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노인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8개 문항, 식행동 · 식습관 영역에서 23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으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노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19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개 요인을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추정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0.3, 0.2, 0.2, 0.3으로 수렴하였다. ‘식행동’ 영역에는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건강에 대한 자각, 건강한 식생활 노력, 식사 전 손 씻기, 운동시간의 6개 항목, ‘균형’ 영역에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 과일 섭취빈도, 간식 섭취빈도, 물 섭취빈도의 4개 항목, ‘다양’ 영역에는 달걀 섭취빈도,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빈도, 채소류 섭취빈도, 콩이나 콩제품 섭취빈도, 하루 식사빈도, 혼자 식사하는 빈도의 6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빈도, 가당음료 섭취빈도, 라면류의 섭취빈도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표준화된 경로계수가 항목의 가중치로 적용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평균 점수는 57.6점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식행동 55.0점, 균형 41.4점, 다양 50.0점, 절제 76.5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 NQ-E는 노인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 판정할 수 있으며,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4가지 영역으로 점수 산출이 가능하므로 노인의 체계적인 영양관리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

      본 연구는 생애주기별 영양지수 중 노인 대상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개발을 목표로 수행되었다. 노인의 식행동과 영양섭취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국가 영양정책 및 권고사항, 전문가 대상 심층면접을 통해 식품섭취영역에서 18개 문항, 식행동 · 식습관 영역에서 23개 문항의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된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노인 265명을 대상으로 1일의 식사섭취조사와 체크리스트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과 식사섭취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관계가 높은 24개 항목으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주민등록인구통계자료를 활용하여 기본 층화변수로 6개 권역을 설정하여 권역별로 성별, 연령군별 노인 인구수를 기준으로 비례 배분하여 총 1,000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노인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19개 항목의 4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검증하였다. 4개 요인을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해 추정된 경로계수를 바탕으로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여 영역별 가중치를 적용하였는데, 영역별 가중치는 각각 0.3, 0.2, 0.2, 0.3으로 수렴하였다. ‘식행동’ 영역에는 음식을 씹는데 불편한 정도, 우울정도, 건강에 대한 자각, 건강한 식생활 노력, 식사 전 손 씻기, 운동시간의 6개 항목, ‘균형’ 영역에는 우유 및 유제품 섭취빈도, 과일 섭취빈도, 간식 섭취빈도, 물 섭취빈도의 4개 항목, ‘다양’ 영역에는 달걀 섭취빈도, 생선이나 조개류 섭취빈도, 채소류 섭취빈도, 콩이나 콩제품 섭취빈도, 하루 식사빈도, 혼자 식사하는 빈도의 6개 항목, ‘절제’ 영역에는 단음식 또는 달거나 기름진 빵 섭취빈도, 가당음료 섭취빈도, 라면류의 섭취빈도의 3개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표준화된 경로계수가 항목의 가중치로 적용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NQ-E 평균 점수는 57.6점이었고, 영역별 점수는 식행동 55.0점, 균형 41.4점, 다양 50.0점, 절제 76.5점이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노인 영양지수, NQ-E는 노인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이 양호한지 판정할 수 있으며, 식행동, 균형, 다양, 절제의 4가지 영역으로 점수 산출이 가능하므로 노인의 체계적인 영양관리에 다양하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s of Korean elderl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41 items of the NQ-E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 level,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000 nationwide elderly subject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E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The nineteen checklist items were used as final items for NQ-E.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our-factors: food behavior (6 items), balance (4 items), diversity (6 items), and moderation (3 item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the weights of the items. The NQ-E and four-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Q-E would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food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the elderly.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s of Korean elderl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alid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dietary quality and behaviors of Korean elderly. Methods: The development of the Nutrition Quotient for Elderly (NQ-E) was conducted in three step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The 41 items of the NQ-E checklist were derived from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questionnaires and nutrient intake level, and 24 items were selected for a nationwide survey. A total of 1,000 nationwide elderly subjects completed the checklist questionnair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NQ-E was assess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SREL. Results: The nineteen checklist items were used as final items for NQ-E. Checklist items were composed of four-factors: food behavior (6 items), balance (4 items), diversity (6 items), and moderation (3 items). Th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the weights of the items. The NQ-E and four-factor scores were calculated according to the obtained weights of the questionnaire items. Conclusion: NQ-E would be a useful tool for assessing the food behavior and dietary quality of the elder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ABSTRACT
      • 서론
      • 연구방법
      • 결과
      • 고찰
      • 요약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은, "한국 노인의 식생활 지침 실천도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 48 (48): 221-227, 2015

      2 오경원, "한국 남성에서 식사의 질과 관상동맥질환 발생위험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한국영양학회 36 (36): 613-621, 2003

      3 이정숙,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49 (49): 378-394, 2016

      4 김혜영A,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50 (50): 142-157, 2017

      5 김화영, "일부지역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영양소 섭취, 영양위험도 및 생화학 지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16-223, 2005

      6 김옥선, "일부 한국 노인의 식습관과 식사 섭취 패턴에 따른 혈중 지질 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21-429, 2009

      7 문현경,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점검표(DETERMINE)를 통한 계절별 영양상태 판정의 신뢰도 분석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340-353, 2009

      8 김혜영A,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5 (45): 390-399, 2012

      9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 45 (45): 372-389, 2012

      10 김혜련, "식이섭취상태가 사망과 질병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5-30, 2013

      1 김지은, "한국 노인의 식생활 지침 실천도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관련성" 한국영양학회 48 (48): 221-227, 2015

