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베이비 부머와 Y 세대의 관광 행동과 행복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712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극명한 세대 간 여가 인식과 소비 차이를 보이는 예비 노년층인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자)와 그 자녀 세대인 Y세대(1979~1985년 사이 출생) 간의 관광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그리고 최근 한국인들의 낮은 행복감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주요 사회 문제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 만족감이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관광 동기 가운데 ‘업무와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신체적 건강을 높이기 위해’, ‘자존감을 기르기 위해’, ‘대인관계를 높이기 위해’, ‘다른 지역의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싶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두 세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Y세대는 베이비붐세대 보다 업무와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특히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베이비부머는 Y세대 보다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존감을 기르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타 지역의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싶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만족감은 삶의 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베이비부머들과 Y세대의 서로 다른 관광 동기와 행동차이를 반영한 맞춤화된 관광 상품 및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관광은 우리 사회의 행복감을 고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처방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극명한 세대 간 여가 인식과 소비 차이를 보이는 예비 노년층인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자)와 그 자녀 세대인 Y세대(1979~1985년 사이 출생) 간의 관광 행동에는 어떠한 ...

      본 연구의 목적은 극명한 세대 간 여가 인식과 소비 차이를 보이는 예비 노년층인 베이비부머(1955년~1963년 출생자)와 그 자녀 세대인 Y세대(1979~1985년 사이 출생) 간의 관광 행동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탐색해 보고자 함이다. 그리고 최근 한국인들의 낮은 행복감은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주요 사회 문제로 거론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 만족감이 사람들의 삶의 만족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양한 관광 동기 가운데 ‘업무와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신체적 건강을 높이기 위해’, ‘자존감을 기르기 위해’, ‘대인관계를 높이기 위해’, ‘다른 지역의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싶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두 세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Y세대는 베이비붐세대 보다 업무와 일상의 스트레스를 풀기 위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특히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베이비부머는 Y세대 보다 신체적 건강을 증진시키고, 자존감을 기르고,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타 지역의 사람들을 만나 교류하고 싶어 여행을 간다는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관광 만족감은 삶의 만족과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베이비부머들과 Y세대의 서로 다른 관광 동기와 행동차이를 반영한 맞춤화된 관광 상품 및 프로그램 기획이 필요함을 시사하며, 관광은 우리 사회의 행복감을 고양하기 위한 효과적인 처방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tion differences of tourism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tourism valu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Baby boomers(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Generation Y(born between 1979 and 1985).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ourist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veral tourism motivation (e.g., relieving stress, enhancing physical health and self-esteem,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teracting with loc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aby boomers and Generation Y. The generation Y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ourism for relieving their stress than Baby boomers. Second, the tourist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atisfaction with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ur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tion differences of tourism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tourism valu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Baby boomers(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Generation Y(born between 1979 and 1985). In additi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eration differences of tourism motivation, the perception of tourism value,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in Baby boomers(born between 1955 and 1963) and Generation Y(born between 1979 and 1985).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ourist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this study.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veral tourism motivation (e.g., relieving stress, enhancing physical health and self-esteem, buil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others, interacting with loc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aby boomers and Generation Y. The generation Y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ourism for relieving their stress than Baby boomers. Second, the tourist satisfaction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on Satisfaction with Life and subjective happiness. The results suggest that tour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hancing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