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표본이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 =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Youth Sample Attrit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Samp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44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에서의 청소년 표본이 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2패널 데이터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고지속참...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데이터에서의 청소년 표본이 탈의 종단적 변화유형 및 관련 표본특성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중2패널 데이터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고지속참여형(76.93%), 초기이탈형(6.03%), 중기이탈형(4.36%), 중지속참여형(12.68%)으로 나타났고, 고지속참여형 대비, 여성일수록, 반성적이 낮을수록, 모학력이 높을수록, 부모 중 한명이상 미취업일수록, 한부모가구일수록, 월평균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초기이탈형에, 반성적이 낮을수록, 자가거주가 아닐수록 중기이탈형에, 반성적이 낮을수록, 중소도시 일수록 중지속참여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초4패널 데이터의 종단적 변화유형은 고지속참여형(83.63%), 초기이탈형(2.92%), 중기이탈형(4.60%), 중지속참여형(8.85%)으로 나타났고, 고지속참여형 대비, 반성적이 낮을수록, 모학력이 높을수록, 부모 중 한명이상 미취업일수록 초기이탈형에, 모학력이 높을수록, 거주지가 대도시일수록 중기이탈형에, 한부모가구일수록 중지속참여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youth sample attrit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samp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mi...

      In this study,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youth sample attrition and its related factors of sample characteristics in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middle 2 panel data were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76.93%), initial attrition type(6.03%), mid-term attrition type(4.36%), and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12.68%). Compared to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more women,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unemployed one of the parents, the more single-parent households, the higher the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initial attri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more don’t live in one’s own hom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term attri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more small and medium citie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the elementary 4 panel data were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83.63%), initial attrition type(2.92%), mid-term attrition type(4.60%), and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8.85%). Compared to high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the lower academic record,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unemployed one of the parent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initial attrition type. The higher the maternal education level, the more live in a big city,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term attrition type. The more single-parent household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middle continuous participation typ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연, "횡단조사자료 종단화의 가치와 한계" 한국인구학회 29 (29): 159-188, 2006

      2 이경상,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종단적 최초표본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표본특성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57-195, 2017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User’s Guide, 설문지, 데이터"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1∼6차년도User’s Guide, 설문지, 데이터"

      5 이화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자료에서 단위무응답의 실태 및 가중치 적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1397-1405, 2014

      6 김대일, "한국노동패널표본의 대표성과 패널조사표본이탈자의 특성 연구" 23 : 1-33, 2000

      7 심영상,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표본이탈에 대한 통계적모형화 및 활용" 17 : 31-46, 2002

      8 이상호, "한국노동패널(KLIPS)의 표본이탈분석 : 가구소득을 중심으로" 11 : 66-80, 2005

      9 이상협, "한국노동패널 탈락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1-8, 2011

      10 유창민,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0-258, 2019

      1 이지연, "횡단조사자료 종단화의 가치와 한계" 한국인구학회 29 (29): 159-188, 2006

      2 이경상,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종단적 최초표본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표본특성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157-195, 2017

      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초4패널 1∼5차년도User’s Guide, 설문지, 데이터"

      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1∼6차년도User’s Guide, 설문지, 데이터"

      5 이화정,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자료에서 단위무응답의 실태 및 가중치 적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5 (25): 1397-1405, 2014

      6 김대일, "한국노동패널표본의 대표성과 패널조사표본이탈자의 특성 연구" 23 : 1-33, 2000

      7 심영상,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 표본이탈에 대한 통계적모형화 및 활용" 17 : 31-46, 2002

      8 이상호, "한국노동패널(KLIPS)의 표본이탈분석 : 가구소득을 중심으로" 11 : 66-80, 2005

      9 이상협, "한국노동패널 탈락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2 (22): 1-8, 2011

      10 유창민, "한국 청소년의 수면시간 변화 유형 분류 및 예측요인 확인: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적용한 7개년도 종단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9 (39): 230-258, 2019

      11 민주홍, "패널조사의 필요성과 연구동향" 8 (8): 108-117, 2005

      12 이경희, "패널조사 응답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패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조사연구학회 17 (17): 1-24, 2016

      13 김하영, "초기 청소년의 탄력성 발달궤적 검증 및 사회적 지지체계 변화양상과의 관계: 잠재계층성장분석(LCGA)과 다집단 성장혼합모형(GMM)을 이용한 종단연구" 한국아동학회 39 (39): 1-16, 2018

      14 정익중,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8 (18): 127-166, 2007

      15 박현수, "청소년 폭력피해의 종단적 변화유형과 영향요인" 한국교육개발원 39 (39): 119-142, 2012

      16 김동하, "청소년 무단결석의 종단적 변화궤적 유형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71 (71): 176-194, 2019

      17 강유림, "진로성숙도의 발달궤적에 따른 잠재계층 분류 및 영향 요인 탐색"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141-162, 2019

      18 송헌재, "재정패널 2차년도 이탈가구와 대체가구의 특성 분석" 한국재정학회 5 (5): 97-133, 2012

      19 노언경, "잠재프로파일 분석의 이론과 실제" S19-S32, 2019

      20 김세원, "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항목무응답과 단위무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7-50, 2012

      21 김정은, "서울아동패널조사의 웨이브 무응답 유형화 분석" 한국조사연구학회 16 (16): 73-105, 2015

      22 오영교, "대학생의 진로도구준비 유형 분석: 잠재계층분석방법(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통계청 23 (23): 39-64, 2018

      23 천영민,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에서 패널탈락분석" 한국통계학회 22 (22): 981-993, 2009

      24 이경상, "국내 패널조사의 현황 및 시사점" 교육인적자원부 2007

      25 Watkins, A. M., "The effect of self-control on unit and item nonresponse in an adolescent sample" 44 (44): 267-294, 2007

      26 Hill, D., "Reducing panel attrition : A search for effective policy instruments" 36 (36): 416-438, 2001

      27 Lillard, L. A., "Panel attrition from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 Household income, marital status, and mortality" 33 (33): 437-457, 1998

      28 Muthén, L. K., "Mplus User’s Guide" Muthén & Muthén 2017

      29 Frees, E. W., "Longitudinal and Panel Data: Analysis and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30 Nagin, D. S., "Group-Based Modeling of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2005

      31 Nylund, K., "Deci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in latent class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ing :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14 : 535-569, 2007

      32 Diggle, P. J., "Analysis of longitudinal data"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3 Jung, T., "An introduction to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growth mixture modelling" 2 : 302-317, 2008

      34 MaCurdy, T., "An evaluation of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33 (33): 345-436, 1998

      35 Fitzgerald, J., "An analysis of sample attrition in panel data : The michigan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33 (33): 251-299, 1998

      36 Zabel, J. E., "An analysis of attrition in the panel study of income dynamics and the survey of income and program participation with an application to a model of labor market behavior" 33 (33): 479-506, 1998

      37 Taris, T., "A primer in longitudinal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