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바이러스 관광위기 극복을 위한 재난회복탄력성 탐색적 연구: '코로나19'(COVID-19)재난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Disaster Resilience for Overcoming the Tourism Crisis by Virus Disaster: Focusing on 'COVID-19’Disas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08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urrent global era, the occurrence of disaster situation severely threatens the ecosystem of tourism industry as it is inevitable to have the limited actions such as decrease of desire for tourism & passive consumption due to the cognition of ...

      In the current global era, the occurrence of disaster situation severely threatens the ecosystem of tourism industry as it is inevitable to have the limited actions such as decrease of desire for tourism & passive consumption due to the cognition of tourism risk resulting from anxiety & fear of disaster.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ast cases of virus disaster, domestic·foreign economic conditions, & damage to tourism industry focusing on the virus disaster situation of ‘COVID-19’ that has been unprecedentedly declared as p& emic, & also to suggest th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silience that could more wisely & efficiently break through the current tourism crisis. As it would be necessary to establish the coping measures considering both psychological dimension & realistic dimension to reduce the time to overcome the disaster crisis & also to go back to the condition of daily life, the institutional support system underst& ing the tourism industry as the first priority should be divided into universal support & selective support policy. It would be also needed to establish the institutional system through the crisis-coping manual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ourism industry such as raising the tourism funds for coping with disaster crisis in advance, & modifying the insurance & terms for minimizing damage. On top of strengthening the cooperative structure through the strong community solidarity between tourism businesses, it would be also necessary to introduce the crisis management educational programs for the employees of tourism industry. Lastly, from the moment when the virus is settled, there would be ‘Corona Blue’(depression caused by the epidemic & limited social activities) & ’Pent-up effect’(rebounded tourism consumption), so that there should be the microscopic· macroscopic measures that coul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tourism consumption, recovery of tourism service supply system, & the economic vitalization. If there are additional domestic·foreign academic researches & some researches based on empirical data after the current disaster situation of ’COVID-19’ comes to an end,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disaster resilience could be establish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범세계화 시대에 있어 재난상황의 발생 시 관광산업은 재난에 있어 발생하는 불안과 공포에 기인되는 관광위험의 인지로 인한 행동의 제약, 즉 관광욕구의 감소 및 소비의 소극성이 ...

      오늘날 범세계화 시대에 있어 재난상황의 발생 시 관광산업은 재난에 있어 발생하는 불안과 공포에 기인되는 관광위험의 인지로 인한 행동의 제약, 즉 관광욕구의 감소 및 소비의 소극성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에 관광산업의 생태계를 심각하게 위협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상 초유의 펜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선언이 된 ‘코로나-19’의 바이러스 재난상황을 중심으로 과거의 바이러스 재난의 사례와 국내·외 경제상황과 관광산업의 피해상황을 살펴보고, 현재 발생된 관광위기를 보다 현명하고 효율적으로 타계할 수 있는 재난회복탄력성향상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난위기상황의 극복하는 시간을 줄이고 일상의 상태로 회복기 위해서는 심리적 차원과 현실적 차원 모두 고려하는 대책방안의 수립이 필요하기에 최우선적으로 관광산업을 이해한 정책적 지원체계가 보편적 지원과 선별적 지원정책으로 나뉘어 추진되어야 할 것이고 재난위기상황을 미리 대응하기 위한 관광기금의 조성, 피해액의 최소화를 위한 보험 및 약관 정비 등 관광산업의 특성에 맞는 위기대응 매뉴얼화를 통한 제도적 시스템이 구축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사업체간의 강력한 커뮤니티 연대를 통한 협력구조의 강화가 필요할 것이며 동시에 관광산업의 종사자들 대상으로 위기관리의 교육프로그램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이러스가 진정되는 시점부터 ‘코로나블루(전염병 사회활동위축으로 인한 우울감’)와 관광소비가 반등되는 ‘펜트업 효과’ 나타날 것이므로 정부와 지방정부는 관광소비 촉진 노력과 관광서비스 공급체계를 회복시키고,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미시적·거시적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현재의 ‘코로나-19’ 재난상황이 종식된 후에 실증적 데이터에 기반하는 연구와 국·내외의 학제적 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진다면 더 실효성 있는 재난회복탄력성 향상 방안이 수립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홈페이지"

