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의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경험 =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Church Schools on th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36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가 장애학생 교육 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장애학생 교육 시 경험하는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를 연구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교회에서 장애인부 교사로 역할을 하고 있는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부 교사는 장애인부가 장애학생과 부모 모두에게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장애인부 교사는 교회에서 장애학생에게 일상생활기술을 지도하고,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학생의 가족과 협력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부 교사들은 교회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장애인부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장애인부에 대해 장애학생 부모들이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장애인부 교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가 장애학생 교육 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장애학...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학생 교육에 대한 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교회학교 장애인부 교사가 장애학생 교육 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장애학생 교육 시 경험하는 어려운 점은 무엇인지를 연구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6개의 교회에서 장애인부 교사로 역할을 하고 있는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부 교사는 장애인부가 장애학생과 부모 모두에게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장애인부 교사는 교회에서 장애학생에게 일상생활기술을 지도하고,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학생의 가족과 협력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장애인부 교사들은 교회에서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장애인부 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장애인부에 대해 장애학생 부모들이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고, 장애인부 교사를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ole a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ifficulties in their role performances. In order to carry this research, 6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6 church school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As a result, teachers thought that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necessary for par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taught daily living skills such as behavior modifications, soci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o the 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only faith education. Furthermore, they cooperated with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a delivering notices and parent counseling. However, at present, there are not adequate education plans, evaluations,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others in church schools. And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eeded. Moreover, more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volunteers are need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ole a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ifficulties in the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n educa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role as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difficulties in their role performances. In order to carry this research, 6 teachers in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6 church school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As a result, teachers thought that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necessary for parents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taught daily living skills such as behavior modifications, social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to the 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only faith education. Furthermore, they cooperated with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via delivering notices and parent counseling. However, at present, there are not adequate education plans, evaluations, curriculum, teacher training and others in church schools. And the right understanding about the depart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of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needed. Moreover, more human resources such as teachers, volunteers are nee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연구도구
      • 3. 자료 수집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연구도구
      • 3. 자료 수집
      • 4. 자료 분석
      • Ⅲ. 연구 결과
      • 1. 장애학생과 부모에게 필요한 장애인부
      • 2. 장애인부 교사로서 역할하기
      • 3. 장애학생의 교육에 함께하는 장애인부 되기
      • Ⅳ. 논의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