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의 이용경험과 필요성을 비교하고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15573
2019
-
정신장애 ; 노인 ; 중년 ; Mental disability ; Elderly ; Middle age
300
KCI등재
학술저널
35-44(1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의 이용경험과 필요성을 비교하고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목적 : 본 연구는 중년과 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의 이용경험과 필요성을 비교하고 일상생활도움 필요성과 삶 만족도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였다. 대상자는 182명의 정신장애인 중 나이가 40세 이상인 중⋅고령층 152명이었다.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과 필요성은 직업재활시설, 장애인복지관, 정신건강증진센터, 장애인 재활병의원, 정신재활시설 총 5곳에 대한 질문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두 집단 간 분석과 스피어만 상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 고령 정신장애인은 중년 정신장애인보다 교육수준이 낮았고 장애발생연령이 높았다(p<.001). 152명의 중⋅고령 정신장애인의 재활복지 서비스 이용경험이 높았던 기관은 장애인복지관(14.5%), 정신건강증진센터(9.9%) 순이었고 필요성이 가장 높았던 기관은 정신건강증진센터(46.1%), 정신재활시설(42.1%) 순이었다. 중년 정신장애인은 고령 정신장애인보다 직업재활시설과 장애인복지관 참여를 더 요구하였다(p<.05). 고령 정신장애인은 중년 정신장애인보다 일상생활의 도움을 더 필요로 하였다(p<.05). 발병기간이 증가할수록 일상생활도움 필요성(r=.290, p<.01)이 높았고 삶 만족도(r=.206,p<.01)가 낮았다. 장애발생연령이 낮을수록 일상생활도움 필요성(r=-.165, p<.05)이 높았고 삶 만족도(r=-.205, p<.05)가 낮았다. 결론 : 중년 정신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며, 중⋅고령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센터 및 정신재활시설의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sist needs of activities of dail...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ssist need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 This investigation used raw data of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2017). Of the 6,549 all subjects in the raw data, 152 subjects were analyzed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are based on the questions of five institutions, which ar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rehabilitation hospital for the disabled,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Statistical methods was performed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and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 old age people had lower education level and higher age of disability emergence than middle age people(p<.001). The rehabilitation and welfare service needs and utilization experience of 152 middle-age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were followed by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14.5%)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9.9%). The most needed institutions wer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46.1%)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42.1%). middle age people required mor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than old age people(p<.05). old age people had a higher assist needs of ADL than middle age people(p<.05). As the onset duration increased, the needs of ADL(r=.290, p<.01) were higher and life satisfaction(r=.206, p<.01) was lower. The lower the age of disability emergence was, the higher the assist needs of ADL(r=-.165, p<.05) and the lower the life satisfaction (r=-.205, p<.05). Conclusion :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middle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and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for middle to old age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xpan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혜,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행동: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1 (41): 213-229, 2003
2 김수진,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9 (19): 176-187, 2013
3 이경숙,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245-254, 2011
4 김선주,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5-33, 2013
5 최일섭, "정신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331-359, 2007
6 김성용, "정신장애인 사회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Andersen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175-202, 2014
7 노승현, "장애노인 가구의 과부담 보건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51-77, 2012
8 이현주, "사회복지실천 평가에서 목표달성척도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기능 향상 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9) : 120-154, 2011
9 김선주, "노인정신장애인의 프로그램 욕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부산지역 정신요양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8 (8): 198-207, 2008
10 박한결, "노년기 정신장애 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인지 요인에 대한 예비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6 (16): 33-45, 2010
1 한경혜, "한국 중년기 남녀의 건강상태 및 건강관리 행동: 성별,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1 (41): 213-229, 2003
2 김수진, "중년여성의 부부친밀감, 우울과 갱년기 증상의 관계"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19 (19): 176-187, 2013
3 이경숙,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245-254, 2011
4 김선주, "정신장애인의 차별경험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애수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41 (41): 5-33, 2013
5 최일섭, "정신장애인의 서비스 이용, 가족 지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신요양시설 거주 정신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7) : 331-359, 2007
6 김성용, "정신장애인 사회서비스 이용의 예측요인: Andersen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175-202, 2014
7 노승현, "장애노인 가구의 과부담 보건의료비 결정요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4 (64): 51-77, 2012
8 이현주, "사회복지실천 평가에서 목표달성척도의 적용에 관한 연구 - 정신장애인의 일상생활기능 향상 프로그램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39) : 120-154, 2011
9 김선주, "노인정신장애인의 프로그램 욕구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부산지역 정신요양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8 (8): 198-207, 2008
10 박한결, "노년기 정신장애 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및 인지 요인에 대한 예비연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16 (16): 33-45, 2010
11 Villareal, D. T., "Weight loss, exercise, or both and physical function in obese older adults" 364 (364): 1218-1229, 2011
12 Kitchener, K. S., "Reflective judgment : Concepts of justification and their relationship to age and education" 2 (2): 89-116, 1981
13 Maulik, P. K., "Prevalence of intellectual disability : a meta-analysis of population-based studies" 32 (32): 419-436, 2011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7
16 Peloquin, S., "Moral Treatment : Contexts Considered" 43 (43): 537-544, 1989
17 Korea, Statistic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KOSIS)" 2019
18 Takeuchi, D. T., "Immigrationrelated factors and mental disorders among Asian Americans" 97 (97): 84-90, 2007
19 Wakefield, J. C., "Disorder as harmful dysfunction : a conceptual critique of DSM-III-R's definition of mental disorder" 99 (99): 232-247, 1992
20 Sajatovic, M.,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mong older adults with bipolar disorder,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depression, and dementia" 17 (17): 3-8, 2004
21 Bartels, S. J., "Caring for the whole person : Integrated health care for older adults with severe mental illness and medical comorbidity" 52 : 249-257, 2004
22 Bruckner, J., "Assessing the risk of falls in elder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19 (19): 206-211, 2003
요양병원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사와의 협업 실태 조사
요양보호사의 전문성, 직무소진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주택 내 안전사고 발생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09-01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n Aging Health Friendly Policy Association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