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만화 전시기획의 패러다임 변화와 실천 전략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의 국내 만화전시 동향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32131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문화예술경영학과 , 2011. 2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8.1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evolution of paradigm and the strategy of the new practice for cartoon exhibition planning : Based on the Korean cartoon exhibition planning trends of the 2000's

      • 형태사항

        vi, 131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신의
        참고문헌 : p. 124-128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9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만화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만화전문기관이 설립되고 만화페스티벌이 개최되면서 주목되기 시작한 만화전시에 대해 2000년 이후의 한국 만화전시 동향...

      본 논문은 199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만화문화의 확산과 더불어 만화전문기관이 설립되고 만화페스티벌이 개최되면서 주목되기 시작한 만화전시에 대해 2000년 이후의 한국 만화전시 동향을 중심으로 패러다임의 변화와 전시기획의 실천 전략을 살펴본 연구이다. 본 연구는 만화 전시가 만화가와 작품에 대해 이해를 돕는 단순한 관람용 도구로서가 아니라 만화가 지닌 다양한 요소들을 전시를 통해 적극적으로 선보이게 됨으로써 만화의 본질적 개념을 반영하고 확장시키는 능동적 주체로서 독립적인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시각에서 출발하였다.
      ‘만화를 전시한다’는 행위의 대상은 한국 만화의 역사와 그 역사를 일궈낸 작가 그리고 그들의 작품을 조명하는 것이며 이 전시물들을 대규모 공간에서 선보이면서 단순히 읽는 만화에서 시각적으로 보는 매체로서의 만화로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관심을 자극했다. 만화가와 만화 그리고 그 안의 구성되어지는 다양한 요소들을 세분화하고 분석하며 기획에 따라 다시 조합하여 재현하는 방식의 형태로 진행해온 만화전시는 만화의 문화적 영향력을 과시하며 여러 분야를 넘나드는 통합적 매체로서 그 영역을 확장하기 시작했다. 만화 작가들의 개인전과 그룹전시 그리고 전시기획 공모사업을 통한 소규모의 전시부터 대규모 예산이 투여된 축제들에서의 전시들 그리고 국제교류를 통한 국내에서의 해외 작품 전시와 해외로 나가는 국제전시 등 다양한 전시들은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 해주고 있다. 원화를 액자에 넣어 벽면에 배치하는 전통적인 전시형태와 함께 다양한 오브제와 설치기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장비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전시들은 만화전시의 새로운 가능성들을 보여주며 만화만이 갖고 있는 상상력들을 공간에 실재할 수 있게 하기에 충분했다. 작은 사이즈의 만화 책 속에서만 보던 만화 칸과 말풍선, 주인공의 얼굴들을 커다란 수퍼 그래픽으로 보거나 작가의 숨결이 담긴 원화의 형태로 접한다는 것은 시각적 즐거움만을 뿐 만 아니라 전시 작품과 작가, 독자 간의 창조적인 커뮤니케이션 기회 제공의 의미가 크다.
      199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 만화전시는 다양한 주제를 바탕으로 수많은 전시들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만화 전시에 대한 내용적, 형식적 체계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과거의 만화 전시가 이미지 중심의 평면적 전시였다면 최근 만화전시의 동향은 내용, 공간, 주제 등에 따라 구성과 연출 그리고 작품 장르 또한 탈장르적이며 융복합적인 양상을 띠게 된다. 이러한 만화전시의 동향은 과거의 만화전시 부터 최근까지 이루어진 전시들의 역사를 짚어보면서 살펴보게 되고 만화 전시의 다양한 변화를 4가지 개념으로 구분하면서 앞으로의 만화 전시 방식에 대한 전망을 제시한다. 만화전시의 사례 연구에서는 본 연구자가 직접 진행한 만화 전시들을 중심으로 만화 전시 패러다임 변화에 대해 4가지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만화전시는 이제 만화만을 다루던 전시의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실천 전략을 갖추어야 할 때이다. 현대의 시각예술은 문화의 변동과 테크놀로지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예술의 발달은 만화 전시를 다양한 예술과의 결합으로 이끌어 만화가 엘리트 문화와 대비되는 저급문화로 치부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각예술문화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만화 전시는 시각문화 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탈장르화를 추구해야하며 현대사회의 다양한 관람객의 눈높이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고정 관념을 탈피하고 여러 실험적인 전시를 꾸준히 시도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만화의 양적 질적 성장과 함께 작가와 작품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것을 연구하여 전시라는 형태로 나타냄으로써 만화와 독자의 일방적 소통이 아닌 작가와 연구자 그리고 독자들이 상호 소통 할 수 있는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미흡하나마 본 논문을 기초로 만화전시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생산되고 이에 관련한 연구들이 다각적으로 이루어지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xhibition plan and practical strategy and the modification of paradigm of cartoon exhibition introduced through the open of cartoon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cartoon-specialized institution as well as the spread o...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xhibition plan and practical strategy and the modification of paradigm of cartoon exhibition introduced through the open of cartoon festival and the establishment of cartoon-specialized institution as well as the spread of cartoon culture since mid-1990s, around the trend of Korean cartoon exhibition after 2000. This study begins with a view that the cartoon exhibition can be the independent object of study as the active subject to reflect and extend the essential concept of cartoon, as the cartoon exhibition is not only the instrument for watching to help audience understand cartoonist and product, but actively shows the various components of cartoons through display.
