실천을 향상하고 도덕적 성장과 발달을 가져오며, 도덕적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를 통합하는 데 기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해 초등 도덕과 평가를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지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이해의 ...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더욱 강조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해 초등 도덕과 평가를 어떻게 구상할 수 있는지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이해의 증거로서 평가 중요성과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정리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역별 수행과제의 실제를 구상하였다. 이때 수행과제는 이해의 측면으로 설명, 해석, 적용, 관점 채택, 공감, 자기 지식이 포함되어야 하며, 일상생활과 유사한 상황을 담아 GRASPS의 요소를 사용하여 설계해야 한다. 이처럼 평가로서 수행과제는 학생들의 지속적인 도덕적 실천을 향상하고 도덕적 성장과 발달을 가져오며, 도덕적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를 통합하는 데 기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현우, "초등 도덕교육에서의 도덕이야기 수업모형 개선 방향 탐구" 한국윤리학회 1 (1): 263-281, 2011

      2 유병열, "초등 도덕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9) : 133-168, 2009

      3 김경자, "이해중심교육과정 : 백워드 설계" 교육아카데미 2014

      4 김현수,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0) : 349-378, 2018

      5 강현석,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혁명" 학지사 2021

      6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63-885, 2018

      7 백지연 ; 강현석, "백워드 설계 2.0 버전에 의한 중학교 도덕과단원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25-64, 2017

      8 Wiggins, G.,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Ⅰ)" 교육과학사 2013

      9 Tomlinson, C. A., "맞춤형수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학지사 2012

      10 김대군, "도덕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가치" 한국윤리교육학회 (16) : 209-228, 2008

      1 신현우, "초등 도덕교육에서의 도덕이야기 수업모형 개선 방향 탐구" 한국윤리학회 1 (1): 263-281, 2011

      2 유병열, "초등 도덕교육에서의 내러티브 접근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9) : 133-168, 2009

      3 김경자, "이해중심교육과정 : 백워드 설계" 교육아카데미 2014

      4 김현수, "이해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한 도덕과 교육과정의 재구성 방법"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0) : 349-378, 2018

      5 강현석, "백워드 설계의 이론과 실천: 교실혁명" 학지사 2021

      6 박일수, "백워드 설계 모형을 활용한 이해중심 도덕과 단원 설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63-885, 2018

      7 백지연 ; 강현석, "백워드 설계 2.0 버전에 의한 중학교 도덕과단원 개발 및 적용"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65 (65): 25-64, 2017

      8 Wiggins, G., "백워드 단원 설계와 개발: 기본 모듈(Ⅰ)" 교육과학사 2013

      9 Tomlinson, C. A., "맞춤형수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통합" 학지사 2012

      10 김대군, "도덕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가치" 한국윤리교육학회 (16) : 209-228, 2008

      11 김봉제, "도덕과 평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탐색 -초등교사의 MJI 평가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0) : 33-58, 2018

      12 서강식, "도덕과 평가" 양서원 2002

      13 김은미, "도덕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원리의 이론적 토대로서의 내러티브 접근" 한국교육과정학회 39 (39): 91-115, 2021

      14 교육부, "도덕 6 교사용 지도서" (주)지학사 2020

      15 교육부, "도덕 6" ㈜지학사 2021

      16 이재호, "내러티브 접근에서의 도덕성 발달과 도덕교육: 태펀(M. B. Tappan)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8) : 175-198, 2017

      17 김항인,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도덕교육"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 : 75-98, 2001

      18 김대군, "내러티브 도덕교육에 대한 해석학적 탐구" 한국윤리교육학회 (21) : 27-48, 2010

      19 소경희, "교육과정의 이해" 교육과학사 2017

      20 강민진, "교육과정을 뒤집다 : 백워드로 통합단원 설계하기" 박영스토리 2018

      21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50800041"

      22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Expanded" ASCD 2005

      23 이경원 ; 김아영 ; 김완수 ; 김철호,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 탐색"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5) : 47-78, 2022

      24 이경원 ; 김철호 ; 김아영 ; 김완수,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7) : 1-40, 2022

      25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시안 초등학교 도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