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고를 활용한 초등 사회과수업 적용 사례 연구 = A Case Study For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11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 It has been carried out on October, 2007. Its subjects are 4th grade 33 students in Guweolseo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dvertisement is related to many study fields, such as psychology, sociology, aesthetics, communication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tc, and contains many human lives. So it is valuable to use this i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a case study to let students find the various family types and understand the various family appearances. This study could give some students psychological wounds due to various modem family appearances, it was carried out with carefully selected advertisements not to harm them.
      It might let the students find the various types of family, recognize the diversity of it in advertisements, realize the value of it and do their best as family members at home.
      It might let the students improve their learning motive and interest and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ely. Also, it might let the students improve their thinking power, creativity and critical power and have the wise right of choice.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 It has been carried out on October, 2007. Its subjects are 4th grade 33 students in Guweolseo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dvertisement is related to many study fields,...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using advertisement. It has been carried out on October, 2007. Its subjects are 4th grade 33 students in Guweolseo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dvertisement is related to many study fields, such as psychology, sociology, aesthetics, communications and business administration etc, and contains many human lives. So it is valuable to use this i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a case study to let students find the various family types and understand the various family appearances. This study could give some students psychological wounds due to various modem family appearances, it was carried out with carefully selected advertisements not to harm them.
      It might let the students find the various types of family, recognize the diversity of it in advertisements, realize the value of it and do their best as family members at home.
      It might let the students improve their learning motive and interest and participate in learning actively. Also, it might let the students improve their thinking power, creativity and critical power and have the wise right of choi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2007년도 10월 인천구월서초등학교 4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광고를 활용하여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사례이다.
      광고 속에는 심리학, 사회학, 미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등 많은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고, 인간 삶의 많은 모습이 녹아져 있어 이것은 초등 사회과에서의 활용에 많은 가치가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를 활용하여 가정의 여러 형태를 찾아보고, 다양한 가정생활 모습을 이해하는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 속에 있으면서도 현대 가족 구성원의 다양성으로 인해 일부 학생들에게는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하고 많이 볼 수 있는 광고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광고 속에 나타난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찾아내고 이를 통해 사회 변화에 따른 가정의 다양성을 발견하며 나아가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게 함으로써 우리 아이들이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서 그 소중함과 역할에 최선을 다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그리고 다양한 광고 자료를 사회과 교수학습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인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을 주며, 광고에 대한 비판 의식을 길러 미래의 소비자로서 현명한 선택 결정권을 행사하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2007년도 10월 인천구월서초등학교 4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광고를 활용하여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사례이다. 광고 속에는 심리학, 사회학, 미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등 많...

      본 연구는 2007년도 10월 인천구월서초등학교 4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광고를 활용하여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사례이다.
      광고 속에는 심리학, 사회학, 미학, 커뮤니케이션학, 경영학 등 많은 학문 분야와 연관되어 있고, 인간 삶의 많은 모습이 녹아져 있어 이것은 초등 사회과에서의 활용에 많은 가치가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를 활용하여 가정의 여러 형태를 찾아보고, 다양한 가정생활 모습을 이해하는 수업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들과 가장 밀접한 관계 속에 있으면서도 현대 가족 구성원의 다양성으로 인해 일부 학생들에게는 상처를 줄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학생들이 가장 쉽게 접하고 많이 볼 수 있는 광고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광고 속에 나타난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찾아내고 이를 통해 사회 변화에 따른 가정의 다양성을 발견하며 나아가 가정의 소중함을 깨닫게 함으로써 우리 아이들이 가족 구성원의 하나로서 그 소중함과 역할에 최선을 다했으면 하는 바램을 가져본다.
      그리고 다양한 광고 자료를 사회과 교수학습에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자발적인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력과 창의력 신장에 도움을 주며, 광고에 대한 비판 의식을 길러 미래의 소비자로서 현명한 선택 결정권을 행사하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순,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2 김영순, "초중고 대안교과서 <미디어와 우리>, <미디어와 인간>, <미디어와 사회>" 한국언론재단 2005

      3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4-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4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교육: 미디어 읽기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5

      5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사귐" 연극과 인간 2004

      6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7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8 데이비드 버킹엄, "미디어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스 2003

      1 김영순, "학교로 간 미디어" 다할미디어 2005

      2 김영순, "초중고 대안교과서 <미디어와 우리>, <미디어와 인간>, <미디어와 사회>" 한국언론재단 2005

      3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4-2)"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6

      4 김영순, "미디어와 문화교육: 미디어 읽기를 위하여" 한국문화사 2005

      5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사귐" 연극과 인간 2004

      6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교수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7 김영순, "미디어교육과 교과과정"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8 데이비드 버킹엄, "미디어교육: 학습, 리터러시, 그리고 현대문화" 제이앤북스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