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홍보실태와 효과성: 정부-시민 간 관계성 증진을 중심으로 = Status and Effectiveness of Local Government’s Public Relations through Social Media: Focusing on the Promotion of Government-Citizen Rel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3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방자치제도의 시행 이후 도시브랜드가 인구 유입이나 재정력 확보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면서 지자체마다 홍보의 중요성이 높아 졌다. 지자체의 홍보는 그들의 활동이나 정책을 알려 긍...

      지방자치제도의 시행 이후 도시브랜드가 인구 유입이나 재정력 확보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면서 지자체마다 홍보의 중요성이 높아 졌다. 지자체의 홍보는 그들의 활동이나 정책을 알려 긍정적인 이미지를 높이는 것은 물론 갈등을 초래하거나 쟁점이 될 수 있는 이슈들을 관리하는 효과를 가진다. 최근에는 소셜미디어를 새로운 홍보 기제로 활발하게 활용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기반 홍보가 시민들의 정책이해를 높이고, 정부와의 우호적 관계 형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6개의 광역 및 기초 지자체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 홍보실태를 분석하고, 시민설문조사를 통해 홍보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지자체의 소셜미디어 기반 홍보에 대해 시민들은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고, 지자체와의 소통, 그리고 정책참여 수준이 높은 편이었다. 그리고 소셜미디어를 통한 지자체의 홍보가 정책에 대한 인지나 이해, 지지나 참여에 긍정적으로 기여한다는 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와 시민 간 관계성 증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has increased for each local government as city brands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population inflow and securing financial power. Recently, social media has b...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has increased for each local government as city brands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population inflow and securing financial power. Recently, social media has been actively used as a new public relations t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media-based public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s improve citizens’ understanding of policies and substantiall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friendly relations with the government. As a result, citizens were positive in public relations activities using local governments’ social media,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also high. However,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social media was not intended to inform policies and induce participation, but rather to establish a light intimacy with citizens or simply to “expose” the institution. Lastly, citizen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evaluated that public relations of local governments through social media positively contributed to awareness, understanding,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policies, and these showed the possibility of positively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citize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정인, "트위터를 통한 정부부처 홍보에 있어 부처 성격과 메시지 소구 형태에 따른 조직-공중관계성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2

      2 김귀옥, "지자체 소셜미디어의 대화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공중 커뮤니케이션 행동이조직 -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0 (20): 138-174, 2016

      3 김기옥, "지자체 소셜미디어 대화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조직-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5

      4 정연수, "지역마케팅 콘텐츠의 사용자 반응패턴과 품질특성에 관한 탐색적 분석: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SNS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6 (26): 419-442, 2017

      5 김정헌, "지방정부와 시민간의 PR관계성분석과 관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소 43 (43): 123-154, 2005

      6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현황과 발전방안" 2015

      7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8 백진숙, "지방자치단체의 SNS 활용과 공중 상호작용성,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 - 충남도 페이스북 활용실태를 중심으로" 121-123, 2019

      9 김정렴, "지방자치단체의 SNS 품질이 수용자 만족과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33 (33): 5-51, 2017

      10 오경수,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90-202, 2013

      1 윤정인, "트위터를 통한 정부부처 홍보에 있어 부처 성격과 메시지 소구 형태에 따른 조직-공중관계성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2

      2 김귀옥, "지자체 소셜미디어의 대화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공중 커뮤니케이션 행동이조직 - 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중심으로" 한국PR학회 20 (20): 138-174, 2016

      3 김기옥, "지자체 소셜미디어 대화커뮤니케이션 특성과 공중의 커뮤니케이션 행동이 조직-공중관계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2015

      4 정연수, "지역마케팅 콘텐츠의 사용자 반응패턴과 품질특성에 관한 탐색적 분석: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SNS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6 (26): 419-442, 2017

      5 김정헌, "지방정부와 시민간의 PR관계성분석과 관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연구소 43 (43): 123-154, 2005

