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한 가계조사의 무응답 특성 연구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se Data of the Household Survey through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inimize bias and non-sampling error for non-response data by applying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When we make a sampling survey, a considerable amount of non-response unit would occur inevitably.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se data migh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llected data, we need to provide the preventive methodology to reduce a volume of non-response unit or the post imputation to decrease bias respectively. We propose a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to aware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se data and provide guides for pre or post methodology for sampling survey expecting non-responses. An empirical illustration is conducted for household survey in Korea.
      번역하기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inimize bias and non-sampling error for non-response data by applying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When we make a sampling survey, a considerable amount of non-response unit would occur inevitably. Since the character...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to minimize bias and non-sampling error for non-response data by applying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When we make a sampling survey, a considerable amount of non-response unit would occur inevitably.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se data might b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collected data, we need to provide the preventive methodology to reduce a volume of non-response unit or the post imputation to decrease bias respectively. We propose a classification tree analysis to aware the characteristics of non-response data and provide guides for pre or post methodology for sampling survey expecting non-responses. An empirical illustration is conducted for household survey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모집단 특성에 관한 추론을 위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할 때 표본으로 선택된 단위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없을 경우 단위 무응답(unit nonresponse)이 발생하게 된다. 사회가 개인주의화 되어가고 복잡해지면서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사람이나 가구들로부터 완벽한 응답을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사생활 보호의식 증대, 1인가구ㆍ노인가구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무응답의 지속적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모집단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표본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무응답(nonresponse)과 응답(response) 간에 어떤 특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응답 표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의사결정나무분석의 분류나무(classification tre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번역하기

      모집단 특성에 관한 추론을 위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할 때 표본으로 선택된 단위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없을 경우 단위 무응답(unit nonresponse)이 발생하게 된다. 사회가 개인주의화 되어...

      모집단 특성에 관한 추론을 위하여 표본조사를 실시할 때 표본으로 선택된 단위에 대하여 자료를 수집할 수 없을 경우 단위 무응답(unit nonresponse)이 발생하게 된다. 사회가 개인주의화 되어가고 복잡해지면서 조사대상으로 선정된 사람이나 가구들로부터 완벽한 응답을 얻기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사생활 보호의식 증대, 1인가구ㆍ노인가구가 늘어나는 등의 이유로 무응답의 지속적 증가가 예상되고 있다. 모집단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표본조사가 되기 위해서는 무응답(nonresponse)과 응답(response) 간에 어떤 특성의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볼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무응답 표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의사결정나무분석의 분류나무(classification tree)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미, "회귀나무를 활용한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형성" 10 (10): 174-178, 2005

      2 박희창,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한 사회지표조사 자료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773-783, 2005

      3 남기성,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서의 개인의 특성에 따른 근로형태의 의사결정나무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759-767, 2007

      4 이계오, "무응답오차" 자유아카데미. 2000

      5 최보승,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을 갖는 예비조사자료를 이용한 선거예측"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321-2333, 2007

      6 김규곤, "데이터마이닝에서의 분류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01-12, 2003

      7 통계청 지역통계과, "가구표본 관리지침서" 통계청. 2007

      8 통계청, "가계조사 지침서"

      9 한근식, "가계조사 무응답 처리기법 연구" 통계청 2003

      10 Earl R. Babbie,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Thomson Learning. 2006

      1 김세미, "회귀나무를 활용한 무응답 가중치 조정층 형성" 10 (10): 174-178, 2005

      2 박희창,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한 사회지표조사 자료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7 (7): 773-783, 2005

      3 남기성, "산업·직업별 고용구조조사에서의 개인의 특성에 따른 근로형태의 의사결정나무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759-767, 2007

      4 이계오, "무응답오차" 자유아카데미. 2000

      5 최보승,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을 갖는 예비조사자료를 이용한 선거예측"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321-2333, 2007

      6 김규곤, "데이터마이닝에서의 분류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5 (5): 101-12, 2003

      7 통계청 지역통계과, "가구표본 관리지침서" 통계청. 2007

      8 통계청, "가계조사 지침서"

      9 한근식, "가계조사 무응답 처리기법 연구" 통계청 2003

      10 Earl R. Babbie,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11th" Thomson Learning. 2006

      11 Paul P. Biemer, "Introduction to Survey Quality" 2003

      12 Richard L. Scheaffer, "Elementary Survey Sampling,6th" Thomson Learning. 2005

      13 최종후, "Answer Tree를 이용한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분석" SPSS 아카데미.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