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적 실천으로서의 기록사진 연구 - ‘일제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 반환’현장 사진 촬영과정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Documentary Photography as a Social Practice - Focusing on the photo-taking process of ‘returning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labor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4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70 Year Homecoming' photography project which documented the process of returning remains of Korean forced labor victims in Hokkai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ost-colonial'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context of photographic documentation from a visual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Documentary photography as a ‘social practice’ is employ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eaningful post-colonial discourse and exchanges between civil societ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70 Year Homecoming' is a memorial journey led by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amid conflict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The return of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the Pacific War will have to be discussed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It is the researcher's idea that the photo and video records of ‘70 Year Homecoming' will create a space for communication on the subject of forced labor in this respect.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70 Year Homecoming' photography project which documented the process of returning remains of Korean forced labor victims in Hokkai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ost-colonial'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c...

      This study examines the ‘70 Year Homecoming' photography project which documented the process of returning remains of Korean forced labor victims in Hokkaido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ost-colonial' 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context of photographic documentation from a visual anthropological point of view. Documentary photography as a ‘social practice’ is employ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meaningful post-colonial discourse and exchanges between civil societies between Korea and Japan. The ‘70 Year Homecoming' is a memorial journey led by Korean and Japanese citizens amid conflict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The return of the remains of victims of forced labor in the Pacific War will have to be discussed through communication and dialogue. It is the researcher's idea that the photo and video records of ‘70 Year Homecoming' will create a space for communication on the subject of forced labor in this resp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홋카이도 삿포로 별원 소장 유골 조사"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 2017

      2 가게야마 아사코, "할아버지를 파다 제 1장: 슈마리나이. 114분"

      3 김영환, "한일시민연대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주의 연구 : 한일공동워크샵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4 임재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활동 참여자의 변화 과정" 한양대학교 2020

      5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10

      6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강제동원 이야기: 일본 홋카이도(北海道)편"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9

      7 권헌익, "박충환, 이창호, 홍석준 역" 산지니 2016

      8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2010

      9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회 50 (50): 3-46, 2017

      10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 김민영, "홋카이도 삿포로 별원 소장 유골 조사"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 2017

      2 가게야마 아사코, "할아버지를 파다 제 1장: 슈마리나이. 114분"

      3 김영환, "한일시민연대를 통해 본 한국의 민족주의 연구 : 한일공동워크샵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4 임재윤,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추모 활동 참여자의 변화 과정" 한양대학교 2020

      5 테사 모리스-스즈키, "우리 안의 과거:미디어, 메모리, 히스토리" 휴머니스트 2010

      6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사진으로 보는 강제동원 이야기: 일본 홋카이도(北海道)편" 국무총리소속 일제강점하강제동원피해진상규명위원회 2009

      7 권헌익, "박충환, 이창호, 홍석준 역" 산지니 2016

      8 클리포드 기어츠, "문화의 해석" 까치 2010

      9 정병호, "기억과 추모의 공공인류학: 일제 강제노동 희생자 발굴과 귀환" 한국문화인류학회 50 (50): 3-46, 2017

      10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1 John Szarkowski, "the Photography reader" Routledge 97-103, 2003

      12 Martha Rosler, "The Contest of Meaning" The MIT Press 303-340, 1992

      13 Plath, David W, "So Long Asleep. 60분"

      14 William Stott, "Documentary Expression and Thirties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15 손승현, "70년만의 귀향. 76분"

      16 정희윤, "21세기 식민 유골 반환운동의 딜레마" 서강대학교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