      6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현황과 발전방안" 2015

      7 서진완, "지방자치단체의 소셜미디어 활용 현황 분석과 의미" 한국행정학회 46 (46): 131-155, 2012

      8 백진숙, "지방자치단체의 SNS 활용과 공중 상호작용성, 조직-공중 관계성 인식 - 충남도 페이스북 활용실태를 중심으로" 121-123, 2019

      9 김정렴, "지방자치단체의 SNS 품질이 수용자 만족과 도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33 (33): 5-51, 2017

      10 오경수,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90-202, 2013

      11 한정호, "정책 홍보에 있어 트위터(twitter)를 활용한 정책담론(discourse) 형성 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2010

      12 남기범, "정부내 소셜 미디어 활용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정부학회 14 (14): 57-82, 2010

      13 박주연, "정부 부처의 효율적인 정책 홍보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6 (16): 31-54, 2005

      14 문명재, "정보제공의 정책수단적 특성과 향후 연구 방향" 한국행정연구소 48 (48): 51-70, 2010

      15 김지현, "재난 대응에 있어서 지방정부의 트위터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공공사회학회 6 (6): 5-30, 2016

      16 서현식, "자치행정PR을 위한 자치행정조직의 SNS 활용이 지역주민과의 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증진과 행정의 관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 : 자치행정조직과 지역주민간의 견해차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2 (12): 137-158, 2011

      17 박성호,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매체적 특성과 PR영역에서 활용방안" 2011

      18 박성호,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매체적 특성과 PR 영역에서 활용방안" 121-125, 2011

      19 박성호, "인터넷 소셜미디어의 PR 패러다임과 공공 부분에서 활용방안 고찰" 133-137, 2010

      20 박한우, "시정홍보에 대한 효과분석 및 효율적인 홍보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11

      21 황성수, "스마트 정부 시대에 맞는 참여적 거버넌스 모색:Social Media를 활용한 정책홍보와 시민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5 (15): 29-46, 2012

      22 이은정,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부PR과 PR실무자의 전문성에 대한 연구 : 우수이론과 전문성이론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14

      23 김수기,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지방자치단체의 정책홍보-부산광역시청 트위터 분석"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3) : 59-102, 2011

      24 박준, "소셜 미디어가 여는 새로운 정책 환경" 삼성경제연구소 2011

      25 허진희, "소셜 미디어 활용에 따른 정부신뢰와 효능감의 변화: 대학생층을 중심으로" 한국국정관리학회 24 (24): 267-293, 2014

      26 송수근, "소셜 미디어 시대의 정부홍보 방안 연구 : SNS 이용자의 정부 온라인서비스 태도 및 평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27 황성원, "모바일 SNS를 이용한 공공기관 정책홍보 전략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28 황성원, "모바일 SNS를 이용한 공공기관 정책홍보 전략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0

      29 조영민, "공공기관 소셜미디어 활용행태가 공공기관 고객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 2019

      30 조양수, "공공기관 PR 성과측정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21 (21): 109-133, 2014

      31 Ellison, N, "Social Media and Local Government : Citizenship, Consumption, and Democracy" 40 (40): 21-40, 2014

      32 김정헌, "SNS의 활용이 지방정부 PR에 미친 영향분석: 대구시의 SNS 이용실태를 중심으로" 서울행정학회 26 (26): 53-76, 2015

      33 전채남, "SNS 시정홍보의 효과측정에 관한 연구" 2012

      34 Bernay, E., "Public Relation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952

      35 Grunig, J., "Managing Public Relations" Holt, Rinehart & Winston 1984

      36 Ledingham, J., "Handbook of public relations" Sage Publications 527-534, 2001

      37 Cutlip, S., "Effective Public Relations" Prentice Hall 2000

      38 Harlow, R., "Building a public relations definition" 2 : 34-42, 197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