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건강장애 영⋅유아를 위한 병원파견학급의 경험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병원파견학급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병...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36380
2017
Korean
379.05
KCI등재
학술저널
67-83(1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건강장애 영⋅유아를 위한 병원파견학급의 경험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병원파견학급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병...
이 연구는 건강장애 영⋅유아를 위한 병원파견학급의 경험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요구를 알아보고 병원파견학급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병원 파견학급에 자녀를 보냈거나 현재 자녀를 보내고 있는 10명의 건강장애 영⋅유아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각각의 주제는 병원파견학급에 대한 기대, 병원파견학급에서의 여러 가지 경험, 병원파견학급에 대한 바람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논의에서는 건강장애 영⋅유아를 위한 병원파견학급을 경험한 학부모들의 인식과 요구를 토대로 병원파견학급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thods to improve hospital classrooms based on parents’ awareness and demands about hospital classrooms for their health impaired childre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mall group interview w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thods to improve hospital classrooms based on parents’ awareness and demands about hospital classrooms for their health impaired children.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a small group interview with 10 parents who have experience in sending their children to a hospital classroom. Three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Three themes were (1) expectations of hospital classrooms, (2) experiences of hospital classrooms, (3) desires for hospital classroom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activating hospital classrooms were provided.
목차 (Table of Contents)
지적장애 학생의 단어 학습을 위한 한글 읽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 연구
특수교육보조원이 인식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바람직한 역할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