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민영, "홋카이도 삿포로 별원 소장 유골 조사"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 2017
2 가게야마 아사코, "할아버지를 파다 제 1장: 슈마리나이. 114분"
3 김영환, "한일시민연대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주의 연구 : 한일공동워크샵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4 임재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활동 참여자의 변화 과정" 한양대학교 2020
5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10
6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강제동원 이야기: 일본 홋카이도(北海道)편"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9
7 권헌익, "박충환, 이창호, 홍석준 역" 산지니 2016
8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2010
9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회 50 (50): 3-46, 2017
10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 김민영, "홋카이도 삿포로 별원 소장 유골 조사"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 2017
2 가게야마 아사코, "할아버지를 파다 제 1장: 슈마리나이. 114분"
3 김영환, "한일시민연대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주의 연구 : 한일공동워크샵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4 임재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활동 참여자의 변화 과정" 한양대학교 2020
5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10
6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강제동원 이야기: 일본 홋카이도(北海道)편"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9
7 권헌익, "박충환, 이창호, 홍석준 역" 산지니 2016
8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2010
9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회 50 (50): 3-46, 2017
10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1 John Szarkowski, "the Photography reader" Routledge 97-103, 2003
12 Martha Rosler, "The Contest of Meaning" The MIT Press 303-340, 1992
13 Plath, David W, "So Long Asleep. 60분"
14 William Stott, "Documentary Expression and Thirties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15 손승현, "70년만의 귀향. 76분"
16 정희윤, "21세기 식민 유골 반환운동의 딜레마" 서강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