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실존철학의 죽음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197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내가 나 자신과 관계하는 방식으로서의 실존적 죽음이 나의 삶에 끼치는 변혁의 힘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나아가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철학의 실천적인 역...

      이 글은 내가 나 자신과 관계하는 방식으로서의 실존적 죽음이 나의 삶에 끼치는 변혁의 힘이 무엇인지 규명하고, 나아가 죽음의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철학의 실천적인 역할을 강조하고자 한다. 이전에는 전통적인 종교나 철학이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지금은 현대의학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의학이 죽음의 공포를 일시적으로 잊게 해주는 처방은 내릴 수 있겠지만, 죽음의 공포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대안을 제공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 근본적인 대안은 철학에서 찾을 수 있다. 왜냐하면 죽음은 인간의 본래적 실존을 가능케 하는 계기로서 ‘죽음의 인간화’를 촉구하는 삶의 본질적이고 근본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며, 또한 어떠한 경우에도 실존적 인간은 죽음에 직면하여 불안해하거나 허무해하기보다는 오히려 죽음을 통해 본래의 자기로 되돌아가도록 자신을 일깨우고 각성시킴으로써 죽음의 불안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물론 실존철학자마다 서로 다른 각도에서 죽음에 대해 논하지만, 죽음에 대한 본래적 이해와 그러한 관계를 ‘주체적’으로 승화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만큼은 그들 모두 공통된 입장을 견지한다. 이 점을 염두에 둔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실존철학에서의 죽음이론을 다각적으로 모색함으로써 오늘을 사는 나에게 진정한 죽음의 의미가 무엇이며, 그를 통해 획득되는 삶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재조명해보는 데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들어가기
      • 2. 실존, 유한성 그리고 죽음
      • 3. 죽음과 시간성
      • 4. 죽음과 불안
      • 5. 나가기
      • 1. 들어가기
      • 2. 실존, 유한성 그리고 죽음
      • 3. 죽음과 시간성
      • 4. 죽음과 불안
      • 5. 나가기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승균, "호스피스 철학"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

      2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3 : 9-36, 2013

      3 박병준, "키르케고르의 ‘죄(성)’의 개념에 대한 인간학적 해석" 한국철학회 (93) : 159-184, 2007

      4 강영계, "죽음학 강의" 새문사 2012

      5 정동호, "죽음의 철학" 청람 1992

      6 Rahner, K., "죽음의 신학" 가톨릭출판사 1987

      7 천선영, "죽음을 살다 _ 우리 시대 죽음의 의미와 담론" 나남 2012

      8 Kierkeggard, S., "죽음에 이르는 병" 한길사 2010

      9 이상백, "존재와 시간의 사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10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240-, 1998

      1 백승균, "호스피스 철학" 계명대학교출판부 2008

      2 홍경자,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의식이 삶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 -야스퍼스 철학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33 : 9-36, 2013

      3 박병준, "키르케고르의 ‘죄(성)’의 개념에 대한 인간학적 해석" 한국철학회 (93) : 159-184, 2007

      4 강영계, "죽음학 강의" 새문사 2012

      5 정동호, "죽음의 철학" 청람 1992

      6 Rahner, K., "죽음의 신학" 가톨릭출판사 1987

      7 천선영, "죽음을 살다 _ 우리 시대 죽음의 의미와 담론" 나남 2012

      8 Kierkeggard, S., "죽음에 이르는 병" 한길사 2010

      9 이상백, "존재와 시간의 사유" 건국대학교출판부 2004

      10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240-, 1998

      11 Arendt, A., "인간의 조건" 한길사 2009

      12 조가경, "실존철학" 박영사 1995

      13 Bollnow, O. F., "실존철학이란 무엇인가" 서문당 1996

      14 Zimmermann, F., "실존철학" 서광사 1987

      15 Cathcart, T., "시끌법적한 철학자들, 죽음을 요리하다" 함께읽는책 2012

      16 Coreth, E., "삶과 죽음 – 그리스도교적 인간학" 서강대학교 수도자대학원 1997

      17 Kierkeggard, S., "불안의 개념" 다산글방 2007

      18 정진홍, "만남, 죽음과의 만남" 궁리 2003

      19 박찬국, "극한의 한계상황으로서의 죽음, In 죽음, 삶의 끝인가 새로운 시작인가" 운주사 2012

      20 Augustinus, "고백론" 성바오로 1979

      21 Krings, H., "Ursprung und Ziel der Philosophie der Existenz, In Philosophische Jahrbuch, 61" Parzeller 1951

      22 Hegel, G. W. 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Felix Meiner 1952

      23 Jaspers, K., "Philosophie I, II, III, Vierte Auflage" Springer 1973

      24 Jaspers, K., "Kleine Schule des philosophische Denkens" Piper 1974

      25 Kerch, V., "Georg Simmels Religionstheorie" Mohr Siebeck 1998

      26 Heidegger, M., "Die Grundprobleme der Phänomenologie(GA Bd. 24)" Vittori Klostermann 1979

      27 Kierkeggard, S., "Abschließende unwissenschaftliche Nachschrift zu den philosophische Brocken" 184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11-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9 0.69 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6 0.51 1.27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