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국가자격 시험에 대한 대구지역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 간의 인식차이 =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International Medical Tour Coordinator among College Students in Healthcare and Tourism in Daegu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08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joring in healthcare and tourism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be activated b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survey form were formul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college health department and tourism department of Dae-gu region by on-line. The 287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were higher than tourism major students’. Second, the employment prospect in field of a medical tourism was high both of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but an employment interest of the healthcare major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tourism major students’. Third,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certificate responded more positive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an tourism major students’. The reason of not preparing the certificate was a difficulty of studying a foreign language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and lack of information for tourism major students. Fourth, the most difficult subject of certificate for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was a ‘medical term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but the score of tourism major students was high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need to improve the job promotion in field of medical tourism and the medical knowledge education program for tourism major students and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번역하기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joring in healthcare and tourism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human ...

      Th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majoring in healthcare and tourism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at can be activated by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The survey form were formula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university students college health department and tourism department of Dae-gu region by on-line. The 287 surve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a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e international medical tourism coordinator national qualification examination were higher than tourism major students’. Second, the employment prospect in field of a medical tourism was high both of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but an employment interest of the healthcare major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tourism major students’. Third,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ve obtained the certificate responded more positive of healthcare major students’ than tourism major students’. The reason of not preparing the certificate was a difficulty of studying a foreign language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and lack of information for tourism major students. Fourth, the most difficult subject of certificate for healthcare and tourism major students was a ‘medical term and understanding of disease’ but the score of tourism major students was highe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need to improve the job promotion in field of medical tourism and the medical knowledge education program for tourism major students and the foreign language program for healthcare major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인식 차이 규명을 통해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커리큘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대구지역 보건의료와 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7부의 설문조사를 회신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 전공자의 의료관광 관련 국가 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관광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다. 둘째, 보건의료 및 관광분야 전공자 모두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전망을 높게 보았으나, 취업 관심도는 보건의료전공자들이 더 높았다. 셋째, 보건의료 전공자들이 관광 전공자에 비해 국제의료관광 자격증 획득에 더 긍정적이었다. 자격증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보건의료 전공자는 외국어 공부 어려움, 관광전공자는 정보부족을 꼽았다. 넷째,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 과목 중 두 전공 학생들 모두 ‘의학용어 및 질환의 이해’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으나 관광 전공자가 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분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홍보와 의학용어 등과 같은 의료분야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보건의료분야 전공자들에 대한 외국어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인식 차이 규명을 통해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커리큘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본 연구는 보건의료 및 관광 전공 대학생들의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인식 차이 규명을 통해 의료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적자원 개발 커리큘럼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관련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대구지역 보건의료와 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287부의 설문조사를 회신하여 SPSS 21.0을 활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의료 전공자의 의료관광 관련 국가 자격증에 대한 인식이 관광 전공자들에 비해 높았다. 둘째, 보건의료 및 관광분야 전공자 모두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전망을 높게 보았으나, 취업 관심도는 보건의료전공자들이 더 높았다. 셋째, 보건의료 전공자들이 관광 전공자에 비해 국제의료관광 자격증 획득에 더 긍정적이었다. 자격증 준비를 하지 않는 이유는 보건의료 전공자는 외국어 공부 어려움, 관광전공자는 정보부족을 꼽았다. 넷째,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 과목 중 두 전공 학생들 모두 ‘의학용어 및 질환의 이해’이 가장 어렵다고 답했으나 관광 전공자가 더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관광분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료관광 분야로의 취업 홍보와 의학용어 등과 같은 의료분야 교육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며, 보건의료분야 전공자들에 대한 외국어 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료관광코디네이터협회 홈페이지"

      2 한국관광공사, "한국의료관광총람 2012; 신성장 동력산업 의료관광의 태동과 미래" 2011

      3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자격 홈페이지"

      4 박은영, "일부지역 보건·관광계열 대학생들의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 태도 차이에 관한 분석" 대한통합의학회 7 (7): 193-202, 2019

      5 머니투데이, "의료통역사ㆍ미술심리상담사... 보건의료 국가자격증 쏟아진다"

      6 이자형,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433-450, 2014

      7 이승용, "의료관광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도와 역할 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3 (13): 255-272, 2011

      8 조승아,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업무에 대한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1 (41): 201-217, 2017

      9 유명희, "의료관광정보론" 한울출판사 2009

      10 원영미, "의료관광전문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13 (13): 107-126, 2007

      1 "한국의료관광코디네이터협회 홈페이지"

      2 한국관광공사, "한국의료관광총람 2012; 신성장 동력산업 의료관광의 태동과 미래" 2011

      3 "한국산업인력공단국가자격 홈페이지"

      4 박은영, "일부지역 보건·관광계열 대학생들의 의료관광산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 태도 차이에 관한 분석" 대한통합의학회 7 (7): 193-202, 2019

      5 머니투데이, "의료통역사ㆍ미술심리상담사... 보건의료 국가자격증 쏟아진다"

      6 이자형,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6 (26): 433-450, 2014

      7 이승용, "의료관광코디네이터에 대한 인식도와 역할 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 13 (13): 255-272, 2011

      8 조승아,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업무에 대한 역할모호성 및 역할갈등이 직무만족 및 직무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41 (41): 201-217, 2017

      9 유명희, "의료관광정보론" 한울출판사 2009

      10 원영미, "의료관광전문가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13 (13): 107-126, 2007

      11 김소연, "의료관광산업의 구조변화와 성장요인 분석"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7 (27): 251-266, 2015

      12 김미경,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역할 인식도에 관한 연구" 163-180, 2012

      13 유지윤, "의료관광 전문인력 운영실태 및 수요전망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7-106, 2012

      14 당길명, "성형외과 중국환자전담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8 (38): 23-49, 2019

      15 이현주, "보건분야 전공학생들이 인식하는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국가자격 시험에 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31 (31): 45-60, 2016

      16 한국경제, "메디시티 대구, 국제의료서비스 중심도시로 우뚝서다"

      17 류황건,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자격시험에 대한 의료관광 담당자들의 인식 연구"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63-73, 2014

      18 김수연,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융합전공 대학생의 인지이미지가 직무이미지 및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29 (29): 73-85, 2015

      19 오영아,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국가기술자격" 25-35, 2013

      20 진기남, "국제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현재와 미래 비전" 한국병원경영학회 18 (18): 1-14,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