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치매예방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국내문헌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3031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유병률의 세계적인 증가추세로 치매예방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치매예방프로그램 논문을 수집, 분석, 종합...

      알츠하이머와 같은 치매 유병률의 세계적인 증가추세로 치매예방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치매예방프로그램 논문을 수집, 분석, 종합하여 체계적으로 문헌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위하여, 자료검색은 KoreaMed, Riss4u 및 9개의 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고 ‘치매예방’과 ‘인지기능’을 키워드로 전체검색 하였다. 2000년부터 2014년 사이에 게재된 치매예방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50편의 연구 논문이 검색되었고 자료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9편의 논문이 선별되었다. 치매예방프로그램의 종류를 분석한 결과, 운동프로그램이 전체 29편중 11편(37.9%), 통합프로그램 9편(31.0%), 그리고 인지강화프로그램 4편(13.8%)이었다. 대부분의 연구(19편, 65.5%)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고 7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기노인에 대한 효과적인 치매예방과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ue to the increasing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such as Alzheimer disease, there is a growing public health concern about its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for a narrative synthesis and critical appraisa...

      Due to the increasing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such as Alzheimer disease, there is a growing public health concern about its prev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for a narrative synthesis and critical appraisal of current published research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mong Korean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the data bases KoreaMed, Riss4u and 9 Nursing Journals were searched using the key words dementia prevention and cognitive function.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2014 and related to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were reviewed. Two hundred-fifty references were searched but only 29 studies met our inclusion criteria to review. We found that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focused on: exercise, 11 studies (37.9%); multi-therapy, 9 studies (31.0%); and cognitive enhancement activity, 4 studies(13.8%). The majority of studies (n=19, 65.5%) included adults over 65 while two studies targeted adults over 75. The current literature indicates that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nd provide appropriate and effective dementia prevention programs among Korean older adul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희영, "환경보강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17 (17): 128-138, 2005

      2 국민건강보험, "행복한 동행 장기 요양보험"

      3 최동원, "태극권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하지근력, 관절의 유연성, 균형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8 (18): 177-185, 2011

      4 송준아,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이 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15 (15): 62-74, 2013

      5 이윤미,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19 (19): 787-796, 2007

      6 오희, "치매노인 주 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및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157-166, 2009

      7 신미경,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613-625, 2008

      8 정복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17-325, 2013

      9 최연희,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346-357, 2013

      10 이영휘,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 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1 (21): 617-627, 2009

      1 소희영, "환경보강프로그램이 시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17 (17): 128-138, 2005

      2 국민건강보험, "행복한 동행 장기 요양보험"

      3 최동원, "태극권 프로그램이 파킨슨병 환자의 하지근력, 관절의 유연성, 균형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 18 (18): 177-185, 2011

      4 송준아, "치매의 행동심리증상이 요양시설 간호제공자의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인간호학회 15 (15): 62-74, 2013

      5 이윤미, "치매예방 통합프로그램이 경증인지 장애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 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19 (19): 787-796, 2007

      6 오희, "치매노인 주 부양가족의 건강상태, 부양부담감 및 삶의 질 연구" 정신간호학회 18 (18): 157-166, 2009

      7 신미경, "체력에 따른 그룹별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지각된 건강 상태, 체력, 우울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0 (20): 613-625, 2008

      8 정복희,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인지장애노인과 치매환자에게 적용한 인지작업치료의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317-325, 2013

      9 최연희,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346-357, 2013

      10 이영휘, "저소득층 중년여성의 치매 지식, 태도, 자기효능과 예방행위와의 관계연구" 한국성인간호학회 21 (21): 617-627, 2009

      11 김연화, "재가노인을 위한 노-노(No-老)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기능,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인간호학회 13 (13): 101-108, 2011

      12 한영란, "재가 노인을 위한 집단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0 (40): 724-735, 2010

      13 통계청, "장래인구추계"

      14 추수경,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37 (37): 1049-1060, 2007

      15 최애나, "음악치료 활동이 주간보호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6 (6): 103-121, 2010

      16 김현주, "요가치료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7 (7): 125-148, 2011

      17 최병찬, "여가활동이 노인성 치매예방에 미치는효과" 1477-1487, 2000

      18 김수현, "신체적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7 (27): 775-788, 2007

      19 김순경, "시니어댄스와 탄력밴드운동이 고령여성의 혈중지질과 혈중 BDNF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연구학회 29 (29): 281-301, 2011

      20 김찬회, "수중운동 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및 알츠하이머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1 (51): 627-637, 2012

      21 손연희, "산업화 시대 퇴직 노인을 위한 치매예방프로그램의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8 (8): 1601-1608, 2013

      22 최연희, "레크리에이션병합 체조프로그램이 후기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2 (42): 843-852, 2012

      23 김윤경, "노인전문병원 입원 노인의 인지훈련 프로그램이 인지기능, 스트레스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기초간호학회 12 (12): 140-147, 2010

      24 양난주,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노인돌봄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4 (44): 31-56, 2013

      25 최인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가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2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인의료비지출증가와 효율적관리방안" 2011

      27 임경춘, "노인의 연령별 우울정도와 영향요인: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비교" 정신간호학회 21 (21): 1-10, 2012

      28 보건복지부, "나에게 힘이 되는 치매 가이드 북" 중앙치매센터 2015

      29 한지아, "고령 여성들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참여가 신체조성, 우울증 및 치매 위험 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명과학회 21 (21): 424-434, 2011

      30 N. McLaren, "Systematic review of non-pharmacologic interventions to delay functional decline in community-dwelling patients with dementia" 17 (17): 655-666, 2014

      31 K. Yaffe, "Nonpharmacologic treatment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dementia" 19 (19): 372-381, 2013

      32 Edo Richard, "Methodological challenges in designing dementia prevention trials — The European Dementia Prevention Initiative (EDPI)" Elsevier BV 322 (322): 64-70, 2012

      33 N. Coley, "Dementia prevention: methodological explanations for inconsistent results" 30 (30): 35-66, 2008

      34 보건복지부, "2012년 치매 유병률 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