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평가 도구에 따른 창작 결과 비교 – 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중심으로 - = A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Products by Measuring Instruments - with CAT, MCTM, Cantometric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713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창의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물 20개를 대상으로 합의적 평가기법(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이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CAT의 창의성이 MCTM의 음악적 독창성 및 음악적 구성력, 그리고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 점수는 창의성과는 상관이 있지만 능숙함과는 상관이 없었다. CAT 평정자의 자질, 다양한 음악 창작 과제, 능숙함이 높은 학생들과 유사성 점수에서 동료 학생들과 많이 다르게 나온 학생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창의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물 20개를 대상으로 합의적 평가기법(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이용한 ...

      본 연구는 창의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평가 도구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음악창작 결과물 20개를 대상으로 합의적 평가기법(CAT), MCTM, 칸토메트릭스를 이용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먼저 CAT의 창의성이 MCTM의 음악적 독창성 및 음악적 구성력, 그리고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칸토메트릭스의 유사성 점수는 창의성과는 상관이 있지만 능숙함과는 상관이 없었다. CAT 평정자의 자질, 다양한 음악 창작 과제, 능숙함이 높은 학생들과 유사성 점수에서 동료 학생들과 많이 다르게 나온 학생들에 대한 연구의 필요 등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배지현, "현대음악 활용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Webster의 MCTM적용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은실, "초·중등학생들의 조건별 음악 창작 과정 연구 : 과제 유형별, 음악능력별, 학년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3 Kaufman, J. C., "창의성평가" 학지사 2008

      4 박은실,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61-88, 2012

      5 Sternberg, R,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시그마프레스 2004

      6 Kaufman, J. C., "b. A Comparison of expert and nonexpert raters using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20 (20): 171-178, 2008

      7 Long, H., "Validity of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 evidence with three groups of judges an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sampl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2012

      8 Younker, Bett. A., "Thought Processes and Strategies of eight, eleven, and forteen-year-old Students While Engaged in Music Composition" Northwestern University 1997

      9 Hickey, M. M., "Technology standards for music educators" 61 (61): 95-97, 2000

      10 Webster, P., "Rating scales and their use in assessing children’s music compositions" 6 (6): 28-44, 1995

      1 배지현, "현대음악 활용학습이 초등학교 4학년 어린이들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Webster의 MCTM적용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2 박은실, "초·중등학생들의 조건별 음악 창작 과정 연구 : 과제 유형별, 음악능력별, 학년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3 Kaufman, J. C., "창의성평가" 학지사 2008

      4 박은실, "창의성 연구의 다양한 시각과 함의들" 한국음악교육학회 41 (41): 61-88, 2012

      5 Sternberg, R, "지혜, 지능, 그리고 창의성의 종합" 시그마프레스 2004

      6 Kaufman, J. C., "b. A Comparison of expert and nonexpert raters using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20 (20): 171-178, 2008

      7 Long, H., "Validity of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 evidence with three groups of judges and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sample"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Education 2012

      8 Younker, Bett. A., "Thought Processes and Strategies of eight, eleven, and forteen-year-old Students While Engaged in Music Composition" Northwestern University 1997

      9 Hickey, M. M., "Technology standards for music educators" 61 (61): 95-97, 2000

      10 Webster, P., "Rating scales and their use in assessing children’s music compositions" 6 (6): 28-44, 1995

      11 Hickey, M, "Musical creativity - multidisciplinary research in theory and practice" Psychology Press 97-110, 2006

      12 Hickey, M. M, "More or less creative? a comparison of the composition procresses and products of “highly-creative”and “less-creative”children composers" 2001

      13 박은실, "M. Hickey와 J. Kratus의 음악창작과 음악창의성 연구 비교" 한국음악교육학회 39 : 27-51, 2010

      14 Hass, R. W., "Historiometry as extension of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 a comment on Kaufman and Baer" 25 (25): 356-360, 2013

      15 Csikszentmihalyi, M.,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3-335, 1999

      16 Plucker, J., "Handbook of Cre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5-61, 1999

      17 Baer, J., "Extension of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to nonparallel creative products" 16 (16): 113-117, 2004

      18 Kaufman, J. C., "Expertise, domains, and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43 (43): 223-233, 2009

      19 Kaufman, J. C., "Creativity stereotypes and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22 (22): 200-205, 2010

      20 Amabile, T. M., "Creativity in Context" Westview 1996

      21 Webster, P., "Creative thinking in music: advancing a model" 2002

      22 Baer, J., "Creative teachers, creative students" Allyn & Bacon 1997

      23 Lipscomb, S. D., "Creative Music Project" Psychology Press 97-110, 2003

      24 Gardner, H., "Creating Minds" BasicBooks 1993

      25 Younker, B. A., "Comparing and modeling musical thought processes of the expert and novice composers" 128 : 25-36, 1996

      26 Kaufman, J. C., "Captions, consistency, creativity, and the Concensual Assessment Technique : New evidence of reliability" 2 (2): 96-106, 2007

      27 John Baer, "Brief Report: Rater-Domain Interactions in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대한사고개발학회 19 (19): 87-92, 2009

      28 Wilson, S., "An exploration of children's musical compositions" 43 (43): 94-111, 1995

      29 Hickey, M. M., "An application of Amabile's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for rating the creativity of children's musical compositions" 49 (49): 234-244, 2001

      30 Beth A. Hennessey, "A Multi-cultural Application of the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대한사고개발학회 18 (18): 87-100,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8-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7-09-0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Music Educators Society ->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3 1.008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