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연안 고등어와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시장 비교가치사슬을 글로벌 수급, 노르웨이 국내 생산-수입, 원료 유통, 반제품 또는 완제품 가공, 최종 제품 유통, 소비 등 6단계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633100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67-85(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연안 고등어와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시장 비교가치사슬을 글로벌 수급, 노르웨이 국내 생산-수입, 원료 유통, 반제품 또는 완제품 가공, 최종 제품 유통, 소비 등 6단계로 ...
본 연구는 국내 연안 고등어와 노르웨이 고등어의 한국 시장 비교가치사슬을 글로벌 수급, 노르웨이 국내 생산-수입, 원료 유통, 반제품 또는 완제품 가공, 최종 제품 유통, 소비 등 6단계로 분석한다. 연구 방법론은 수산업체부터 정부기관까지 32개 산업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서울 소비자 400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 등 질적-양적 접근 방식을 결합해 분석을 활용했다. 노르웨이는 품질 중심의 생산, 동남아시아-중국의 효율적인 해외 가공 네트워크, 노르웨이 수산물위원회의 공격적인 마케팅 등 수요 중심의 가치사슬을 통해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한국 연안 고등어 산업은 연중 비선택적 어업으로 인한 품질 불일치, 높은 인건비 및 고령화 인력으로 인한 처리 능력 제한, 소비자 직접 마케팅 채널 부족 등 어려움에 직면한 공급자 중심의 가치사슬을 따르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시장의 가치사슬의 구조적 차이를 파악하고 국내 고등어 산업에 대한 전략적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보다 수요 중심적인 접근으로의 전환 필요성을 강조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value chains of domestically caught coastal mackerel and Norwegian mackerel within the Korean market, across six stages: global supply and demand,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from Norway, distribution of raw mac...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value chains of domestically caught coastal mackerel and Norwegian mackerel within the Korean market, across six stages: global supply and demand, domestic production and imports from Norway, distribution of raw mackerel, processing into semi-processed or final products, distribution of final products, and consump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combin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32 industry stakeholders (from fishing companies to government agencies) and an online survey of 400 Seoul consumers, utilizing conjoint analysis. Norway maintains market dominance through a demand-driven value chain, characterized by quality-focused production, efficient overseas processing networks in Southeast Asia and China, and aggressive marketing by the Norwegian Seafood Council. In contrast, Korea's coastal mackerel industry follows a supplier-driven value chain, facing challenges such as inconsistent quality due to year-round non-selective fishing, limited processing capabilities due to high labor costs and aging workforce, and lack of direct consumer marketing channels. The study identifies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Korean market's value chain and suggests strategic improvements for the domestic mackerel industry while highlighting the need for a shift toward a more demand-oriented approach.
어류 양식 부문 디지털 아쿠아 트윈 플랫폼 기술의 개발 및 활용 편익 추정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수산물 수출기업의 국제 인증 취득·유지 결정 요인 분석
일본의 도매시장법 개정 후 수산물도매시장의 최근 변화와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