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s Increase in Rabbit Embryonal Implant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639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Epidermal growth facter(EGF)는 내열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6045 dalton인 단쇄상의 polypeptide로써, Cohen에 의해 생쥐의 악하선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여러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인체의 EGF는 urogastrone이라고도 불리우며, 인체의 소변에서 처음 검출되었고 분자구조 및 생리작용이 생쥐의 EGF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EGF의 자세한 작용기전은 확실히 규명되어있지는 않지만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EGF receptor는 분자량이 170,000${\sim}$180,000dalton인 세포표면의 polypeptide로써 인체, 쥐, 닭, 소 등의 세포막조직에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최근 수년동안 몇몇 학자들에 의해 EGF가 배아와 태아 및 태반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chorionic gonadotrophin과 placental lactogen의 분비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배아착상에 대한 EGF의 작용여부에 관해서는 발표된 문헌이 없어 저자는 radioreceptor assay를 이용하여 EGF receptor binding과 토끼의 배아착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임신경과에 따른 착상부위와 비착상부위의 자궁 및 태아측 태반과 모체측 태반을 분리취득하고 receptor binding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임신군과 비임신군의 자궁조직의 membrane fraction으로부터 specific한 EGF receptor binding이 관찰되었다. 2. 착상전 임신 3일에 자궁조직의 EGF receptor수는 4.72 +0.16($10\;mol/{\mu}g$)로 비임신시보다 의의있게 증가되어 있었고(p<0.01), 착상시기인 임신 7일에는 착상된 부위에서 20.33+6.58로 훨씬 더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p<0.05). 3. 착상이후 가장 먼저 취득된 임신 14일의 태아측 태반은 모체측 태반의 1.39+0.49에 비해 훨씬 높은 11.94+1.97의 EGF receptor 측정치를 보였다 (p<0.01). 4. 이상의 소견들로 보아 EGF가 토끼의 배아착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착상전후의 EGF의 작용은 태아측으로부터 일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Epidermal growth facter(EGF)는 내열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6045 dalton인 단쇄상의 polypeptide로써, Cohen에 의해 생쥐의 악하선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여러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인체의 EG...

      Epidermal growth facter(EGF)는 내열성이 강하고 분자량이 6045 dalton인 단쇄상의 polypeptide로써, Cohen에 의해 생쥐의 악하선에서 처음 발견된 이래, 여러학자들에 의해 많은 연구가 되어왔다. 인체의 EGF는 urogastrone이라고도 불리우며, 인체의 소변에서 처음 검출되었고 분자구조 및 생리작용이 생쥐의 EGF와 매우 유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EGF의 자세한 작용기전은 확실히 규명되어있지는 않지만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시키며 위산의 분비를 억제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EGF receptor는 분자량이 170,000${\sim}$180,000dalton인 세포표면의 polypeptide로써 인체, 쥐, 닭, 소 등의 세포막조직에 특이하게 결합되어 있다. 최근 수년동안 몇몇 학자들에 의해 EGF가 배아와 태아 및 태반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chorionic gonadotrophin과 placental lactogen의 분비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가정되어 왔다. 그러나 아직까지 배아착상에 대한 EGF의 작용여부에 관해서는 발표된 문헌이 없어 저자는 radioreceptor assay를 이용하여 EGF receptor binding과 토끼의 배아착상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임신경과에 따른 착상부위와 비착상부위의 자궁 및 태아측 태반과 모체측 태반을 분리취득하고 receptor binding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임신군과 비임신군의 자궁조직의 membrane fraction으로부터 specific한 EGF receptor binding이 관찰되었다. 2. 착상전 임신 3일에 자궁조직의 EGF receptor수는 4.72 +0.16($10\;mol/{\mu}g$)로 비임신시보다 의의있게 증가되어 있었고(p<0.01), 착상시기인 임신 7일에는 착상된 부위에서 20.33+6.58로 훨씬 더 높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p<0.05). 3. 착상이후 가장 먼저 취득된 임신 14일의 태아측 태반은 모체측 태반의 1.39+0.49에 비해 훨씬 높은 11.94+1.97의 EGF receptor 측정치를 보였다 (p<0.01). 4. 이상의 소견들로 보아 EGF가 토끼의 배아착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착상전후의 EGF의 작용은 태아측으로부터 일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