      The object of the action, 'exhibit the cartoon' is to highlight the history of Korean cartoon and the cartoonists who have created the history and their products, and as this exhibition was displayed in large space, audience's interest was turned from the cartoon for simple reading into the media for visual watching. The cartoon exhibition which has proceeded by means of subdividing and analyzing the cartoonists and cartoons and their various components and recombining and representing them according to the project, begins to expand the scope as the comprehensive media across the several fields, showing the cultural effect of cartoon. The individual exhibition, group exhibition of cartoonists, small exhibition through the public subscription of exhibition project and the exhibitions in the festivals invested with large scale of budget, and other various exhibitions such as the exhibition of foreign products in Korea or the international exhibition to be opened abroad are providing audiences with the fresh experiences.
      The traditional form of exhibition setting a framed original picture on the wall as well as the various objets, installation techniques and other exhibitions efficiently using the multimedia equipments show a new possibility and are enough to realize the imagination only displayed by cartoon in actual space. Watching the cartoon partitions and word balloons only shown in small size comic book through the large super graphic or experiencing the form of original picture including the cartoonist's spirit is the highly significant opportunity of not only the visual pleasure, but also the creative communication among cartoons, cartoonists and readers.
      Though the cartoon exhibitions have been often performed based on the various subjects from the latter of 1990s to the present, in fact the study on the system of contents and forms of cartoon exhibition is unsatisfactory. The previous cartoon exhibition was flat exhibition focused on image, while recent trend of cartoon exhibition, the constitution, direction, and even the genre of cartoon present the aspect of free genre(genre-over) and convergence, according to contents, constitutions, subjects. Through this tendency of cartoon exhibition, the history of exhibition from the past to present was investigated and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cartoon exhibitions are divided into four concepts, and a prospect for the method of future cartoon exhibition is suggested. And in the case study on cartoon exhibition, 7 issues for the change of cartoon exhibition paradigm are analyzed around the Korean cartoon exhibitions.
      Now is the time to prepare the fresh practical strategy by escaping from the form of exhibition only dealing with cartoon. This development of visual arts leads to the combination between cartoon exhibition and various arts and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cartoon into the fresh visual arts culture rather than low culture contrary to elite culture.
      The cartoon exhibition should pursue the free-genre movement in order to play a main role in the development of visual culture, and several experimental exhibitions should be continuously attempted and existing fixed idea has to be excluded to adjust to the level of various audiences in modern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establish the field of intercommunication among cartoonists, researchers and readers, rather than the field of one-sided communication between cartoons and readers, by developing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artoon, newly highlighting and examining the cartoonists and cartoons and showing them as a form of exhibition.
      It is hoped that though this thesis is insufficient, it may be basis to produce the various discourses about cartoon exhibitions and be opportunity to conduct the related studies in many w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II. 만화전시의 이론적 접근과 변화의 고찰 6
      • 1. 만화 전시의 이론적 접근 6
      • I. 서론 1
      •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4
      • II. 만화전시의 이론적 접근과 변화의 고찰 6
      • 1. 만화 전시의 이론적 접근 6
      • (1) 만화 전시의 개념 9
      • (2) 만화 전시의 의의와 기능 11
      • (3) 만화 전시의 특성 14
      • 2. 2000년 이후의 만화전시 변화의 고찰 16
      • (1) 한국 만화전시의 흐름 16
      • (2) 2000년 이후의 한국 만화전시 변화의 고찰 19
      • 1) 만화 페스티벌의 전시 동향과 유형 20
      • 2) 만화 박물관의 전시 동향과 유형 45
      • 3) 만화와 미술의 크로스 오버 54
      • 4) 카툰 전시 58
      • III. 국내외 전시 사례로 본 만화전시 기획의 패러다임 구축 66
      • 1. 국내 만화전시 사례 67
      • (1) 전시연출의 탈장르적 현상과 미디어믹스 : Beyond the Frame 일상에서 만나는 또 다른 세상 (2003) 67
      • (2) 새로운 문화 현상에 대한 동향 분석 : 웹툰예찬 (한국만화박물관, 2004) 69
      • (3) 전시를 통한 만화 작가의 위상 제고: 김동화 특별전 (BICOF, 2008) 75
      • (4) 만화의 역사적 가치와 예술적 지위 확보 : 한국만화 100주년 기념 특별전 (국립현대미술관, 2009) 82
      • 2. 해외 만화전시 사례 103
      • (1) 최초의 대규모 국제교류 전시: 앙굴렘 국제만화페스티벌, 한국만화특별전(프랑스, 앙굴렘, 2003) 103
      • (2) 통합적 관점에서의 박물관 연구기능 구축: 상상박물관 Les Muses Imaginaires (프랑스, 앙굴렘, CNBDI, 2002) 107
      • (3) 작가 중심의 테마파크 형 전시 공간 : 미타카의 숲, 지브리 뮤지움 (일본, 도쿄, 2001) 109
      • IV. 만화 전시기획의 새로운 실천 전략 112
      • 1. 통합적 미디어로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구축 112
      • 2. 환경변화에 따른 능동적 대응 114
      • 3. 전시기획자의 전문성 강화 및 전문 인력 양성 117
      • 4. 블록버스터 형 전시 개발을 통한 만화 전시의 경쟁력 강화 119
      • V. 결론 121
      • 참고문헌 124
      • Abstract 12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