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존재론적 인식과 패션디자인의 실천적 가치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05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존재론을 바탕으로 인간 삶의 실존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는데 있다. 새로운 것을 소유하고 싶은 욕망을 바탕으로 트렌드의 양산과 의도적 폐기...

      본 연구는 존재론을 바탕으로 인간 삶의 실존개념을 이해하고 디자인의 존재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하는데 있다. 새로운 것을 소유하고 싶은 욕망을 바탕으로 트렌드의 양산과 의도적 폐기화가 강요되고 있는 인간 삶의 현실에서, 디자인 분야를 중심으로 환경과 사회를 배려하는 주체적인 노력과 사회적 확산을 위해서 인간 실존의 개념으로부터 디자인이 추구할 미적 가치들을 되돌아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실존을 이미 정해져 있는 존재가 아니라 되어가는 존재, 만들어가는 ‘가능성’의 열린 존재로 파악하고 디자인의 궁극적인 목적을 주어진 현실을 극복하는 실천적 방법으로 인식하고 패션디자인이 추구할 미적 가치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존재론의 개념과 삶의 방식으로써 소유의 양식과 존재의 양식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존재론적 관점의 디자인 고찰로써 윤리적 디자인, 생태적 디자인, 행동주의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았고 패션디자인에서 존재론적 특성이 반영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존재론적 인식을 바탕으로 패션디자인의 추구할 실천적 가치로는 존재 지양, 관계 지향, 창조 지향이 도출되었다. 존재론적 인식을 바탕으로 한 패션디자인의 실천적 가치로써 존재 지양은 패션디자인에 대한 모든 통념을 하나의 철학적 사고의 대상으로 간주하게 한다. 관계 지향은 인간과 환경, 생산자와 소비자, 상품가치와 소비가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새로운 인식과 의미의 생산을 요구한다. 창조 지향은 현대 소비사회에서 디자인을 영역을 중심으로 추구되고 있는 미적혁신의 가상성에 대한 반성과 함께 존재의 지양, 관계의 지향을 동반한 새로운 디자인을 통해 진정한 의미의 미적 혁신과 가치의 창조적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existential concept of life from the view of ontology, and illuminate the existential significance and value of design by it. Today the mass production of trends and intentional discard of them are procee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existential concept of life from the view of ontology, and illuminate the existential significance and value of design by it. Today the mass production of trends and intentional discard of them are proceeding simultaneously. Human endeavors to overcome these phenomena through the conscious thinking and act which care for environment and society are also in process. Present study regards human existence not as predestined existence but as existence being made and "possibility" in process, and sets up the ultimate aims of design as important meaning and value that overcome given circumstances.
      The researcher carried out both the study of literature and the analysis of illustrative cases. In the study of literature, the researcher surveyed the concept of existentialism and the traits of the mode of possession and that of existence. From this the researcher derived the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aesthetic value of fashion design. In the study of illustrative cases, the researcher selectively collected cases of design that reflect the mode of existence from the professional books and from internet. The researcher reinterpreted the meaning of those cases by using aesthetic framework, purposing to propose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oncept of existentialism is established through the survey of the traits of human existence. 2) The comparison between the traits of the mode of consumption and that of existence is achieved. The traits of fashion design that support the human existentialism based on the important concepts of the mode of existence is also derived. 3) The analysis of the meaning of ethical · ecological · behavioral design is fulfill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are clarified.
      This study emphasized the fashion design that pursued the durable growth and valuable consumption. The future fashion design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favorable circumstances and preferable coexistence of human beings. It must not become a tentative fashion or obligatory design.
      In succeeding studies the researcher intend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ashion design from the diverse points of view and further pursue the traits of molding and their mean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존재론적 관점에서 디자인 고찰
      • Abstract
      • 국문초록
      • I.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존재론적 관점에서 디자인 고찰
      • Ⅳ. 존재론적 인식과 패션디자인의 실천적 가치
      • Ⅴ.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류근종, "현대패션에 나타난 친환경 디자인의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6 (6): 57-78, 2006

      2 권정숙, "현대 패션에 표현된 윤리적 사고 특성" 인문과학연구소 24 : 51-77, 2009

      3 신혜영, "패션 산업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리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259-270, 2011

