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구지역 일반은행의 존재 양상 = The Presence Aspects of the Daegu District’s Commercial Bank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ce aspects of commercial banks-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status of existe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in the Daegu distric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until 1920s, when the merger among commercial banks started to take place. The analysis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history of banks during the Great Han Era and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The two commercial banks, Sun-nam Bank and Dae-gu Bank, were established in 1910s followed by another two banks, Kyung-il Bank and Kyung-sang Official Bank, in 1920s. In 1910s, Dae-gu Bank took the lead in most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against its competitor, Sun-nam Bank. In 1920s, Dae-gu Bank’s management performance was not worse than that of its three competitors. Especially,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Dae-gu Bank was, by far, better than that of Kyung-nam Bank in Busan, the merger partner in 1928.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non-economic factors played key roles rather than the economic factors in the merger between Dae-gu Bank and Kyung-nam Bank. Such conclusion seemed to align with the result of Jung Tae-hern’s study; however, this paper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ng the actual economic factors, which was not fully explained in Jung’s study, therefore, it improved the validity in supporting the conclusion.
      번역하기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ce aspects of commercial banks-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status of existe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in the Daegu distric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until 1920s, when the merger among commercial b...

      This paper analyzed the presence aspects of commercial banks-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status of existe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in the Daegu district,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until 1920s, when the merger among commercial banks started to take place. The analysis suggested a new interpretation of the modern history of banks during the Great Han Era and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The two commercial banks, Sun-nam Bank and Dae-gu Bank, were established in 1910s followed by another two banks, Kyung-il Bank and Kyung-sang Official Bank, in 1920s. In 1910s, Dae-gu Bank took the lead in most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against its competitor, Sun-nam Bank. In 1920s, Dae-gu Bank’s management performance was not worse than that of its three competitors. Especially,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Dae-gu Bank was, by far, better than that of Kyung-nam Bank in Busan, the merger partner in 1928. On the basis of this analysis, the non-economic factors played key roles rather than the economic factors in the merger between Dae-gu Bank and Kyung-nam Bank. Such conclusion seemed to align with the result of Jung Tae-hern’s study; however, this paper analyz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ng the actual economic factors, which was not fully explained in Jung’s study, therefore, it improved the validity in supporting the conclu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말 및 일제강점기 근대은행사의 전체상을 묘사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일제강점기, 특히 일반은행의 합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20년대까지 대구지역 일반은행의 존재 양상, 즉 설립과정 및 존립 현황과 경영성과들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일반은행은 1910년대에 선남은행과 대구은행 2개가 존재했으며 1920년대에는 경일은행과 경상공립은행이 설립되어 4개가 존재했다. 1910년대에 대구은행은 경쟁은행인 선남은행에 비해 거의 모든 면에서 우위를 점하였고, 1920년대에도 선남은행, 경일은행, 경상공립은행 등과 평가해 보면, 대구은행이 적어도 다른 은행들보다는 경영상태가 나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28년 대구은행과 합병 상대인 부산의 경남은행보다는 경영성과는 훨씬 나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대구은행의 합병은 경제적 요인보다는 경제 외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확실시 된다는 결론도 도출할 수 있다. 이런 결론은 정태헌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 같지만, 실질적 경제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경영성과의 분석에 입각한 결론이므로 보다 높은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말 및 일제강점기 근대은행사의 전체상을 묘사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일제강점기, 특히 일반은행의 합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20년대까지 대구지역 일반은행의 존재 양상, 즉 ...