      2 오경원, "한국 남성에서 식사의 질과 관상동맥질환 발생위험에 대한 환자-대조군 연구" 한국영양학회 36 (36): 613-621, 2003

      3 이정숙, "취학전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 : 평가항목 선정과 구성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49 (49): 378-394, 2016

      4 김혜영A, "청소년을 위한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한국영양학회 50 (50): 142-157, 2017

      5 김화영, "일부지역 저소득층 독거노인의 영양소 섭취, 영양위험도 및 생화학 지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0 (10): 216-223, 2005

      6 김옥선, "일부 한국 노인의 식습관과 식사 섭취 패턴에 따른 혈중 지질 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421-429, 2009

      7 문현경, "우리나라 농촌지역 노인들의 영양점검표(DETERMINE)를 통한 계절별 영양상태 판정의 신뢰도 분석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14 (14): 340-353, 2009

      8 김혜영A,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모형 개발과 구성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5 (45): 390-399, 2012

      9 강명희, "어린이 영양지수 (NQ, Nutrition Quotient) 개발을 위한 평가항목 선정" 한국영양학회 45 (45): 372-389, 2012

      10 김혜련, "식이섭취상태가 사망과 질병발생 위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5-30, 2013

      11 박유경, "서울지역 거주 노인들의 만성질환에 따른 식품 및 영양소 섭취 실태 조사" 한국영양학회 45 (45): 531-540, 2012

      12 손숙미, "독거 여자 노인의 식품공급프로그램 실시 후 음식섭취빈도, 식태도 및 영양위험정도 변화" 대한영양사협회 11 (11): 286-298, 2005

      13 김미현, "노인의 대사증후군 유병에 따른 영양소 섭취 특성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자료를 이용하여 -" 한국식품영양학회 26 (26): 515-525, 2013

      14 양경미, "경산시 노인의 영양섭취상태 및 건강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4 (34): 1018-1027, 2005

      15 김소현, "간이영양상태조사지(Mini Nutritional Assessment)로 조사한 일개 복지관 여성노인의 영양상태 평가와 관련요인 분석" 기초간호학회 14 (14): 16-24, 2012

      16 한경희, "간이 영양상태 평가법에 의한 급식서비스 이용 노인의 영양 위험도와 관련 요인" 한국영양학회 37 (37): 675-687, 2004

      17 Park HK, "Verification of the appropriateness when a shortened version of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is applied for determining the malnutrition state of elderly patients" 2 (2): 13-18, 2009

      18 Guenther PM, "Update of the healthy eating index: HEI-2010" 113 (113): 569-580, 2013

      19 Kennedy ET, "The healthy eating index: design and applications" 95 (95): 1103-1108, 1995

      20 Haines PS, "The diet quality index revised: a measurement instrument for populations" 99 (99): 697-704, 1999

      21 Vellas B, "Overview of the MNA(R)-its history and challenges" 10 (10): 456-463, 2006

      22 Amarantos E, "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56 (56): 54-64, 2001

      23 Posner BM,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83 (83): 972-978, 1993

      24 이혜옥, "MNA (Mini Nutritional Assessment)를 이용한 건강증진센터 내원 노인의 영양상태 판정" 대한영양사협회 16 (16): 122-132, 2010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6 Ko KP, "Intake of soy products and other foods and gastric cancer risk: a prospective study" 23 (23): 337-343, 2013

      27 Reedy J, "Higher diet quality is associated with decreased risk of all-cause,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144 : 881-889, 2014

      28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Healthy Eating Index (HEI) [Interne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29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NCDs 2013-2020"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3

      30 Lee JW, "Evaluation of the validity of a simple screening test developed for identifying Korean elderly at risk of undernutrition" 33 (33): 864-872, 2000

      31 National Cancer Institute (US), "Epidemiology and genomics research program [Internet]" National Cancer Institute

      32 Park B, "Ecological study for refrigerator use, salt, vegetable, and fruit intakes, and gastric cancer" 22 (22): 1497-1502, 2011

      33 Bailey RL, "Dietary screening tool identifies nutritional risk in older adults" 90 : 177-183, 2009

      34 오초롱, "Dietary pattern classifications with nutrient intake and body composition changes in Korean elderly" 한국영양학회 8 (8): 192-197, 2014

      3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elderly"

      36 Patterson RE, "Diet quality index: capturing a multidimensional behavior" 94 (94): 57-64, 1994

      37 McCullough ML, "Diet quality and major chronic disease risk in men and women: moving toward improved dietary guidance" 76 : 1261-1271, 2002

      38 Shatenstein B, "Diet quality and cognition among older adults from the NuAge study" 47 : 353-360, 2012

      39 Guenther P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healthy eating index-2005: technical report"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Center for Nutrition Policy and Promotion 2007

      40 Pala V, "Associations between dietary pattern and lifestyle, anthropometry and other health indicators in the elderly participants of the EPIC-Italy cohort" 16 (16): 186-201, 2006

      41 McNaughton SA, "An index of diet and eating patterns is a valid measure of diet quality in an Australian population" 138 (138): 86-93, 2008

      42 van Lee L, "Adherence to the Dutch dietary guidelines is inversely associated with 20-year mortality in a large prospective cohort study" 70 (70): 262-268, 2016

      4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older Korean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44 Heidemann C, "A dietary pattern protective against type 2 diabetes in the European prospective investigation into cancer and nutrition (EPIC)-Potsdam study cohort" 48 (48): 1126-113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3-07-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영양학회지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1 1.778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