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대학교 박물관, "龍馬山 第2堡壘" 2009
2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Ⅳ" 2014
3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Ⅲ" 2007
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漣川 瓠蘆古壘" 1999
5 백종오, "한국고대 산성의 집수시설과 용도-한강유역 석축 집수지를 중심으로-" 한국목간학회 (25) : 139-171, 2020
6 구의동보고서 간행위원회, "한강유역의 고구려요새" 1997
7 백종오, "포천 성동리산성의 변천과정 검토" 20 : 2004
8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포천 반월산성 종합보고서" 2004
9 한양대학교 박물관, "파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1999
10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파주 칠중성 지표조사 보고서" 2001
11 한울문화재연구원, "파주 이잔미성 정밀지표조사 용역 자문회의자료"
12 국립문화재연구원, "파주 육계토성 회의 자료"
13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파주 덕진산성 정밀지표조사 및 시굴조사 보고서" 2004
14 서울대학교 박물관, "특별전한강유역의고구려 요새" 2000
15 이준선, "적성지역의 전략적 가치와 그 배경"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6 (16): 1-18, 2004
16 권순진, "임진강유역 고구려城의 性格 再考-호로고루ㆍ당포성ㆍ은대리성을 중심으로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3) : 163-196, 2012
17 이정빈, "임진강․한탄강 유역의 고구려 지명과 그 의미 - 경기도 연천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회 (134) : 39-68, 2019
18 경기도박물관, "임진강"
19 예맥문화재연구원, "원주 건등리유적" 2008
20 경기도박물관, "우리 곁의 고구려"
21 양시은, "오녀산성의 성격과 활용 연대 연구" 한국고고학회 (115) : 133-157, 2020
22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연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2000
23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연천 은대리성 지표 및 시․발굴조사 보고서" 2004
24 중앙문화재연구원, "연천 은대리성" 2018
25 서울대학교 박물관, "연천 무등리 2보루" 2015
26 안성현 ; 최광훈, "연천 대전리산성의 성격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4 (34): 101-136, 2018
27 고려문화재연구원, "연천 대전리산성Ⅱ" 2016
28 경기문화재연구원, "연천 대전리산성Ⅰ" 2015
29 경기도박물관, "연천 당포성Ⅱ" 2006
30 수도문물연구원, "연천 고성산보루 발굴조사 학술자문회의 자료"
31 최몽룡, "역사적 맥락에서 본 경기도 소재 고구려유적의 중요성" 서울경기고고학회ㆍ기전문화재연구원 2004
32 국립문화재연구소, "아차산4보루" 2009
33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 제4보루" 2000
34 서울대학교 박물관, "아차산 시루봉보루" 2002
35 경기도박물관, "아미성ㆍ수철성" 2008
36 윤성호, "신라의 한강유역 영영화 과정 연구" 고려대 2018
37 서울대학교 박물관, "시루봉보루Ⅱ" 2013
38 서영일, "삼국시대 임진강 유역 관방체계와 덕진산성" 백제문화연구소 (56) : 199-226, 2017
39 박순발, "백제토기 탐구" 주류성 2006
40 김영관, "백제 웅진천도의 역사적 배경" 역사문화학회 20 (20): 67-99, 2017
41 안성현, "덕진산성의 축조 연대와 의미" 백제문화연구소 (56) : 163-197, 2017
42 안성현, "남한지역 토성벽에 잔존하는 석축부에 대한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5) : 5-38, 2016
43 정호섭,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 유물의 현황과 과제" 4 : 2005
44 윤성호, "남한지역 고구려 관방시설의 연구 성과와 과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10) : 125-163, 2019
45 국립문화재연구소, "남한의 고구려 유적" 2007
46 백종오, "남한 내 고구려 유적 유물의 새로운 이해 - 최근 발굴 유적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8) : 113-147, 2008
47 양시은, "남한 내 고구려 성곽의 구조와 성격" 고구려발해학회 36 : 97-132, 2010
48 이태규, "군사용어사전" 일월서각 2012
49 경기도박물관, "고양 멱절산유적" 2005
50 김현숙, "고구려의 영역지배방식 연구" 모시는 사람들 2005
51 정호섭, "고구려의 州․郡․縣에 대한 재검토- 중․후기 지방편제의 이해와 관련하여 -" 한국사학회 (133) : 5-46, 2019
52 노태돈,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1999
53 윤명철, "고구려 해양사 연구" 사계절 2003
54 여호규, "고구려 초기 정치사 연구" 신서원 2014