      본고는 한말 및 일제강점기 근대은행사의 전체상을 묘사하는데 일조를 하고자 일제강점기, 특히 일반은행의 합병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1920년대까지 대구지역 일반은행의 존재 양상, 즉 설립과정 및 존립 현황과 경영성과들을 분석하였다. 대구지역의 일반은행은 1910년대에 선남은행과 대구은행 2개가 존재했으며 1920년대에는 경일은행과 경상공립은행이 설립되어 4개가 존재했다. 1910년대에 대구은행은 경쟁은행인 선남은행에 비해 거의 모든 면에서 우위를 점하였고, 1920년대에도 선남은행, 경일은행, 경상공립은행 등과 평가해 보면, 대구은행이 적어도 다른 은행들보다는 경영상태가 나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1928년 대구은행과 합병 상대인 부산의 경남은행보다는 경영성과는 훨씬 나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런 분석을 토대로 대구은행의 합병은 경제적 요인보다는 경제 외적 요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확실시 된다는 결론도 도출할 수 있다. 이런 결론은 정태헌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 같지만, 실질적 경제적 요인이라고 볼 수 있는 경영성과의 분석에 입각한 결론이므로 보다 높은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인물자료) 사이트"

      3 윤석범, "한국근대금융사연구" 세경사 1996

      4 정태헌, "조선총독부의 慶尙合同銀行 경영권 장악 과정과 일본인은행으로의 흡수" 고려사학회 (40) : 213-256, 2010

      5 조선총독부재무국, "조선금융사항참고서"

      6 홍성찬, "일제하 평양지역 일본인의 은행설립과 경영 : 삼화․평양․대동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3 (3): 379-403, 1996

      7 최상오, "일제하 조선의 일반은행에 관한 연구-조선상업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35 : 175-198, 2006

      8 박선희, "일제의 화폐정리 후 금융기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7-102, 2003

      9 김호범, "식민지기 본점은행의 설립과 해체: 부산 3행의 경우" 한국경제지리학회 12 (12): 681-701, 2009

      10 김동철, "동래은행의 설립과 경영" 9 : 45-80, 2001

      1 "한국역사정보통합시스템"

      2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한국근현대인물자료) 사이트"

      3 윤석범, "한국근대금융사연구" 세경사 1996

      4 정태헌, "조선총독부의 慶尙合同銀行 경영권 장악 과정과 일본인은행으로의 흡수" 고려사학회 (40) : 213-256, 2010

      5 조선총독부재무국, "조선금융사항참고서"

      6 홍성찬, "일제하 평양지역 일본인의 은행설립과 경영 : 삼화․평양․대동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3 (3): 379-403, 1996

      7 최상오, "일제하 조선의 일반은행에 관한 연구-조선상업은행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일경상학회 35 : 175-198, 2006

      8 박선희, "일제의 화폐정리 후 금융기관의 공간적 분포와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 6 (6): 7-102, 2003

      9 김호범, "식민지기 본점은행의 설립과 해체: 부산 3행의 경우" 한국경제지리학회 12 (12): 681-701, 2009

      10 김동철, "동래은행의 설립과 경영" 9 : 45-80, 2001

      11 박영규, "대구재계선각자들, 정재학편(6)" 235 : 41-42, 1981

      12 권재중, "금융기관론" 율곡출판사 2013

      13 차철욱, "구포[경남]은행의 설립과 경영" 9 : 5-43, 2001

      14 권대웅, "경주 부호 崔浚의 생애와 독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5) : 277-307, 2013

      15 조선민보사 편집국, "경북산업지"

      16 "각종 신문(동아일보, 매일신보, 시대일보, 신한민보, 조선민보, 중외일보 등)"

      17 문정창, "軍國日本朝鮮强占36年史(中)" 백문당 1966

      18 裵永穆, "植民地 朝鮮의 通貨 金融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19 張起敦, "植民地 朝鮮에서 近代的 金融機關의 生成과 變化에 關한 硏究 : 1876년~1945년" 慶星大學校 大學院 1998

      20 中村資良, "朝鮮銀行會社要錄" 東亞經濟時報社 1921

      21 大石嘉一郞, "日本帝國主義史2(世界大恐慌期)" 東京大學出版會 1987

      22 金浩範, "日帝下 植民地金融의 構造와 性格에 關한 硏究"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1

      23 三輪如鐵, "大邱一斑" 玉村書店 19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5 0.63 0.7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