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생명공학정책의 형성과 과학자집단의 정책 활동: 유전공학육성법 제정에서 "바이오텍 2000" 수립까지 = The Formation of Biotechnology Policy and the Action of Scientists Community in Korea: From Genetic Engineering Support Act to Biotech 2000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69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biotechnology field began in early 1980`s. The main aim was economic growth through the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ed genetic engineering as one prominent field in the Develop...

      Korean government`s support for biotechnology field began in early 1980`s. The main aim was economic growth through the application of biotechnology.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cluded genetic engineering as one prominent field in the Development Plan for Economy and Society(1982-1986), and National Assembly established Genetic Engineering Support Act in 1983. Ten years later, the overall ministries started to promote biotechnology in the name of Biotech 2000, and the main aim was still economic growth. But the substantive contents of Biotech 2000 were some distance from the aim of it, and all the more became weak in comparison with the situation in early 1980`s. This article showed that the scientists who we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biotechnology policy formation had a decisive effect to the trend of governmental strategy. At first the scientists chose the genetic engineering field intentionally for persuading governmental officials to be worth money. Afterwards they tried to change the name of the field from genetic engineering to biotechnology because they wanted to be supported more broadly. There was some disagreement about the range of support within scientists group when they acted to make the Act. This led the uncommon definition of the field "genetic engineering" through a compromise among scientists. This study would hel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biotechnology field in Korea, and suggest the necessity of examining how much the opinion of scientists group has influenced the governmental policy until recentl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교민, "협력속의 경쟁: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에 즈음하여" 유전공학연구소 126-128, 1994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년사, 1985-20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5

      3 한국분자생물학회, "한국분자생물학회 10년사, 1989-1999" 37-, 1999

      4 정선양, "주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환경, 생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신약개발 성공? 정부부처간 소통 중요하다, ‘제15회 BT전문가 좌담회’서 국가 바이오 발전 토론"

      6 송위진, "선진국 생물산업 혁신체제의 구조변환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7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 심포지움 제1집-유전공학" 1980

      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생명과학과 농업사회발전에 관한 조사연구" 과학기술처 190-191, 1989

      9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 및 생물공업기술의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441-445, 1981

      10 "생명과학 국책과제로 연구해야-KAIST 산학협의회서 계획 밝혀, 매일경제, 1981. 5. 21"

      1 정교민, "협력속의 경쟁: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에 즈음하여" 유전공학연구소 126-128, 1994

      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년사, 1985-200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05

      3 한국분자생물학회, "한국분자생물학회 10년사, 1989-1999" 37-, 1999

      4 정선양, "주요산업의 기술혁신체제: 환경, 생물, 자동차 산업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5 "신약개발 성공? 정부부처간 소통 중요하다, ‘제15회 BT전문가 좌담회’서 국가 바이오 발전 토론"

      6 송위진, "선진국 생물산업 혁신체제의 구조변환에 대한 연구"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0

      7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과학 심포지움 제1집-유전공학" 1980

      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생명과학과 농업사회발전에 관한 조사연구" 과학기술처 190-191, 1989

      9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 및 생물공업기술의 육성을 위한 연구개발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처 441-445, 1981

      10 "생명과학 국책과제로 연구해야-KAIST 산학협의회서 계획 밝혀, 매일경제, 1981. 5. 21"

      11 유전공학연구소 기술정보실, "생명공학정책협의회 발족" 유전공학연구소 4 : 4-, 1993

      12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생명공학의 기술수요 및 시장조사 연구" 1986

      13 이상희, "생명공학육성을 위한 국가정책방향" 한국산업경제정책연구원 89-, 1987

      14 과학기술처,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Biotech 2000" 과학기술처 6-7, 1994

      15 홍정유, "생명공학육성 기본계획(Biotech 2000)" 생명공학연구소 25-26, 1995

      16 생명공학연구소, "생명공학연구소 10년사" 1995

      17 생명공학연구소, "생명공학연구소 10년사" 생명공학연구소 50-, 1995

      18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생명공학과 특허제도에 관한 연구" 1986

      19 박재혁, "생명공학 기술혁신 전략 연구"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 1997

      20 상공자원부, "상공자원백서" 상공자원부 537-538, 1994

      21 이종영,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생명공학육성법 개정 방안" 15-33, 2009

      22 송성수, "과학기술종합계획에 관한 내용분석: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91-, 2005

      23 과학기술처, "과학기술연감" 과학기술처 1981

      24 조현대, "BT분야 혁신기반 실태분석 및 선진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6

      25 산업연구원 생물산업분과위원회, "2000년대 첨단기술산업의 비전과 발전과제-생물산업" 41-, 1994

      26 신향숙, "1980년대 유전공학육성법의 출현: 과학정치가와 다양한 행위자들의 피드백" 한국과학사학회 31 (31): 475-504,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HANGUK KWAHAK-SA HAKHOE-JI -> The Korean Journal for the History of Science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69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