      2 "코로나보드"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공식홈페이지"

      4 오유라, "코로나19의 관광분야 영향 및 전망 - UNWTO, IATA, ADB, McKinsey 발표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43) : 2020

      5 한국경제연구원, "코로나19 쇼크’에 기업체감경기 11년 만에 패닉수준"

      6 이재윤,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경기부양책 현황 및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1697) : 2020

      7 "질병관리본부"

      8 안채명, "재난 현장중심의 수직적 리더십 연구" 미래군사학회 3 (3): 137-166, 2014

      9 박진희, "재난 위험 사회의 위험 관리 전략의 새로운 모색 -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시민성(Citizenship)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19) : 91-118, 2015

      10 오은비, "자연재해에 대한 관광위기관리정책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Birkl& 의 사건관련정책변동이론의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1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통계 홈페이지"

      2 "코로나보드"

      3 보건복지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공식홈페이지"

      4 오유라, "코로나19의 관광분야 영향 및 전망 - UNWTO, IATA, ADB, McKinsey 발표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43) : 2020

      5 한국경제연구원, "코로나19 쇼크’에 기업체감경기 11년 만에 패닉수준"

      6 이재윤, "코로나19 관련 국내외 경기부양책 현황 및 시사점" 국회입법조사처 (1697) : 2020

      7 "질병관리본부"

      8 안채명, "재난 현장중심의 수직적 리더십 연구" 미래군사학회 3 (3): 137-166, 2014

      9 박진희, "재난 위험 사회의 위험 관리 전략의 새로운 모색 - 회복탄력성(Resilience)과 시민성(Citizenship) 향상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철학회 (19) : 91-118, 2015

      10 오은비, "자연재해에 대한 관광위기관리정책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Birkl& 의 사건관련정책변동이론의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11 김동희, "아토피 피부염 아동의 발달단계별 취약성(vulnerability)과 극복력(resilience)"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창수, "바이러스 관광위기와 관광산업의 재난회복탄력성"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

      13 권혁민, "메르스(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사태에 따른 병원종사자와 일반인의 스트레스 정도가 사회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5 (25): 111-119, 2017

      14 류광훈, "메르스 사태로 인한 관광산업의 피해와 향후 과제" 61 : 8-17, 2015

      15 김재걸, "메르스 발생에 따른 관광분야의 대응과 시사점" 61 : 18-25, 2015

      16 국립방재교육연구원, "도시방재기준 개발을 위한 요소별 분류 및 방향설정" 2010

      17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관광지식정보시스템 홈페이지"

      18 이연택, "관광정책학" 백산출판사 2016

      19 유지윤, "관광위기 유형화에 따른 위기관리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35 (35): 161-178, 2011

      20 김남현, "경주관광 위기관리(Disaster management) 전략에 관한 연구" 25 (25): 1-19, 2016

      21 Faulkner, B., "Towards a framework for tourism disaster management" 22 : 135-147, 2001

      22 Buckle, P., "Strengthening Resilience in Post-disaster Situations" 2001

      23 Folke, C., "Resilience: the emergence of a perspective for social–ecological systems analyses" 16 : 253-267, 2006

      24 Dyer, J. G., "Resilience: Analysis of the concept" 10 : 276-282, 1996

      25 Folke, C., "Resilience thinking: integrating resilience, adaptability & transformability" 15 (15): 20-, 2010

      26 Umberto P., "Resilience &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of resilience, systems thinking & adaptive governance" 2012

      27 WTO, "H & book on natural disaster reduction in tourist area" World Tourism Organization 1998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Preparedness Monitoring Board (GPMB). annual report" 2020

      29 Institute for International Finance, "GMV, Global Recession" 2020

      30 PATA, "Crisis. It won’t happen to us" PATA 2003

      31 Laws, E., "Crisis management: A suggested typology" 19 (19): 1-8, 2006

      32 Peters, M., "Crisis management in Alpine winter sports resorts—the 1999 avalanche disaster in Tyrol" 19 (19): 9-20, 2005

      33 Mckinsey & Company, "Coronavirus COVID-19 : Facts & Insights" 2020

      34 Bruneau, M., "A framework to quantitatively assess & enhance the seismic resilience of communities" 19 (19): 733-752,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