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최근 5년간 소규모 건설 현장의 산업재해특성 분석(2010년부터 2014년까지) = Analysis of Accident Characteristic of Small Construction Workplace in Korea from 2010 to 2014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의 70~80%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재해지표를 분석하여야 하나,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의 70~80%는 소규모 건설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다.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재해지표를 분석하여야 하나,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지표를 세부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규모 건설 현장의 산업재해 예방대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건설업의 산업재해 현황분석 자료를 분석하였다. 2010년에서 2014년까지 5년 동안의 산업재해현황 자료를 근거로 사업장 규모에 따른 재해율, 사망만인율, 재해발생형태별 사망자 수, 뇌심혈관 사망자 수, 소규모 건설현장의 여성근로자 재해 등을 상세하게 분석한 결과, 건설 현장의 전체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300인 미만 사업장의 재해율과 사망만인율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나, 300인 인상의 대규모 사업장의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변화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장 규모가 감소될수록 재해율은 증가하며, 연도별 재해율의 변화폭도 큰 것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소규모 사업장의 재해 감소가 건설업 재해 감소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된다. 재해 형태별 분석결과도, 모든 재해 형태에서 사업장 규모가 감소될수록 재해자 수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뇌심혈관 사망자와 여성근로자의 재해도 300인 미만 사업장에서 대부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ccidents in the small construction workplace(SCW) account for 70~80 percent of all construction workpl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SCW, accident statics should be analyzed firs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

      The accidents in the small construction workplace(SCW) account for 70~80 percent of all construction workplac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cident characteristics of SCW, accident statics should be analyzed first.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accident statics of SCW in detail. This paper analyzed the accident characteristic of SCW using the “Analysis on the Industrial Accident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which is helpful for drawing accident prevention methods. Base on the accident data from 2010 to 2014, various statics such as accident rate, rate of fatal injuries,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 according to accident type, the brain cardiovascular deaths, and accidents of female workers by considering the size of workplace. Results show that the accident rate and rate of fatal injuries in workplace with less than 300 employees showed similar trend to those in total construction workplace. However, the accident statistics such as accident rate and rate of fatal injuries in the workplace with 300 employees or more represented little variation along with annual data. In addition, as the size of workplace decreased, the accident rate increased and the variations were more pronounced. Therefore, the decrement of accidents in the SCW will be effective to reduce the accident rate in the total construction workplace. Considering the accident type, the number of accident victim in all accident types was increased with the decrement of the size of workplace. The brain cardiovascular deaths and accident of female worker were found to occur mostly in the workplace with less then 300 employe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