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논의되는 역량중심교육의 의미와 방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논의하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하는 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논의되는 역량중심교육의 의미와 방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논의하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하는 데...
본 논문은 국제적인 수준에서 논의되는 역량중심교육의 의미와 방향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교육과정 개정과 관련하여 논의하며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설정하는 데 원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역량중심교육 관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논의 과정을 검토하고,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연구에 그것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를 살펴본다. 역량의 의미가 학습자의 행복한 삶을 중심으로 개편되고 있는 만큼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도 학습자의 행위 주체성을 강화하고 변혁적 역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구축이 논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과의 교과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 도덕적 역량의 과정 및 기능 측면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하는 방안, 학습자 주체 중심의 교수 학습 방법 및 평가를 구축하는 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제안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Wiggins, G., "핵심 질문: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2 김형주 ; 변순용 ; 김민수,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9) : 165-196, 2018
3 박병기,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2021
4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5학년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8
5 이인재, "초등 도덕과의 ‘기능’ 탐구와 함양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1) : 1-32, 2018
6 손경원,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역량 실행 방안 탐구: 또래관계와 우정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83-306, 2018
7 남궁환 ; 이인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덕의 본질과 역량의 특성을 반영한 도덕적 기능 재정립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7) : 135-168, 2022
8 이정렬 ; 류수 ; 전영준, "새로운 도덕과 공통교육과정 내용 체계 원리에 대한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0) : 117-154, 2020
9 김남준,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9) : 115-153, 2020
10 Thayer-Bacon, B., "비판적 사고의 전환" 글로벌컨텐츠 2022
1 Wiggins, G., "핵심 질문: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사회평론아카데미 2016
2 김형주 ; 변순용 ; 김민수, "한국 초등 도덕과 교육과 관련된 독일 도덕 교과서 분석 연구 - 가치영역별 도덕 역량 지향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59) : 165-196, 2018
3 박병기,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2021
4 교육부, "초등학교 5-6학년군 도덕 5학년 교사용 지도서" 지학사 2018
5 이인재, "초등 도덕과의 ‘기능’ 탐구와 함양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1) : 1-32, 2018
6 손경원,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핵심 역량 실행 방안 탐구: 또래관계와 우정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83-306, 2018
7 남궁환 ; 이인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덕의 본질과 역량의 특성을 반영한 도덕적 기능 재정립 방안"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7) : 135-168, 2022
8 이정렬 ; 류수 ; 전영준, "새로운 도덕과 공통교육과정 내용 체계 원리에 대한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0) : 117-154, 2020
9 김남준,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69) : 115-153, 2020
10 Thayer-Bacon, B., "비판적 사고의 전환" 글로벌컨텐츠 2022
11 이상은, "비교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특징과 과제: 초ㆍ중등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회 55 (55): 67-95, 2017
12 정창우, "변혁적 도덕 역량 증진을 위한 도덕교육론" 교육과학사 2022
13 이상은 ; 소경희,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9-164, 2019
14 김태훈, "도덕적 역량 중심의 초등 도덕과 교육 접근방안 탐색"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62) : 41-64, 2018
15 유병열, "도덕교육의 핵심역량으로서의 수행적ㆍ도덕적 인격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원 25 (25): 165-188, 2014
16 조주현, "도덕과교육에서의 민주시민성의 위상과 과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40 (40): 163-193, 2013
17 김홍수 ; 나종만, "도덕과 정치 관련 교육의 쟁점과 개선 방향: 민주시민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6) : 181-208, 2022
18 정창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1-28, 2020
19 김아영, "구체적 타자 중심 배려 윤리의 도덕 교육적 의의" 한국교원대학교 2020
20 김아영, "구체적 타자 이해 교육으로서 온작품 활용 도덕과 교육의 의의"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3) : 359-397, 2021
21 교육부, "교육과정 총론 해설 : 초등학교"
22 설연경, "‘변혁적 역량기반(Transformative Competencies)’ 미래지향적 교육설계방안"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38, 2020
23 Gervais, J.,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1 (1): 98-106, 2016
24 OECD,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 Education 2030" OECD 2018
25 OECD,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 Executive Summary"
26 UNESCO,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the Futures of Education" UNESCO Publishing 2021
27 Pristley, M., "Reinventing the curriculum : New trends in curriculum policy and practice" Bloomsbury Academic 2013
28 윤종혁, "OECD ‘교육 2030 : 미래 교육의 역량’을 위한 현황분석과 향후과제" 한국교육개발원 2016
29 OECD, "OECD Learning Compass 2030 : A Series of Concept Notes" OECD 2019
30 박보람, "OECD Education 2030의 역량에 기초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 체계 논의" 한국윤리교육학회 (59) : 65-93, 2021
31 이상은, "OECD Education 2030에 나타난 역량교육의 주요 특징 및 시사점: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비교교육학회 29 (29): 123-153, 2019
32 UNESCO, "Learning : the Treasure Within" UNESCO Publishing 1996
33 이미경, "21세기 역량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방향 연구 : OECD Education 203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34 교육부, "2022년 교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연구진 2차 합동 워크숍"
35 이경원 ; 김아영 ; 김완수 ; 김철호,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핵심 아이디어 탐색"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75) : 47-78, 2022
36 이경원 ; 김철호 ; 김아영 ; 김완수,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구"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7) : 1-40, 2022
37 교육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 발표"
38 이경원 ; 김철호 ; 김아영 ; 김완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초등 도덕과 [과정・기능]에 대한 일고찰"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78) : 1-43, 2022
39 온정덕, "2022 개정 교과 교육과정 개발 기준 마련 연구" 교육부 2021
40 임유나 ; 홍후조,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내용 제시 방식 검토: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7 (17): 277-302, 2016
41 이광우 ; 백경선 ; 이수정,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관련 이슈 고찰: 인간상, 교육 목표, 교과 역량과의 관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67-94, 2017
2022 개정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 자신과의 관계 영역 내용구성 탐색
2022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쟁점 탐색: 초등 도덕과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