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통합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한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수용 요인 :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unmanned surveillance equipment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UTAUT model: The case of Busan metropolitan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5355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science security has been emphasized along with the various demands for public safety and programs including living labs. However, there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by police officers toward unmanned surveillance equipments. In this aspect, this study responses of 204 police offic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based on the UTAUT model. It was turned out that the intention behavior of drone was positively predicted by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Meanwhile,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behavior of robot. Additionall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and found that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ould play important roles in accepting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automated surveillance using drones and robot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us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to elevate the extent of technology acceptance of police offciers.
      번역하기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science security has been emphasized along with the various demands for public safety and programs including living labs. However, there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a...

      The importance and availability of science security has been emphasized along with the various demands for public safety and programs including living labs. However, there a paucity of empirical studies dealing with influencing factors of technology acceptance by police officers toward unmanned surveillance equipments. In this aspect, this study responses of 204 police offic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to figure out factors affecting technology acceptance based on the UTAUT model. It was turned out that the intention behavior of drone was positively predicted by performance expectancy and social influence. Meanwhile, performance expectancy,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positively influenced the intention behavior of robot. Additionally, we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and found that social influence and facilitating conditions would play important roles in accepting the technologies associated with automated surveillance using drones and robot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us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various policy implications to elevate the extent of technology acceptance of police offci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다양한 치안 수요 및 현장맞춤형 연구개발 사업 등과 더불어 과학 치안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기술을 활용한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지역의 경찰 공무원 204명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UTAUT) 모델을 활용하여 치안용 드론과 로봇에 대한 기술 수용 요인을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및 OLS 분석을 수행한 결과 드론에는 성과 기대와 사회적 영향이 기술 수용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의 경우 성과 기대, 사회적 영향력 촉진 조건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 조사 결과를 보다 현실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심층그룹인터뷰(FGI) 분석을 수행하였다. FGI 분석에서는 향후 드론과 로봇 등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기술 수용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 상사의 지지 등 사회적 영향요인과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촉진 요건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기술 수용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최근 다양한 치안 수요 및 현장맞춤형 연구개발 사업 등과 더불어 과학 치안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기술을 활용한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수...

      최근 다양한 치안 수요 및 현장맞춤형 연구개발 사업 등과 더불어 과학 치안의 중요성과 활용 가능성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과학기술을 활용한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수용요인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이에 본 연구는 부산 지역의 경찰 공무원 204명을 대상으로 통합기술수용(UTAUT) 모델을 활용하여 치안용 드론과 로봇에 대한 기술 수용 요인을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및 OLS 분석을 수행한 결과 드론에는 성과 기대와 사회적 영향이 기술 수용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의 경우 성과 기대, 사회적 영향력 촉진 조건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설문 조사 결과를 보다 현실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심층그룹인터뷰(FGI) 분석을 수행하였다. FGI 분석에서는 향후 드론과 로봇 등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기술 수용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장 상사의 지지 등 사회적 영향요인과 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촉진 요건이 뒷받침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향후 무인순찰장비에 대한 경찰의 기술 수용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광섭 ; 김주찬, "치안드론의 도입에 대한 인식연구 - 일반국민과 경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보안관리학회 (65) : 377-396, 2020

      2 조현진, "치안R&D, 새로운 도약이 될 2022년" 2 : 47-50, 2021

      3 방준성, "지능형 치안 서비스 기술 동향" 2019

      4 정병걸 ; 성지은, "일선행정의 혁신과 리빙랩: 치안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폴리스랩사업 사례" 한국행정학회 53 (53): 275-296, 2019

      5 e-나라지표, "인구 10만명당 경찰관수"

      6 유근환,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한 지역경찰공무원의 인식 및 수용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71-197, 2009

      7 박성수, "유비쿼터스 경찰서비스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과 시민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9 (9): 325-335, 2009

      8 류연수, "스마트치안 국내외 사례와 향후 과제" (126) : 2017

      9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스마트 치안 최근 동향과 시사점"

      10 류연수, "미래 치안은 과학치안이다" 2 : 2-6, 2021

      1 설광섭 ; 김주찬, "치안드론의 도입에 대한 인식연구 - 일반국민과 경찰관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보안관리학회 (65) : 377-396, 2020

      2 조현진, "치안R&D, 새로운 도약이 될 2022년" 2 : 47-50, 2021

      3 방준성, "지능형 치안 서비스 기술 동향" 2019

      4 정병걸 ; 성지은, "일선행정의 혁신과 리빙랩: 치안현장 문제해결을 위한 폴리스랩사업 사례" 한국행정학회 53 (53): 275-296, 2019

      5 e-나라지표, "인구 10만명당 경찰관수"

      6 유근환,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한 지역경찰공무원의 인식 및 수용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13 (13): 171-197, 2009

      7 박성수, "유비쿼터스 경찰서비스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 경찰공무원과 시민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 9 (9): 325-335, 2009

      8 류연수, "스마트치안 국내외 사례와 향후 과제" (126) : 2017

      9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스마트 치안 최근 동향과 시사점"

      10 류연수, "미래 치안은 과학치안이다" 2 : 2-6, 2021

      1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치안실용화사업 추진으로 치안산업 진흥 터전 마련"

      12 유제설 ; 김채원 ; 황의갑, "과학수사요원의 법과학 기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 한국경찰연구학회 16 (16): 73-92, 2017

      13 남궁현 ; 심희섭, "과학기술이 경찰활동에 미친 변화와 그 시사점" 치안정책연구소 31 (31): 1-42, 2017

      14 권창국 ; 김연수, "경찰활동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관한 연구 –경찰 R&D기관 도입을 위한 환경분석-" 한국경찰학회 15 (15): 3-40, 2013

      15 최미경, "경찰청 웨어러블 폴리스 캠의 운영 실태 및 개선과" 국회입법조사처 2019

      16 Venkatesh, V.,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 Toward a unified view" 27 (27): 425-478, 2003

      17 Kenny, D. A., "The performance of RMSEA in models with small degrees of freedom" 44 (44): 486-507, 2015

      18 Lai, V. S.,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internet banking : an invariance analysis" 42 (42): 373-386, 2005

      19 Venkatesh, V., "Technology acceptance model 3 and a research agenda on interventions" 39 (39): 273-315, 2008

      20 Kurkinen, E., "On the exploration of mobile technology acceptance among law enforcement officer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SEM): A multi-group analysis of the Finnish Police Force" 2012

      21 Hu, P. J. H., "Law enforcement officers' acceptance of advanced e-government technology:a survey study of COPLNK mobile" 2009

      22 Coldren Jr, J. R., "Introducing smart policing : Foundations, principles, and practice" 16 (16): 275-286, 2013

      23 Eva, Y.,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E-Tilang : Empirical evidence from the UTAUT model" 6 (6): 52-64, 2018

      24 Allen, M., "Examin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of the iCOP Application Among Police Officers" 45 (45): 10-23, 2019

      25 Venkatesh, V.,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extending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36 (36): 157-178, 2012

      26 Tamilmani, K., "Consumer acceptance and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 A meta-analytic evaluation of UTAUT2" 23 (23): 987-1005, 2021

      27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28 Venkatesh, V.,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46 (46): 186-204, 2000

      29 Rondan-Cataluña, F. J., "A comparison of the different versions of popular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 A non-linear perspective" 44 (44): 788-805, 2015

      30 Davis, F.D., "A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r Empirically Testing New End-User Information Systems:Theory and Result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1986

      31 경찰청, "22년 경찰청 소관 국가연구개발사업 추진계획"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