      4 이충진, "칸트의 선험 존재론" 한국칸트학회 (30) : 87-110, 2012

      5 김선영,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패션에서의 업 사이클링 경향 연구" 36 (36): 2012

      6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8

      7 권정숙, "지속가능성의 관점에 기초한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의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13-23, 2012

      8 Fromm, Erich, "존재의 기술" 까치 1994

      9 임영희, "존재양식으로 본 도덕교육의 특징과 의의 : 에리히프롬(E.Fromm)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9

      10 엄기홍, "존재론적 욕망의 회화적 역능성 연구" 한국영상미디어협회 11 (11): 35-53, 2012

      1 류근종, "현대패션에 나타난 친환경 디자인의 특성" 한국패션디자인학회 6 (6): 57-78, 2006

      2 권정숙, "현대 패션에 표현된 윤리적 사고 특성" 인문과학연구소 24 : 51-77, 2009

      3 신혜영, "패션 산업의 업사이클링을 위한 리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259-270, 2011

      4 이충진, "칸트의 선험 존재론" 한국칸트학회 (30) : 87-110, 2012

      5 김선영, "친환경디자인을 위한 패션에서의 업 사이클링 경향 연구" 36 (36): 2012

      6 임석진, "철학사전" 중원문화 2008

      7 권정숙, "지속가능성의 관점에 기초한 업사이클 패션 디자인의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 14 (14): 13-23, 2012

      8 Fromm, Erich, "존재의 기술" 까치 1994

      9 임영희, "존재양식으로 본 도덕교육의 특징과 의의 : 에리히프롬(E.Fromm)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09

      10 엄기홍, "존재론적 욕망의 회화적 역능성 연구" 한국영상미디어협회 11 (11): 35-53, 2012

      11 김새봄, "재활용 패션의 미적 특성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 10 (10): 436-444, 2008

      12 양진숙, "재활용 섬유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 18 (18): 190-198, 2012

      13 정범모, "인간의 자아실현" 나눔출판사 1997

      14 장남경, "윤리적 패션디자인을 위한 실천 방안" 한국기초조형학회 12 (12): 347-360, 2011

      15 고현진, "윤리적 패션 디자인" 한국복식학회 60 (60): 151-167, 2010

      16 임은영, "업사이클링 디자인 특성에 따른 작품사례 분석"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483-493, 2014

      17 최민숙, "업 사이클링 디자인 특성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551-563, 2012

      18 남후남, "서스테이너블 패션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0 (10): 53-68, 2010

      19 정유진, "생태정보디자인의 개념 제안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8 (8): 565-574, 2007

      20 지영숙, "생태적 소비생활과 환경 윤리" 6 (6): 2003

      21 안정수, "삶의 의미 물음과 그 교육학적 의미 연관"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2000

      22 박만준, "문화의 기원-게엘렌의 문화이론을 중심으로" 11 : 2000

      23 Fuad, Luke, "디자인 액티비즘" 미술문화 2010

      24 Buber, Martin,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01

      25 임채광, "게엘렌의 ‘의식’개념과 문화 인간학적 쟁점들" 한국동서철학회 (34) : 73-93, 2004

      26 "http://www.segye.com/content/html"

      27 "http://www.nike.co.kr"

      28 "http://www.ethicalfashionforum.com"

      29 "http://www.dt.co.kr"

      30 "http://www.dailian.co.kr/news/view/434916/?sc=naver"

      31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4081210453955005"

      32 "http://terms.naver.com"

      33 "http://reblank.com/works_product.php"

      34 "http://reblank.com/about_weare.html"

      35 "http://fairtradegru.com"

      36 "http://bringyourcup.blog.me/220056977815"

      37 "http://blog.naver.com/mhgk1009/50178897854"

      38 김선영, "Martin Margiela의 Artisanal Collection에 나타난 업 사이클링" 한국기초조형학회 13 (13): 83-94, 2012

      39 Luc, D., "Belguim Fashion Design" Ghent-Amsterdam 1999

      40 김선영, "21세기 패션아트에 나타난 업 사이클링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20 (20): 295-308,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