55 최희수, "고구려 지방통치 운영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56 양시은, "고구려 성 연구" 진인진 2016
57 정원철, "고구려 산성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7
58 백종오, "고구려 남진정책 연구" 서경문화사 2005
59 서영일, "경기북부지역 고구려 보루 고찰" 18 : 2002
60 서울대학교 박물관, "경기도 전곡 선사박물관 건립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2007
61 하일식, "감악산비 논란과 감악신사에 대하여" 한국역사연구회 (117) : 485-518, 2020
62 김현숙, "高句麗의 漢江流域 領有와 支配" 백제연구소 (50) : 27-54, 2009
63 盧重國, "高句麗․百濟․新羅 사이의 力關係 變化에 대한 一考察" 28 : 1981
64 孔錫龜, "高句麗 領域擴張史 硏究" 서경문화사 1998
65 경기도박물관, "高句麗 遺蹟의 寶庫 京畿道" 2005
66 백종오, "高句麗 瓦當의 毁棄와 그 象徵的 意味139" 한국고대사학회 (66) : 139-168, 2012
67 백종오, "高句麗 城郭 築城術의 擴散에 대한 豫備的 檢討" 고구려발해학회 59 : 205-244, 2017
68 김재홍, "韓國 古代 農業技術史硏究 : 鐵製 農具의 考古學" 考古 2011
69 "隋書"
70 이준성, "軍事施設 所在 古代 關防遺蹟의 관리·활용 방안-임진강·한탄강 유역을 중심으로-" 고조선단군학회 45 (45): 211-236, 2021
71 국립문화재연구소, "軍事保護區域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書 江原道篇" 2000
72 국립문화재연구소, "軍事保護區域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書 京畿道篇" 2000
73 金聖範, "軍事保護區域 內 文化遺蹟 地表調査 報告" 25 : 1992
74 "記言別集"
75 "舊唐書"
76 李宰, "臨津江 流域의 軍事遺蹟 地表調査報告" 3 : 1993
77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紅蓮峰 第2堡壘" 2007
78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紅蓮峰 第1堡壘" 2007
79 한준영, "百濟 漢城期의 城郭出土 土器 硏究" 18 : 2003
80 朴淳發, "漢城百濟의 誕生" 서경문화사 2001
81 김호준, "漢城期 百濟 石築山城에 대한 再論議" 한국문화사학회 (49) : 5-36, 2018
82 충북대학교 박물관, "淸原 南城谷 高句麗遺蹟" 2004
83 중부고고학연구소, "波州 德津山城Ⅱ1~5次 學術發掘調査 綜合報告書" 2018
84 중부고고학연구소, "波州 德津山城1ㆍ2次 學術發掘調査" 2014
85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江原道 鐵原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6
86 경기도박물관, "月籠山城" 2005
87 백종오, "最近 發見 京畿地域 高句麗遺蹟" 7 : 2005
88 京畿道博物館, "抱川 城洞里 마을遺蹟" 1999
89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峨嵯山 第3堡壘" 2007
90 京畿道博物館, "坡州 舟月里遺蹟" 1999
91 京畿道博物館, "坡州 六溪土城" 2006
92 백종오, "南韓地域 高句麗 關防體系 - 臨津江流域을 중심으로 -" 한국고대학회 (26) : 279-306, 2007
93 김성태, "北漢山城 연구논문집" 경기문화재단 경기학연구센터 2016
94 백종오, "六溪土城의 調査ㆍ硏究成果와 歷史的 價値" 한국고대학회 (68) : 5-60, 2022
95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京畿道 漣川郡 軍事遺蹟 地表調査報告書" 1995
96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漣川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5
97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抱川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7
98 陸軍士官學校 陸軍博物館, "京畿道 坡州郡 軍事遺蹟 地表調査 報告書" 1994
99 白種伍, "京畿北部地域 高句麗城郭의 分布와 性格" 3 : 1999
100 백종오, "中國內 高句麗山城의 發掘 現況과 主要 遺構·遺物의 檢討 -2005年∼2016年 發掘調査를 중심으로-" 한국고대학회 (53) : 5-48, 2017
101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 "中原 高句麗碑 調査報告書" 1979
102 金性泰, "三國時代 刀劍의 形態" 8 : 2000
103 "三國史記"
104 장창은, "660~662년 고구려와 신라・당의 전쟁" 신라사학회 (38) : 65-113, 2016
105 황보경, "603년 北漢山城 전투 고찰" 고려사학회 (58) : 33-64, 2015
106 최영인, "4세기~5세기 초반 고구려의 남진과 임진강 유역 지배방식" 31 : 2020
107 여호규, "4세기 후반~5세기 초엽 고구려(高句麗)와 백제(百濟)의 국경 변천" 한국역사연구회 (84) : 169-213, 2012
108 임기환, "4세기 고구려의 낙랑ㆍ대방지역 경영" 147 : 1995
109 금경숙, "4~5세기 고구려의 지방통지에 관한 시론적 고찰" 1 : 1996
110 황보경, "3~6세기 삼국의 정세와 도기동산성" 동양학연구원 (83) : 89-114,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